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 of Enzyme Replacement Therapy on Growth in Korean Patients with Mucopolysaccharidosis Type I

        허림,조성윤,장미선,이지은,권영희,김수진,손영배,박성원,맹세현,권은경,한선주,정주연,진동규,Huh, Rimm,Cho, Sung Yoon,Chang, Mi Sun,Lee, Jieun,Kwun, Younghee,Kim, Su Jin,Sohn, Young Bae,Park, Sung Won,Maeng, Se Hyun,Kwon, Eun-Kyung,Han, Sun J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13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3 No.2

        목적: I형 뮤코다당증 (MPS I)은 ${\alpha}$-L-iduronidase 효소의 결핍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리소좀 축적 질환으로, 광범위한 양상으로 다기관에 영향을 미친다. 저신장과 성장 속도의 감소는 MPS I의 중요한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소 보충 요법이 MPS I 환자들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 기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2세에서 15세 사이에 효소 보충 요법을 시작하여 최소 3년 이상의 치료를 시행 받은 10명의 한국 MPS I 환자들의 키 측정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효소 보충 요법 시작시의 평균 나이는 7년 7개월 이였으며, 남아는 6명, 여아는 4명 이였다. 키는 표준 편차(SDS)로 표현되었다. 효소 보충 요법 전과 후의 연간 성장 속도를 계산하였으며, 구분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치료 전과 후의 키 z-score를 분석하였다. 표현형[(중증(Hurler) versus 경증(Hurler-Scheie, Scheie)]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개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효소 보충 요법 전 1년 동안의 연간 성장은 3.3 cm (z-score=-0.21) 였으며, 효소 보충 요법 후 1년, 2년, 3년에서는 각각 6.2 cm (z-score=0.17), 5.8 cm (z-score=0.07), 3.8 cm (z-score=-0.4)이였다. 회귀분석 결과, 효소 보충 요법 전에 비하여 치료 후 기울기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기울기 차이=0.04; P=0.022). 중증과 경증 표현형 간의 치료 전(P=0.001)과 후(P<0.0001)의 기울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표현형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MPS I 환자들의 키 성장에 있어 aldurazyme 효소 보충 요법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Purpose: Mucopolysaccharidosis type I (MPS I) is a lysosomal storage disorder caused by deficiency of the enzyme ${\alpha}$-L-iduronidase, which leads to a broad spectrum of multisystemic manifestations. Short stature and decreased growth velocity are prominent features of MPS I.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on growth of Korean MPS I patients from a single center. Methods: Height data were obtained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0 Korean patients with MPS I who had received ERT for a minimum of 3 years. Height was expressed as standard deviation scores (SDS) based on normative data. Annual growth rates were calculated before and during ERT. A piecewis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height z-scor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dividu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impact of phenotype [(severe (Hurler) versus attenuated (Hurler-Scheie, Scheie)] on growth. Results: Annual growth was 3.3 cm (z-score= -0.21) in the year before ERT and 6.2 cm (z-score= 0.17), 5.8 cm (z-score= 0.07), and 3.8 cm (z-score= -0.4)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of ERT,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improvement in the slope after ERT (difference= 0.04; P=0.022). Estimated slope differences between severe and attenuated pheno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fore (P=0.001) and after treatment (P<0.0001),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when stratified by phenotype. Conclusion: ERT with aldurazyme appear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linear growth in patients with MPS I.

      • KCI등재

        태아수종으로 발현된 당원병 1례

        허림 ( Rimm Huh ),안소윤 ( So Yoon Ahn ),성세인 ( Se In Sung ),유혜수 ( Hye Su Yoo ),서연림 ( Yeon Lim Seo ),이지훈 ( Jee Hun Lee ),장윤실 ( Yun Sil Chang ),박원순 ( Won So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3

        Glycogen storage disease (GSD) is a group of heterogeneous disorders of glycogen metabolism that results in abnormal storage of glycogen in multiple organs. Clinical manifestations of GSD vary according to the basic enzyme defect. Only types II, IV, V or VII of GSD have been known to manifest in the infantile period. Of the 11 types of GSD, the congenital subtype of GSD type IV is characterized by severe neonatal hypotonia, multiple contractures, polyhydramnios, and fetal hydrops.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born at a gestational age of 34 weeks and 3 days with fetal hydrops, joint contractures, and akinesia. Muscle biopsy results were highly indicative of GSD. This is the first case of suspected GSD in Korea presenting as fetal hydrops. The possibility of other disorders associated with glycogen metabolism should be considered in fatal fetal hydrops patients with severe hypotonia and arthrogryposis, and aggressive investigations such as muscle biopsy should be performed for early diagnosis.

      • DHCR 7 유전자 돌연변이로 확진된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 1례

        정유주,허림,권영희,이지은,조성윤,기창석,진동규,Jeong, Yu Ju,Huh, Rimm,Kwun, Younghee,Lee, Jieun,Cho, Sung Yoon,Ki, Chang-Seok,Jin, Dong-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4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4 No.1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은 상염색체 열성유전질환으로 콜레스테롤 합성의 장애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7-dehydrochlolesterol reductase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콜레스테롤을 합성하지 못함으로써 정신지체, 자폐증, 발육부진, 내부장기 기형, 손과 발의 기형, 면역기능 저하, 소화기 및 시력의 문제 등이 나타난다. 이 질환은 경미한 증상에서부터 치명적인 증상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다. 저자들은 다양한 기형을 가진 환아에서 조기에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을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진단하였으며, 조기 진단 후 식이진행 및 기형에 대한 치료, 콜레스테롤을 보충 하였으며,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mith-Lemli-Opitz syndrome (SLOS)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ease caused by a defect in cholesterol biosynthesis. This mutation encodes 7-dehydrocholesterol reductase (DHCR7), which is located on chromosome 11q13. It is characterized by typical facial appearances, microcephaly, small up-turned nose, cleft palate, syndactyly, and is correlated with cardiac, gastrointestinal and genital malformations. There may also be mental retardation, behavioral problems and growth retardation. It causes a broad spectrum of effects, ranging from a mild disorder of learning and behavior to a lethal malformation. There are four reports of Smith-Lemli-Opitz syndrome in Korean children. Here, we describe a two months old female with microcephaly, toe syndactyly and a cleft soft palate who was diagnosed as SLOS with c. 1054 C>T (p.R352W) and c.907G>A (p. G303R) mutations.

      • ABCD1 유전자 c.1252C>T의 돌연변이가 확인된 X-연관성 대뇌부신백질형성장애 1례

        김유선,허림,권영희,이지은,조성윤,기창석,진동규,Jeong, Yu Ju,Huh, Rimm,Kwun, Younghee,Lee, Jieun,Cho, Sung Yoon,Ki, Chang-Seok,Jin, Dong-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4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4 No.1

        부신백질형성장애는 성염색체-연관성 유전대사 질환으로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이중 대뇌 부신백질형성장애는 부신백질형성장애의 한 표현형으로, 급격한 뇌백질의 탈수초화와 부신 기능 부전을 보인다. 9세 남아가 인지 및 신경 기능의 퇴행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혈청 내 매우 긴 사슬 지방산이 증가되어 있었고 뇌 MRI에서 특징적인 양쪽 두정-후두엽 백질의 대칭적 고신호강도 소견을 보였으며 ABCD1 유전자에 돌연변이 c. 1252C>T (p.Arg418 Trp)가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drenoleukodystrophy is an X-linked genetic disease resulting from mutations in the ABCD1 gene. Cerebral adrenoleukodystrophy is one of the phenotypes of adrenoleukodystrophy and shows progressive demyelination of brain white matter and adrenal insufficiency. We report a nine year old male who presented with rapidly progressive cognitive and neurologic deterioration. He had abnormal findings in brain imaging and elevated very long chain fatty acid level in serum. Mutation analysis of ABCD1 revealed a c. 1252C>T (p.Arg418Trp) mutation which was previously known but not reported in Korea.

      • ASS 1 유전자 돌연변이로 확진된 시트룰린혈증 1형 1례

        임대균,허림,권영희,이지은,조성윤,박형두,진동규,Yim, Dae kyoon,Huh, Rimm,Kwun, Younghee,Lee, Jieun,Cho, Sung Yoon,Park, Hyung Doo,Jin, Dong-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5 No.1

        시트룰린혈증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하여 혈중에 암모니아를 비롯한 독성 물질이 축적되어 치명적인 임상 경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2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형별로 각기 다른 원인과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트룰린혈증 1형은 상염색체 열성유전 질환으로 암모니아를 간에서 요소로 합성하는 과정에 아르기니노숙신 생성효소(argininosuccinate synthethase)가 결핍되어 혈중 암모니아 농도와 혈중 시트룰린 농도의 증가와 혈중 아르기닌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질환이다. 시트룰린혈증의 유병률은 50,000-60,000명당 1명 정도이다. 시트룰린 혈증은 임상 양상과 분자유전학적 특징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1형은 급성으로 신생아기에 발병하는 가장 흔한 형태이다. 환자는 출생시에는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다가, 생후 3-4일을 지나면서 구토, 기면, 발작을 나타내게 되며 심하면 혼수 및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한편, 발병이 늦은 경우는 보다 드문 형태로 임상적으로 비교적 경한 증상을 나타낸다. 시트룰린혈증 1형은 9q34.1 염색체에 위치한 ASS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아르기니노숙신 생성효소가 결핍되어 나타나며, 이 효소는 요소 회로에서 시트룰린과 아스파르트산이 아르기니노숙신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담당한다. 따라서 ASS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규명하는 것은 이 질병을 진단하는 데 분자유전학적으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저자들은 의심 증상을 가진 환자에게 조기에 시트룰린혈증 1형을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진단하였으며, 지속적 신대체 요법을 포함한 효과적인 급성기 치료 과정을 거쳐 현재 장기적인 식이 및 약물 치료를 성공적으로 진행 중에 있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itrullinemia type1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of the urea cycle characterized by neonatal or late onset of hyperammonemia caused by a deficiency of the enzyme argininosuccinate synthetase (ASS). An ASS1 deficiency demonstrates fatal clinical manifestations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neonatal metabolic coma and early death when untreated. It causes a broad spectrum of effects, ranging from a mild disorder to a severe mental retardation, epilepsy, neurologic deficits. An acute neonatal form is the most common. Infants are normal at birth followed by an acute illness characterized by vomiting, lethargy, seizures and coma. These medical problems are life-threatening in many cases. A later onset form is less frequent and may be milder than the neonatal form. This later-onset form is associated with severe headaches, visual dysfunction, motor dysfunction, and lack of energy. Citrullinemia type1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ASS1 gene located on chromosome 9q34.1 that encodes argininosuccinate synthetase, the third enzyme of the urea cycle catalyzing the formation of argininosuccinic acid from citrulline and aspartic acid. The enzyme is distributed in tissues including liver and fibroblasts. This mutation leads to hyperammonemia, arginine deficiency and elevated citrulline level. In the urea cycle, argininosuccinate synthetase catalyses the conversion of citrulline and aspartate to argininosuccinate.. Here, we describe a female newborn patient with lethargy, rigidity and hyperammonemia who was diagnosed as citrullinemia type1 with a c.[421-2A>G], c.[1128-6_1188dup] mutation.

      • 무증상 신생아에서 진단된 중쇄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 1례

        경예찬,허림,권영희,이지은,조성윤,진동규,이정호,이동환,Kyung, Yechan,Huh, Rimm,Kwun, Younghee,Lee, Jieun,Cho, Sung Yoon,Jin, Dong-Kyu,Lee, Jeongho,Lee, Dong Hwan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5 No.1

        중쇄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은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효소 중 하나인 MCAD의 부족으로 인하여 적절한 지방산 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대사질환으로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대사 질환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다양한 임상증상으로 저혈당, 발달지연, 발작, 돌연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 선별검사상 C6, C8, C10:1 acylcarnitine, C8/C2 ratio 혹은 C8/C10 ratio의 증가를 보이는 무증상의 신생아에서 유전자 분석검사를 통해 MCAD 결핍증을 진단하였다. 생후 10개월 경, 고열을 동반한 전신 강직성간대경련 발생하였으나 혈액검사 상 저혈당은 관찰되지 않았고 발열 호전된 후 추가적인 경련은 없었다. 이후 생후 25개월까지 추적관찰 하였을 때 경련을 포함한 증상 없었고,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보였다. 무증상의 신생아에서 신생아 선별검사를 통해 우연히 MCAD 결핍증으로 진단된 후 1회의 열성경련 발생하였으나 대사성 위기없이 정상적인 성장 및 발달을 보이고 있는 환아가 있어 이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Medium-chain acyl-CoA dehydrogenase (MCAD) deficiency is the most common mitochondrial fatty acid oxidation disorder which is inherited as an autosomal recessive pattern. MCAD deficiency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ACADM gene; medium-chain acyl-CoA dehydrogenase gene (ACADM; OMIM 607008) on chromosome 1p31 which encodes MCAD, the mitochondrial enzyme which catalyzes the first reaction in beta-oxidation of fatty acids with medium-chain length. Here, we describe one Korean pediatric case of MCAD deficiency, which was diagnosed during newborn screening by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confirmed by molecular analysis. The level of hexanoyl (C6), octanoyl (C8), decenoyl (C10:1) carnitine, and C8/C2 ratio was elevated. Homogenous c.1189T>A (p.Tyr397Asn) mutation of ACADM gene was identified by direct sequencing. He has been asymptomatic and has shown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by 25 months of age without any intervention. There was no episode of metabolic acidosis during follow-up period.

      • 사립체 근병증 환자에서 발생한 자가항체 양성의 당뇨병성 케톤산증 1례

        남순영,허림,권영희,이지은,조성윤,진동규,Nam, Soon Young,Huh, Rimm,Kwun, Younghee,Lee, Jieun,Cho, Sung Yoon,Jin, Dong-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4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4 No.2

        사립체 근병증은 사립체 호흡 사슬의 장애로 인한 것으로 내분비계 관련 증상이 흔히 동반되고 그 중 당뇨병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사립체 근병증에서의 당뇨병은 사립체 기능 장애로 인한 인슐린 분비의 결함으로 발생하고, 대개 인슐린 의존성이나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현하거나 자가 항체가 검출되는 경우는 드물다. 저자들은 사립체 근병증 환자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현하고 Anti-GAD antibody와 Anti-insulin auto-antibody가 모두 양성으로 확인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을 진단하였기에 이를 기존의 문헌과 비교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Mitochondrial myopathy results from a primary dysfunction of the respiratory chain and is frequently accompanied with endocrine manifestations. Among the endocrine manifestations of mitochondrial disease, diabetes mellitus is relatively common. Diabetes mellitus in the mitochondrial myopathy is usually insulin dependent due to the defect in insulin secretion resulted from mitochondrial dysfunction. But it is seldom manifested as diabetes ketoacidosis and doesn't usually have an auto-antibody. We report a patient with mitochondrial myopathy who was diagnosed as having diabetes mellitus by presenting as diabetes ketoacidosis and had both of the auto-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antibody and anti-insulin auto-antibody.

      • 반복적인 구토 및 간헐적 의식 변화를 주소로 진단된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여아 1례

        김진아,김진섭,허림,조성윤,진동규,Kim, Jin Ah,Kim, Jin Sup,Huh, Rimm,Cho, Sung Yoon,Jin, Dong 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5 No.3

        저자들은 출생 직후에서 생후 7개월까지는 특별한 과거력 없이 건강하게 지내던 여아에서 생후 11개월에 반복적인 구토 및 간헐적인 의식변화와 경련으로 시행한 검사 결과 고암모니아 혈증 및 소변 orotic acid의 증가를 통해 OTC 결핍증을 진단하고, 분자 유전자 검사로 418번째 염기인 G가 C로 치환되어 140번 아미노산이 alanine에서 proline으로 바뀌는 돌연변이(p. Ala140Pro)를 확인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 증례의 돌연변이는 환아의 부모 유전자 분석 결과 정상 소견으로 de novo mutation으로 사료된다. 환아는 출생 후 수 개월간 큰 이상 없이 성장 및 발달을 보였으나 생후 7개월 경부터 주기적인 구토 증세를 보였던 지발형 OTC 결핍증에 해당한다. 진단 후 arginine 및 phenylbutylate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며 저단백 식이를 유지하는 보존적 치료를 지속하여 현재 발달 및 성장 속도 양호하며 일상생활에 문제없이 지내고 있다. 따라서 출생 후 수개월간 특이 질환력이 없는 환아, 특히 여아에서 주기적인 구토, 기면, 경련 및 혼수 등의 증상을 보일 때 지발형 OTC 결핍증과 같은 대사질환을 의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증례는 반복적인 구토 및 의식변화를 보인 기저질환 없는 11개월 여아에서 OTC 결핍증을 진단하고 즉각적인 대처를 통해 7세까지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 없이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보인 환자를 보고하는 바이다.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deficiency is a rare X-linked genetic disorder of urea synthesis in newborns. It is the most common urea cycle disorder and leads to elevated levels of ammonia in the blood. Excessive ammonia can cause various symptoms, including vomiting, lethargy, and coma. Boys have a more serious form of OTC deficiency than girls. If not treated immediately, severe OTC deficiency can lead to neurologic abnormalities, hyperammonemic coma, and death. Because late-onset OTC deficiency, which is more common in girls, presents mild symptoms, it is easy to miss diagnosis and prompt treatment. We describe an 11-month-old girl who presented periodic vomiting, intermittent lethargy, and seizure. She was diagnosed with OTC deficiency by elevated serum ammonia and urine orotic acid levels. Genetic analysis of the OTC gene revealed a missense mutation in exon 5 (c.418G>C). We reported an experience of exact diagnosis and successful treatment of late-onset OTC deficiency in our patient.

      • 무증상의 경쇄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 1례

        이화평,김진섭,허림,조성윤,진동규,Lee, Hwapyung,Kim, Jinsup,Huh, Rimm,Cho, Sung Yoon,Jin, Dong-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5 No.2

        경쇄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short chain acyl-CoA dehydrongenase deficiency, SCAD)은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효소 중 하나인 경쇄 acyl-CoA 탈수소효소(short chain acyl-CoA dehydrongenase, SCAD)의 결핍으로 인하여 지방산 산화의 장애를 초래하는 대사질환이다. 이 질환의 임상증상은 성장 부전, 대사성 산증, 저혈당, 발달 지연, 발작 및 신경 근육 증상, 근력 저하 등 매우 다양하다. 저자들은 무증상 신생아에서 신생아 선별검사를 통해 혈청 C4-butyrylcarnitine이 증가하고 소변의 ethylmalonic acid가 증가된 소견이 관찰되어 경쇄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을 진단하였다. 생후 8개월까지 특이 증상 없이 추적관찰 중으로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보였기에 이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Short-chain acyl-CoA dehydrogenase (SCAD) deficiency is a rare mitochondrial fatty-acid oxidation disorder that is inherited as an autosomal recessive pattern. SCAD deficiency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ACADS gene (Acyl-CoA Dehydrogenase, Short-chain, OMIM #606885), which encodes SCAD, the mitochondrial enzyme that catalyzes the first reaction in the beta-oxidation of fatty acids four to six carbons in length. Here, we describe one Korean pediatric case of SCAD deficiency, which was diagnosed during newborn screening through tandem mass spectrometry. An increased concentration of butyrylcarnitine was detected on the newborn screening test, and the urine organic acid analysis showed increased urinary excretion of ethylmalonic acid. The patient has been asymptomatic and has shown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by 8 months of age without any intervention during follow-up period.

      • 무증상 신생아에서 진단된 경쇄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 1례

        이연희,김진섭,허림,조성윤,진동규,Lee, Yeonhee,Kim, Jinsup,Huh, Rimm,Cho, Sung Yoon,Jin, Dong-Kyu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5 No.2

        경쇄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short chain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SCAD)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지방산 대사과정에서 베타-산화지방산의 산화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임상증상으로는 저혈당, 근육긴장저하, 진행성 근육약화, 발달지연, 발작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지방산 대사의 질환의 양성 검사결과를 갖는 무증상 환아에서 추가적인 소변 유기산 분석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유전자 분석검사를 통해 질환을 진단하였다. 이후 환아의 임상적 증상 발현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조기 진단과 질환 악화요인에 대한 설명 및 교육을 통해 4년이 지난 현재까지 나이에 적합한 발달과 성장의 임상경과를 확인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hort-chain acyl-CoA dehydrogenase (SCAD) deficiency is an autosomal recessive hereditary metabolic disorder of mitochondrial fatty acid beta-oxidation. Mutations in the ACADS gene cause short-chain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which is characterized by developmental delay, hypotonia, seizure, and hypoglycemia. Here, we describe one Korean pediatric case of SCAD deficiency, which was diagnosed during newborn screening by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confirmed by molecular analysis. The level of C4 was typically elevated 5.23 mg/dL (reference range <1.5 mg/dL). This patient had a homozygous mutation [c.1031A>G, p. E344G] in ACADS. Therefore, we present a case of SCAD deficiency in an otherwise healthy neonate and her subsequent development and growth over four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