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의 학사적 의의

        한창균(Chang-gyun Han)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1

        1960년대 전반은 한국의 구석기고고학 연구에서 새로운 전환점이 이룩된 시기였다. 장덕리유적의 토탄층에서 출토한 털코끼리 화석을 비롯하여, 굴포리유적과 석장리유적의 고토양층에서 드러난 석기는 한국에 구석기 유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동안 석장리 구석기유적에서 얻은 발굴 성과는 한국 구석기문화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반면에 유적의 형성 시기, 문화층의 연대 설정, 집자리의 성격, 석기의 분류 체계 등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특히 1964~1973년까지 10 년 동안, 석장리유적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 방법은 한국의 구석기유적을 자연과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예를 들어, 생태유물을 대상으로 한 토양의 체분석과 산도 측정, 꽃가루 분석, 나무 숯의 수종 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과 같은 일련의 자연과학 방법은 한국의 구석기고고학 연구에서 고고과학의 기초를 확립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조사 현장과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자연과학 방법의 응용과 더불어, 발굴 방법, 유물의 공간 분포 분석과 그에 따른 생활상 복원, 철저한 현장 기록과 체계적인 유물 정리, 구석기 관계 용어의 한글화 작업은 한국 선사고고학의 발달사에 있어 석장리 구석기유적의 발굴이 학사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Korean Paleolithic study had a turning point in the early 1960s. In addition to mammoth fossils found in peat layers at the Jangdeok-ri site, lithic materials revealed in paleosol deposits at the Gulpo-ri site and the Seokjang-ri site provided definite evidences for corroborating the existence of the Paleolithic Age in Korea. The achievements from excavations at the Seokjang-ri site provided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Paleolithic culture. However, researchers have been debating several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is site, such as the absolute date that the site formed, the chronology of cultural layers, the characteristics of dwellings, and the classifications of excavated lithics. On the other hand, particularly, various research and analytic methods, which was adopted in this site for ten years in 1964-1973,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pproaches to the Korean Paleolithic sites. For example, scientific methods that had been conducted in this site to analyze ecofacts, which include sieve analysis, pH test, pollen analysis, charcoal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etc., paved the way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rchaeological science in Korean Paleolithic study.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methods carried out in fields and laboratories, academic achievements of this sit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excavation methods, the reconstruction of living conditions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rtifacts, the making of detailed field notes,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artifacts, and the translation of foreign terms in Paleolithic archaeology to Korean clearly show the significance of excavations of the Seokjang-ri site in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Korean prehistoric archaeology.

      • KCI등재

        해방 이후~1950년대에 있어 한국 구석기시대의 인식

        한창균(Han, Chang-gyun) 중부고고학회 2014 고고학 Vol.13 No.2

        한국의 구석기고고학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사이에 이룩된 고고학적인 성과는 지금까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대체로 그 시간적 공간은 연구사적으로 공백기처럼 다루어지는 경향이 짙었다. 그 요인은 한국 구석기시대에 관한 당시의 인식과 고고학적인 연구 활동을 체계적으로 검토, 평가하려는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다.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말까지 한국의 구석기시대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다양한 관점에 근거하여 표명되었다. 이 과정에서 원시사회의 형성 시기, 한국에 있어 구석기시대의 존재 여부, 구석기유적의 존재 가능성 등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정학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체로 당시에는 한국에 있어 구석기유적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분위 속에서도 남한과 북한에서는 각각 현지 조사를 통하여 구석기유적의 존재를 확인하려는 작업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단양 일대에 분포한 석회암 동굴과 두만강 연안 지역에서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비록 구석기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요컨대 이와 같은 사실은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의 시간적 공간에서 이루어진 고고학적인 성과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준다. 이를 통하여, 한국의 고고학사를 구성하는데 있어 그 시간적 공간이 차지하는 위치가 재정립되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e achievements of the Paleolithic studies conducted from Liberation(1945) to the 1950s have been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Korean archaeloogical society.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n Paleolithic archaeology, this time span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the missing period. This is because Korean archaeologists have rarely conducted systematic studies for investigating and evaluating archaeological research achieved in this period. Researchers who investigated the Korean Paleolithic Age in this period touched this issue with various perspectives. They discussed the forming date of the primitive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Paleolithic Age and the occupation of the Paleolithic people in Korea. Except Kim Jeong-hak, they did not presume the occupation of Paleolithic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Even in these circumstances, both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archaeologists attempted to find the Paleolithic sites through field surveys. For example, while South Korean archaeologists conducted field surveys to limestone caves distributed in Danyang, North Korean scholars carried out ground reconnaissance in the riversides along the Duman River. Although they failed to find the Paleolithic sites, these fac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shed new light on the achievements of the archaeological studies conducted in this period by new perspectives. Through these works, the importance of this period have to be re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Korean archaeology.

      • KCI등재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한창균(Han Chang gyun) 백산학회 2000 白山學報 Vol.- No.57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40s, knapped stone artifacts have been unearthed from several prehistoric sites of North Korea. They were recovered not only from Palaeolithic sites, but also from Neolithic and Bronze age sites that raw materials are characterized by obsidian. It seems that this material was used by prehistoric man until the end of the Bronze age. Studies on the technological features of knapped stones have been attempted step by step after the end of the 1950s in North Korea. In North Korea, archaeologists describe the goals and contributions of lithic analysis; these included using the processes of debitage and the technological analysis of stone tools as chronological makers, understanding the evolution in form and function of stone tools. Archaeologists have explained that the most primitive methods of producing flakes for use as tools are block-on block technique and direct percussion with hammerstone. Studies of the flaking technique show that Upper Palaeolithic industry are characterized by indirect percussion and pressure flaking. It can be said that technological approaches applied to the analysis of knapped stone assemblages by archaeologists of North Korea are problematic.

      • KCI등재

        연천 삼거리에서 발견된 르발루아 몸돌의 연구 예보

        한창균 ( Han Chang Gyun ),서인선 ( Seo In Sun ),김경진 ( Kim Kyung Ji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1 學林 Vol.47 No.-

        최근 발굴된 연천 삼거리 유적의 하부 구석기 문화층(44.6~40.4 ka cal BP, AMS)에서는 중기 구석기 늦은 시기로 편년되는 르발루아 몸돌이 발견되어 주목된다. 몸돌의 몸집 구조와 형태-기술적 속성에 의하여 이 유물은 반복적 중심 방향 떼기의 르발루아 몸돌(Levallois recurrent centripetal core)로 분류된다. 1960년대 초반, 굴포리와 석장리에서 구석기 유적이 발굴된 이래 한국에서는 수백 군데가 넘는 곳에서 구석기시대의 석제품이 출토되었다. 지금까지 조사된 유적 가운데 르발루아 몸돌의 존재가 확인된 곳은 삼거리 구석기 유적의 경우가 처음이라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얻은 고고학적성과는 그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던 한국 구석기시대의 시기 구분 체계를 정립하는 데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지리적 배경에서 구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로의 전이 과정을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 Levallois core was unearthed at the lower Paleolithic level of the Samgeo-ri site in Yeoncheon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The cultural layer dated at 44.6-40.4 ka cal BP belongs to the late Middle Paleolithic period. This core was classified as Levallois recurrent centripetal core according to the Levallois concept criteria and the morpho-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e. After the Paleolithic sites were discovered in Gulpo-ri and Seokjang-ni in the early 1960s, the Levallois core, which was the first of its kind to be identified in South Korea,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ivision of the Paleolithic period and allow for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the late Paleolithic period to be viewed from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 옥천 대천리 유적지 토기의 제작기법 및 원료산지 분석

        이효민,양동윤,구자진,김주용,한창균,최석원,Lee, Hyo-Min,Yang, Dong-Yun,Gu, Ja-Jin,Kim, Ju-Yong,Han, Chang-Gyun,Choe, Seok-Won 한국제4기학회 2004 제사기학회지 Vol.18 No.1

        대천리 유적지에서 출토된 토기를 대상으로 제작기법과 원료 산지를 추정하기 위해, 빗살무의토기 12점과 유적지 주변 토양, 암석 4점을 대상으로 하여 실체현미경관찰, 편광현미경관찰, X-선 회절분석, 희토류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두꺼운 토기는 굵은 입자의 양이 상당히 많고 조립인 것으로 관찰 되었으며, 조립입자의 모양과 분포 등으로 볼 때, 이들에는 비짐을 첨가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DC 1, 3, 7, 11의 토기에 방향성이 보이고 특히 방향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DC 3과 DC 11 토기에는 다량의 기포가 표면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는 물레를 사용한 흔적으로 보인다. 이처럼 토기의 용도에 따라, 토기의 크기에 따른 두께의 조절, 비짐의 추가나 매질의 선택 등 제작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소성은 환원 환경에서 이뤄졌고, 소성온도가 $800^{/circ}C$는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기의 원료는 유적지 바닥이나 북서쪽 사면의 절개지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하였고, 비짐을 첨가한 경우도 유적지 주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주변의 모래질 토양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A geoscientific research was performed on 12 samples of comb-pattern potteries which were excavated at Daecheonri neolithic site, Korea. The texture and compositions of 12 potteries and surrounding metrix of soil and rocks were compared with the help of petrographic microscope, XRD and REE data. As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thick potteries are caused by the amount and number of coarse grains which are assumed to be added shards when their distributional pattern are considered. DC1, DC3, DC 7 and DC11 samples have clearly oriented textures, and the orientation of vesicles in DC3 and DC11 sample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ose on the pottery surface. This indicates the use potter's wheel technique in manufacturing potteries. Burning temperature is assumed over $800^{/circ}C$, particularly under reduction environment. As to the source, raw materials of pottery matrix are derived from the bottom of excavation site, or in an extracted outcrop of the northwestern foothill from site, while the shard materials are very similar with those extracted from sandy loams near sites. Finally any use pattern of pottery may control the pottery thickness, shard addition, and matrix se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