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 집필지침의 특징과 문제점

        한예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본 小考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 집필지침의 특징을 살펴보고 몇 가지 문제점을 제의하였다. 주로 제7차 교육과정의 한문 교과서를 집필해 본 경험이 중심이 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교육과정의 개정과 함께 교과용 도서에 관한 자세한 사항들을 집필상의 유의점과 검정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한문 교과서는 어느 것이나 이 유의점과 기준을 최대한 반영하여 교과서로 제작된 것이다. 따라서 어떤 교과서가 제작되는가는 이 집필상의 유의점과 검정기준에 달려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小考에서는 6차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집필지침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특징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8차 교육과정을 준비하는 이 시점에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의 자료 및 문제점의 보완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guides of sino-Korean textbooks of high schools ba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and presented its several problems. It focused on what was felt in writing sino-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amended the curriculum and presented it in detail with matters to be attended in writing and authorization standards. Every sino-Korean textbook reflected the notices and standards as possible as can be.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how good textbooks are produced depends on the writing guides and authorization standard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d characteristics in the seventh curriculum when the sixth curriculum was compared with the seventh one, and presented its problems. At this point of preparation for the eighth curriculum, it was expected this study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what was wrong with the seventh curriculum and contribute to its future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동아시아 세계의 ‘知’의 지형도 : 유교적 ‘교육’ 체계론과 근대적 ‘실천지’

        한예원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9

        소고는 동아시아 세계의 ‘學’의 전통을 고찰하는 방법으로 유교적 교육체계론(교육-교화)과 학습 단계론을 재구성해서 동아시아적 가치를 재평가 재해석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유교교육이 지향하는 ‘知’의 형태를 ‘實踐知’로 설정하고, 초학교재를 통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우리는 전통 교육의 가치와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교육이 개인적 차원에서의 지적, 도덕적, 인격적 개선과 변화를 꾀하는 활동이라고 한다면, 敎化는 사회적 차원에서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의식의 개선과 변화를 도모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대학>의 三綱領과 八條目은 유교적 교육체계론의 기본 틀을 제시하고 있다. 유교교육의 목표는 유교적 인격의 완성과 유교적 이상사회를 실현하는 것이다. 오늘날은 ‘근대지’ ‘과학지’에 대한 반성이 제기되면서, 동양의 전통적 ‘지’에 대해 관심이 일어나고 있다. 이 경우 동양적 ‘지’의 특성은 인간의 삶에 관여하는 ‘실천지’이며, 나아가 ‘지’의 총합․결합체로서 유기적 사유를 근거로 하고 있다. 그것은 유교교육의 최종적 목표인 천인합일과 관련이 있다. 즉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예’를 체득하고, 그것을 개인의 수신 절목으로 받아들여 실천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소고는 유교적 ‘몸교육’이며, 정신과 신체를 분리하지 않고 인식하였던 유교적 세계관의 구현이라고 보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初學 漢文敎材로서의 『擊蒙要訣』의 意義 -朝鮮儒敎의 慣習化 過程-

        한예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Chinese letters was the official language of East Asia in ancient time. Accordingly, other countries that using Chinese letters accepted Chinese textbooks and its cultural records, so Chinese culture lay at the root of other country’s. However, Joseon, Japan, Vietnam and any other countries what is called cultural area of Chinese don’t accept Chinese textbooks or profound records unconditionally. this article considered the attitudes of Joseon in the process of accepting Chinese record. Joseon came to terms with discordance of its letters native to the country and Chinese after introduction of Chinese letters. However, they made a ceaseless seeking and resistance to found a solution to inconvenience of speaking and writing. Therefore, Joseon maintained the native letters like ‘IDoo’ and ‘HyunTo’, devised unique recording and reading system of Chinese letters, and recognized its textbooks. By the way, Joseon resisted and compromised accepting Chinese letter found in the circumstances of receiving culture. Especially, Joseon received the culture of Confucian ideas and wants to use the culture as its life values and practical ethics, the other sides, converse suitably for its historical situation. In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s study, Joseon used 「SoHak」 but, it made 「DongMongSunSeup」 which is similar to 「SoHak」 and consider its realities. Furthermore, Joseon compiled 『KyukMongYoKyul』 and used for education. It is the textbooks for real practicing manners of Confucianism in Joseon. This article focused on 『KyukMongYoKyul』, which is the textbooks for children’s study. It made by YoolKog in conformity of 「JooJaKaRae」. 『KyukMongYoKyul』 was made for leading Joseon into East Asia’s general order from Confucian scriptures. YoolKog proposed the social norm coming through with Joseon’s special qualities and traditions and he wanted that is followed by JooJa’s learning in personal training and social arranging. Exactly, he claimed to free from the old conventions which didn’t make sense with East Asia’s general order and offered Joseon’s practicing conformities which attached traditional manners of mourning and religious service. His 『KyukMongYoKyul』 is the development progress that Chinese JooJa’s learning appropriate Sung Confucianism what is more secured its position as Sung Confucianism‘s manners. 전통시대에 있어서 한자는 동아시아의 공용문자이었다. 따라서 중국의 識字用 교과서와 중국 문화의 기록은 한자를 공용문자로 사용하는 주변지역에 수용되어 그 문화의 토대를 이루었다. 하지만 주변지역이었던 한국을 비롯한 일본이나 월남 등, 이른바 한자문화권의 지역에서는 中國産의 識字敎育用 교재이든 심오한 내용의 기록이든 그대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지는 않았다. 본고는 그 점을 주목하여, 自國의 필요에 의하여 한자 기록물을 수용하면서 어떤 자세를 취하였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에서는 한자가 수입된 이래, 고유의 언어와 한자가 불일치하는데서 오는 불편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하지만 그런 어문생활의 불편요소를 해소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모색을 하면서 그 타협점을 찾으려 하였다. 그래서 ‘吏讀’와 ‘懸吐’처럼 고유의 언어적 상황을 유지한 채, 중국의 문헌을 해독하기 위한 독특한 한문 기록법과 독해법을 고안하였고, 또 識字敎育用 교재를 개편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러한 중국문자를 수용함에서 보였던 모색과 타협은, 그 외의 문화수용의 상황에서도 발생하였다. 특히 유교적 교양을 받아들여 인생의 가치관으로 삼고 생활의 실천윤리로 공유하면서도, 우리의 역사상황에 적합하게 변환하고자 하였다. 특히 몽학용 교재를 살펴보면, 『소학』을 받아들여 사용하면서도 조선적 현실을 감안한 『童蒙先習』을 고안하게 되었고,나아가 유교의 실천 예법을 조선의 현실에 맞추어 변용한 『擊蒙要訣』이 편찬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격몽요결』을 주목한다. 율곡이 추구하는 유교적 실천준거는 『朱子家禮』였다. 그러나 율곡은 조선이라는 공간의 특성과 역사전통을 고려하여 조선적 현실에 적합한 실천규범으로 전환하고자 노력하였다. 즉 『주자가례』의 수용을 통하여 동아시아의 보편적 질서의 세계로 나가면서, 조선의 전통적 관습 중 계승할 필요성이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병존할 것을 모색하고, 그것을 몽학용 교재에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Clinical Study of Porokeratosis Associated with Immunosuppressive Therapy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한예원,김연정,김형옥,박영민 대한피부과학회 2008 Annals of Dermatology Vol.20 No.4

        Background: The etiology of porokeratosis (PK) remains unknown, but immunosuppression is known to be a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PK and it may also exacerbate PK.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K associated with immunosuppressive therapy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A total of 9 renal transplant patients diagnosed with biopsy-proven PK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6 were enrolled. The authors analyzed the patient and medication historie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diseases. Results: The ages of the 9 patients ranged from 38 to 67 years (mean 52 years). All received multi-drug regimens comprised of two or three immunosuppressive agents (steroids, cyclosporine, mycophenolate mofetil, azathioprine and/or tacrolimus). Times between transplantation and the onset of PK ranged from 2 to 9 years (mean 4.1 years). No family history of PK or a history of intense sun-exposure was elicited. The number of the lesions was less than ten in 8 of the 9. Les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extremities, though some affected the trunk or neck (3). Three patients had disseminated superficial actinic PK (DSAP), PK Mibelli, or both types. Associated diseases included verruca (4), recurrent herpes simplex (1), actinic keratosis (1), and cutaneous B cell lymphoma (1). Conclusion: The three clinical patterns of PK occurred equally in our patients, namely, coexistent PK Mibelli and DSAP, or the DSAP and Mibelli types as independent forms. Our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the different variants of PK be viewed as parts of a heterogeneous clinical spectrum.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linical patterns of PK in immunosuppressed patients. Background: The etiology of porokeratosis (PK) remains unknown, but immunosuppression is known to be a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PK and it may also exacerbate PK.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K associated with immunosuppressive therapy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A total of 9 renal transplant patients diagnosed with biopsy-proven PK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6 were enrolled. The authors analyzed the patient and medication historie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diseases. Results: The ages of the 9 patients ranged from 38 to 67 years (mean 52 years). All received multi-drug regimens comprised of two or three immunosuppressive agents (steroids, cyclosporine, mycophenolate mofetil, azathioprine and/or tacrolimus). Times between transplantation and the onset of PK ranged from 2 to 9 years (mean 4.1 years). No family history of PK or a history of intense sun-exposure was elicited. The number of the lesions was less than ten in 8 of the 9. Les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extremities, though some affected the trunk or neck (3). Three patients had disseminated superficial actinic PK (DSAP), PK Mibelli, or both types. Associated diseases included verruca (4), recurrent herpes simplex (1), actinic keratosis (1), and cutaneous B cell lymphoma (1). Conclusion: The three clinical patterns of PK occurred equally in our patients, namely, coexistent PK Mibelli and DSAP, or the DSAP and Mibelli types as independent forms. Our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the different variants of PK be viewed as parts of a heterogeneous clinical spectrum.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linical patterns of PK in immunosuppressed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2007년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방향

        한예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compositional direction of high school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that fit for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curriculum. For the purpose, it sets the following goal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raditional culture recorded in Chinese, reproduce it creatively, establish our identity through comparison of our cultural zone with Chinese one and make a contribution to inter- communication. Objectives to realize the goals include understanding of vocabulary and diction in Chinese sentences through intelligence education, tradition and achievement levels of Chinese culture, and emotion on communication in Chinese cultural zone, reading and enjoying various kinds of Chinese literature, identify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ve reproduction, and establishing identity through comparison of common and different things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Chinese culture. Accordingly, the contents to be learned are presented as follows: acquiring knowledge on composition and types of sentences in Chines classics, reading Chines classics such as proses and poetry, and understanding Chinese culture. In particular, Chinese cultural education focuses on identifying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difference in reading Chinese classics, having experiences of its cultural heritages, understanding its traditional art, and acquiring the knowledge on ideology and religion of Chinese cultural zone. This plan is to develop the base on which the i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improve reading skill, education centering on Chinese sentences instead of characters and cultural education can be realiz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textbooks and media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소고는 개정 교육과정의 특색에 맞추어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구성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문교과서의 목적을 한문으로 기록된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감상하여 창의적으로 재창조하고, 한문문화권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며 상호 소통에 기여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목표로 識字교육을 통한 한문문장의 어휘 및 어법 이해, 한문문화의 전통 및 성취수준이해, 한자문화권의 소통에 관한 정서이해, 다양한 유형의 한문자료를 독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창의적으로 재창조, 전통문화와 한자문화권의 동이점을 비교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설정하였다.그에 따른 학습내용으로는 文章成分과 文章類型을 다루는 한문지식과, 한문산문과 한시를 다루는 한문독해, 그리고 한문문화교육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한문문화교육 영역에서는 그 내용요소로 한자의 발생, 한자의 유통, 한문독해의 차이, 한자문화유적체험, 전통미술, 한자문화권의 사상, 한자문화권의 종교 등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은 ‘독해력 신장을 위한 도구교과’, 그리고 한자어 교육에서 벗어난 ‘한문문장 중심의 교육’, 그리고 ‘문화교육’에 주안점을 둔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가 실현될 수 있는 토대를 조성함에서 출발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 개발 및 매체제작이 활발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