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앙 일간지 경제기사에 취재원으로 인용된 기업체 홍보실무자 및 해당 기사의 특성 연구

        한균태(Kyun-Tae Hahn),이종혁(Jong-Hyuk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3 No.-

        본 연구는 경제 섹션을 발행하고 있는 국내 3대 종합지(조선, 중앙, 동아)의 경제기시에 의견이나 주장 등이 인용(quote)된 기업체 홍보 실무자 특성(성별, 조직, 산업군, 직급, 실명여부, 지역)및 해당 기사의 특성(취재경로, 기사주제, 갈등포함 여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제기사에 인용된 홍보실무자들의 특성은 남성, 부장 및 과장급 관리자, 대기업, 서울 수도권지역, 전자IT 및 금융분야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편중에 있어 갈등이 포함된 사건사고의 경우에는 더욱 뚜렷하게 차이가 드러났다. 시기별로 비교해 보면, 이들 종합지가 전문 경제섹션을 발행하기 시작한 2002년부터 앞에 도출된 편중 현상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재경로, 기사주제, 갈등포함 여부 등 기사 특성에 따른 홍보 실무자들의 특성에 있어서도 각각 편중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전문경제 섹션 이전과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비교 분석해 본 결과 홍보실무자의 특성과 해당 기사의 특성에 있어 모두 차이점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PR practitioners whose opinions were quoted as news sources and of the related articles in the economic section of the nation's three largest newspap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 practitioners were mostly males with the job title of general manager or manager working for large electronics/IT or financing companies in Seoul and near 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such overwhelming features were more clearly salient in the articles related to conflicts. However, the phenomena seem to have been somewhat eased since 2002 when the newspapers came out with the specialized economic section. Analyzing the articles in terms of the channel of covering news, theme of news, and the existence of any conflict,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R practitioners. In addition, the comparison between each period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e of the specialized economic section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 practitioners in many ca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고찰 : 미디어관련법 개정 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조경숙 ( Kyoung Sook Cho ),한균태 ( Kyun Tae Hahn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본 논문은 최근 대표적 입법갈등사안으로 개별언론사의 이해관계와 직결되어 있는 미디어관련법 개정갈등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주요 신문의 공정성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정성 개념을 둘러싼 혼란과 근본주의적 가정을 피하고자 다양성 개념을 이용하였으며 프레임 분석방법에 의거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 중앙, 경향, 한겨레 등 4개 신문을 대상으로 개별 기사의 평가기준인 주제, 논조나 취재원의 다양성과 함께 프레임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법 개정에 대한 입장에 따라 논조, 주요 기사내용, 재현된 갈등 관계의 빈도 등에서 신문별로 분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프레임분석은 신문의 이념적 성향 혹은 입장에 따라 뉴스가 전하는 의미가 뚜렷하게 나뉘어 배타적으로 프레이밍 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즉, 중층적 프레임분석을 통해 이념적 성향이나 이해관계의 동질성 내에서도 서로 다른 이야기 구성방식이 나타났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각 신문이 갈등이슈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과 상반된 이해관계를 균형 있게 제시하려는 노력이 매우 부족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본 연구는 앞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매체 간 프레임 비교 연구의 범위 및 초점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gree of fairness of Korean major daily newspapers on their coverage of the media law amendment, which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ir own interests. To avoid conceptual confusions and fundamental assumptions of fairness, we employed diversity as an alternative and practical concept in our analysis. We chose four major dailies(Chosun, JoongAng, Kyunghyang and Hankyoreh) as our research objects,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orientations and stances, and content-analyzed their diversity in terms of main themes, tones, and sources. In addition, the study compared differences in news frames among the dailies using both the deductive and inductive fram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ws frames dealing with the controversial issue, owing to their dailies' own interests or ideological stances. We also foun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narrative construction patterns and contexts among the newspapers which shared similar economic interests or ideological positions. Consequently, the study seems to suggest that Korean newspapers were far from the ideal journalism and accordingly should put forth much more efforts to handle this kind of social conflict issue impartially and objectively. However, it needs to further and elaborate the range of comparison studies on media frames to justify this suggestion.

      • KCI등재

        종교방송에 대한 수용자 기대 연구: 창원극동방송을 중심으로

        정미영 ( Mi Young Jung ),한균태 ( Kyun Tae Hahn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의 1차 청취자들이 어떤 동기를 가지고 청취하며, 청취 후의 만족감과 기대감 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지역의 창원극동방송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극동방송을 청취하는 동기는 대부분 정서적 안정 및 기분전환을 위한 것이었고, 청취하고 난 후에 오락추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보통 이상의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정보 추구(환경감시)에 대한 기대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그리고 청취 동기와 청취 후의 만족을 서로 비교해 본 결과, 대인 및 사회적 상호 작용과 오락 추구에서 청취동기에 비해 청취 후의 만족도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극동방송의 주된 목적이 선교이므로 대표적 프로그램인 설교프로그램이나 큐티 묵상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도 높았지만, 찬양이나 찬송, 복음송 등을 위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종교방송으로서 음악, 설교, 신앙상담 순서로 많이 다루어주기를 기대하였고,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잘 하기 위해 교양정보, 보도시사 프로그램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속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남녀 간에는 청취 후 정서적 기대와 프로그램 선호도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 따라 청취동기(신앙심, 기분전환, 개인정체성)와 청취 후 만족도(기분전환, 개인정체성, 대인 및 사회적 상호작용), 청취 후의 기대(정서적 기대, 지역 종교 방송의 기대), 프로그램 장르 선호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다. 학력별 프로그램 장르 선호도(설교, 신앙상담, 큐티 묵상, 교회 참여)에서도 차이가 밝혀졌으며, 세례기간에 따라 청취동기(기분전환, 개인정체성)와 청취한 후 기대(정서적 기대), 그리고 프로그램 장르 선호도에서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clesiastical broadcasting audience`s motivation,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For this, we selected Changwon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 which is covering Southern Gyeongsang areas including Busan c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wo main motivations were stabilizing inner state and changing moods. Second, generally the audience showed considerable satisfactions with most categories save entertainment. Third, the most frequent expectation was the pursuit of information(environment surveillance). Finally, it was found that som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and a term of belief had been important moderators to predic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xpectations and gratifications.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the Agenda-Setting Effects of Newspapers on Their Subscribers

        Jong Hyuk Lee(이종혁),Kyun Tae Hahn(한균태) SBS 2014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2 No.1

        본 연구는 다수준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사용해 신문의 구독자에 대한 의제설정 (agenda-setting)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진은 우선 신문의 의제와 구독자 의제 간 관계를 개인 내 수준(intra-personal level)으로 설정하고 일반적 의제설정 효과를 검증했다. 이어서 구독자 개인별 매체 이용과 신문에 대한 심리적 평가 변인들을 개인 간 수준(inter-personal level)으로 설정한 뒤, 의제설정 효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구독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구독 신문에 대한 내용분석이 함께 실시됐다. 연구 결과, 구독 신문 이외의 신문과 텔레비전 뉴스 이용은 구독 신문의 의제설정 효과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구독 신문에 대한 평가에서 심층성(depth of information)은 의제설정 효과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 반면, 선정성(sensationalism)은 부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신문 구독률 저하로 신문 산업이 위기를 겪는 요즘 본 연구결과가 갖는 함의는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uses a multi-level analysis to examine the agenda-setting effects that newspapers have on their subscrib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spapers’ agendas and the subscribers’ agendas is analyzed at the intra-personal level, whereas individual factors―such as media exposure and newspaper evaluation―are examined as predictors of the strength of the newspapers’ agenda-setting effects at the inter-personal level. Based on content-analyses of five Korean newspapers and analyses of secondary survey data, this study finds some interesting results. The exposure to other newspapers and television newscasts weakens the agenda-setting effect that newspapers have on their subscribers. In terms of newspaper evaluation, depth of information is a positive predictor whereas sensationalism and refinement are negative predictors of agenda-setting effects. Implications for the newspaper industry and the usefulness of the multi-level analysis for agenda-setting studie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공익광고와 제3자 효과

        차동필(Dong-Pil Cha),한균태(Kyun-Tae Hahn) 한국언론학회 2003 한국언론학보 Vol.47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perceived knowledge about others on self persuasion and third-person percep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subjects(n=148)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 information about others' reaction to a public service announcement(PSA) about feeding hungry children. However,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such information. That is, on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an information that the stimulus had succeeded in persuading other people, while the rest one was told that it had failed to persuade ot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a first-person effect was found. Also, as expected in the second hypothesis, first-person persuasion was revealed to decrease when subjects knew others had evaluated the PSA. Finally,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s tended to explain third-person reaction to the PSA in ways that placed others in a negative light. In a sense, engaging in self-enhancement is offered as an explanation for thes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