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경호 ( Kyeong-ho Han ),이성훈 ( Sung-hun Lee ),김두용 ( Doo-young Kim ),서원일 ( Won-il Seo ),박재민 ( Jae-min Park ) 한국어류학회 2018 韓國魚類學會誌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두줄망둑의 자치어 골격발달을 관찰하여 분류학적 연구자료로 이용하는 것이다. 부화 후 7일째 평균전장 4.44±0.28mm(n=5) 일 때 섭이기능을 하는 윗턱에는 전상악골, 주상악골이 골화하였고, 아래턱에는 악골이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13일째 평균전장 5.62±0.24 mm (n=5) 일 때 두개골의 액골, 노정골, 상이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32일째 평균전장 11.8±0.28 mm(n=5) 일 때는 견대부에 사출골, 후쇄골이 골화하였고, 부화 후 40일째 평균전장 13.3±0.21mm(n=5) 일 때 두개골의 측사골이 골화하면서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skeletal development of the Tridentiger trigonocephalus. Seven days after hatching, the skeleton of the two line cranes began to ossify at premaxillary, maxilla and dentary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4.44 mm (n=5). At thirteen days after hatching, the frontal, parietal, and epiotic ossicles were observed in the cranium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5.62 mm (n=5). At thirty-two days after hatching, actinost and post cleithrum were ossified at the shoulder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11.8 mm (n=5). At forty days after hatching, the lateral ethmoid of the skull was ossified with an average total length of 13.3 mm (n=5) and all skeletal development was completed.

      •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한경인(Han, Kyung in),남혜진(Nam, Hye jin),이현주(Lee, Hyunjoo),박승희(Park, Seung 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의 심층면담을 통해 장애이해교육의 현상, 쟁점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해 그들의 경험을 귀납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총 10명으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5명과 특수교사 5명으로 구성된다. 이 교사들에 대한 심층면담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참여자 검토를 통해 내적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3가지 주제영역: 장애이해교육의 실행 현상, 장애이해교육의 역할과 기능, 장애이해교육의 최선의 실제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해 모두 8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입장과 실시 경험에 대한 다각적 묘사와 더불어 장애이해교육의 성과와 문제점이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이해교육의 현 상황을 질적연구 방법으로 교사 개인의 경험과 통찰에 기반한 의견과 평가로 점검하였으며, 그 결과 장애이해교육 실시의 긍정적 성과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문제를 ‘재정의’해서 제기한다. 그것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의 장애이해의 불확실성을 어떻게 넘어서게 할 것인가라는 중대한 쟁점을 지적한다. 즉 교사들의 장애의 상식적 이해를 넘어서 장애이해의 정교화와 심화를 목표로 하는 교사를 위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inclusive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conducted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inquir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including 5 inclusive teachers and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ternal validity was ensured through the member check. Results: Three main themes were derived as follows: implementation aspects of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roles and functions of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uncertainty about the best practices in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There were 8 sub-themes derived from the three main themes. In addition, accomplishments and barriers in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as well as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teachers were described.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inquiry based on teachers" experiences and insights. The results redefined the issues of current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by identifying accomplishments and barriers. Additio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e necessity of refined and intensiv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that resolve the uncertainty of teachers" awareness about disability. Finall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provided.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하브루타 미술 교육 방안 고찰 -초등학교 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한경은 ( Han Kyung-e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시대라는 맥락 속에서 하브루타 미술 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미술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하브루타 교육 활동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역사와 철학 등의 인문학적인 배경을 지닌 미술 작품에 대한 심도 깊은 감상과 비평, 그리고 치열한 연구와 고민을 바탕으로 한 미술 창작 활동이 주가 되어야 한다. 미술 교사는 인간의 고유 영역에 대한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작품을 엄선할 수 있어야 하고 심도 있는 토론으로 이끄는 질문을 선정하여야 한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미술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하브루타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하브루타 미술 교육은 인공지능이 일반화된 사회에서 인간이 인간다움을 잃지 않고 기술, 환경, 복지와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 창작의 핵심 교과인 미술 교과와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하브루타가 만나 인공지능이 지니기 힘든 창의성을 신장시킨다는 데 그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하브루타 미술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내용체계표의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하브루타로 지각하기, 하브루타로 소통하기, 하브루타로 연결하기, 하브루타로 떠올리기, 하브루타로 제작하기, 하브루타로 이해하기, 하브루타로 비평하기”라는 핵심개념 연관 하브루타 활동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참고 작품은 미술을 단순히 현상의 재현에서 벗어나 사유의 영역으로 확장시킨 현대 미술 작가의 작품을 제시하여 철학, 역사, 지리 등의 인문학적인 주제에 대해서 하브루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한 일곱 가지 하브루타수업 모델이 하나의 틀이 되어 수업을 제약하지 않도록 실제의 수업에서는 하나의 자유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각각의 하브루타 활동을 응용하여 주제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기를 바란다. 토론과 질문, 대화가 중심이 되는 하브루타 미술 교육을 통하여 인공지능으로 인해 변화될 미래사회에서도 변하지 않을 소중한 인간의 가치를 사유하며 지혜와 통찰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Havruta art edu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reciation, criticism, and creative activities of artworks with humanity backgrounds, such as history and philosophy, should be the main focus. Art teachers should select questions that facilitate students’ in-depth discussions. This study proposes the education of Havruta as a particular way of teaching art. Havruta art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a sustainable society where humans and technology can coexist even in a society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generalized. It also ha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art and Havruta meet to enhance students’ creativity. This study found that the Havruta art education had the important values of education for the era of AI because the Havruta art education fostered social intelligence (e.g., interaction), creativity and insight, thinking skills (e.g., problem solving), and people-centered values of social integration. Furthermore, this study developed a questions for the Havruta art education to be utilized in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Havruta core concept-related activities: "Perceiving through Havruta, Communicating through Havruta, Connecting through Havruta, Thinking through Havruta, Making through Havruta, Understanding through Havruta, and Criticizing through Havruta.”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an example of the Havruta questions that was connected to the Havruta core concept-related activities. The author has developed an art-education program based on contemporary artists to havruta on humanities subjects, such as philosophy, history through the expanded artwork beyond the reproduction of the phenomenon to the realm of reason. Through the Havruta art education, which focuses on discussion, questions, and dialogue, we expect to foster wisdom and insight by thinking about the human values that will not change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経典釋文≫の音義に基づく16世紀朝・日の≪詩経≫翻譯比較 - ≪詩経諺解≫(1583~1593成立)と清原宣賢の≪毛詩鄭箋≫ 訓點本(1521)に表れた声母相違による意味派生の反映(1) -

        韓炅澔(Han Kyungho)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5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onological and semantic changes of polyphonic characters jiāng~qiāng (将)、bài (敗) and kăn~hàn (感) in the Máoshī zhèngjiān、by comparing the Korean translated text Sigyeong eonhae and Nobukata Kiyohara"s Japanese Kunten glossed Máoshī zhèngjiān、which is based on the Chinese text Jīngdiǎn shìwén. This author’s conclusions are as below. (1) Regarding the first case about jiāng~qiāng (将)、the semantic difference between *tsaŋᵇ > ꜀tsɰɑŋ (‘to devote’; ‘magnificentness’) and its causativated derivation “*tsʰaŋᵇ > ꜀tsʰɰɑŋ” (‘to request’) is not well attested since the same Sino-Korean readings and interpretations in the Sigyeong eonhae、in spite of several examples cited from the Shījízhuàn. By contrast、Nobukata Kiyohara"s Japanese Kunten glossed texts not only consulted the Japanese dictionary Ruiju Myōgishō、but also cited the annotation from the Máoshī zhèngjiān. (2) Concerning the second case about bài (敗) * prat sᵃ > paj ꜄ (‘to tear’) and * brats ᵃ > baj ꜄ (‘to die out’~‘to lose’)、the phonological and semantic differences are still not attested in the Sigyeong eonhae、 however、they were both glossed as yaburu (やぶる、‘to tear’) uniformly in Nobukata Kiyohara"s texts. (3) On the third case about kăn~hàn (感) * kɨmʔᵃ > ꜂kʌm (‘to feel’) and * N-kɨmʔᵃ > * ɡɨmʔᵃ > ꜂ɦʌm (‘to shake’~‘to tremble’)、the phonological difference is only attested in the Sigyeong eonhae、however、without any specific explanation. Nevertheless、Nobukata Kiyohara selected the exact pronunciation in *N-kɨmʔᵃ > *ɡɨmʔᵃ >꜂ɦʌm and glossed as ugokasu (ウコ(゛)カス、‘to move’). (4) Both having the [± aspirated] and [± voice] features of one character is the condition to trigger the causativated change in Old Chinese syntax、which is well attest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한경근(Kyoung Gun Ha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일대 발달장애 특수학교 10곳의 초·중·고(전공과 포함) 과정 특수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특히 민주적이고 인권친화적인 학교 문화 형성을 위한 노력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그러나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에게 필요한 민주시민교육 내용의 중요도 및 교육 방법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념보다는 실천적 행동양식으로써 민주시민교육과 수동적 적응행동 중심 교육을 넘는 능동적 시민교육이 필요하며,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써 창의적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특수학교와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current status, contents, and method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03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cluding majors) at 10 special schoo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wareness of efforts to form a democratic and human 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was high.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require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s and the educational method were perceived as relatively low. Results also showed the need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practical behavior rather than an ideology and the need of an active civic education that could go beyond passive adaptive behavior-centered education.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creative inclusive education to overcome limitations of special schools as a venue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도시노인의 사회적 교류, 신체활동과 일상적 행복감의 관련성 개인특성의 맥락효과를 고려하여

        한경혜(Han, Gyounghae),최희진(Choi, Heeji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매일 느끼는 일상적 행복감(daily happiness)이 일주일 동안 변동하는지, 매일의 사회적 교류와 신체활동이 개인 내 일상적 행복감의 변동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탐색한다. 다음으로, 노인의 성별, 연령, 학력, 건강에 따라 사회적 교류 및 신체활동과 일상적 행복감 사이의 관련성이 달라지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일상적 행복감의 수준과 변동이 전반적 행복감(global happiness) 수준과 어떻게 관계되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일주일 동안 수집한 생활일지(daily diary) 자료(n=175명x7일 =1225응답)와 동일 기간 동안 활동량계로 수집한 신체활동 자료(n=16명x7일=112응답)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일상적 행복감 수준은 일주일 동안 변동하고 노인의 젠더와 건강에 따라 일상적 행복감의 수준과 변동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녀와 대화한 날과 친구와 만난 날 노인의 일상적 행복감이 더 높아졌고, 형제자매와의 만남은 일상적 행복감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건강상태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 결과, 건강하지 않은 노인은 건강한 노인에 비해 형제자매와 만난 날 일상적 행복감이 더 큰 폭으로 높아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셋째, 많이 걸은 날은 일상적 행복감 수준이 높았으며, 저강도 활동시간이 긴 날은 일상적 행복감의 수준이 낮아졌다. 넷째, 일상적 행복감 수준과 전반적 행복감 수준 사이에는 긍정적 관계가 관찰되었으나, 일상적 행복감의 변동 정도는 전반적 행복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capture day-to-day fluctuation of the daily happiness among Korean urban older adults and to examine whether the within person fluctuation of daily happiness is explained by the social and physical activities the older adults experience each day.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within person association between daily social, physical activities and the daily happiness varie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i.e.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health). In addition, we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and fluctuation of daily happiness and the level of global happiness. The data was collected by multi-method approach, which includes general survey, daily diary method and collection of physical activity data through the activity monitors. In total, 175 urban older adults participated for seven days of daily diary survey. The data about the number of steps and the time spent on sedentary activities, light 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and moderate to vigorous 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were also collected during the same period from 16 sub-samples using activity monitor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below. First, the level of happiness of older adults fluctuated during a week, and the patterns of fluctuation varied by the gender and the health. Second, socializing with their children and friends elevated their levels of happiness. Also the impact of contacts with siblings on the level of daily happiness was greater for the unhealthy group compare to the healthy group. Third, older adults were happier on the days when they walked more, but the level of daily happiness decreased on the days when they spent longer time for low 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Lastly, the higher level of daily happiness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global happiness, but the degree of fluctuation of daily happiness was not related to the level of global happin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

        한경임(Han Kyung-Im),한경화(Han Kyung-Hw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 단위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540명으로 여교사 378명, 남교사 162명이었다. 특수교사는 334명이었으며, 특수학급 교사는 206명이었다.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였으며, 변인별 차이검증을 위해 ANOVA와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경력 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그 이하 경력의 교사들보다, 그리고 중등교사들이 초등교사들보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심이 많았다. 또한 15년 경력 이상의 교사들이 다른 교사들보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더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학생 수행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5년 이상 10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이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학생 수행평가를 위해 서술기록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와 교육청 차원의 지원으로 특수교사들은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학교 환경조성을 요구하였고, 교사 차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방법, 평가 일체화를 적용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및 학생 수행평가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나 정책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wareness, current status and support reque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 Method: Participants were 540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ere 378 females and 162 males. 334 teachers of them worked in special school and 206 teachers worked in special day classroom. Results: First, most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eachers who had career more than 15 years had highest interest.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had higher recognition about curriculum reconstruction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day classroom teachers. Relation to current curriculum reconstruction status, teachers who had career more than 15 years did it more than other teachers. Special school teachers did it more than special day classroom teachers. Second, most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s. Teachers had career less than ten years recognized highest necessity. Most of teachers used narrative record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as support request on school and education district, teachers required referenc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 based on instruction. Conclusion: This results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field training program and referenc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