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행 제왕절개후 질식분만: 성공률 예측을 위한

        하현미,문정주,황연희,양정미,김은규,이덕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목적: 본 연구는 선행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임부들의 질식분만 성공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점수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1996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질식분만을 시도한 선행제왕절개 임부 321명을 대상으로 질식분만 성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적으로 70.1%의 질식분만 성공률을 보였으며 산모의 신장, 현임신시 태아 체중, 질식분만기왕력, 선행제왕절개의 이유, 입원시 자궁경관개대정도, 아두 고정유무가 질식분만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다. 고안된 점수제에 의하면 1점이하의 성공률은 27.5%, 4점이상의 성공률은 95.1%를 보였으며 점수가 증가할수록 성공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점수제는 향후 의사와 임부들의 분만방법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o develop a scoring system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vaginal birth in patients undergoing a trial of labor after previous cesarean delivery. Methods: Variables influencing successful vaginal delivery rate were studied in 321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trial of labor after previous cesarean delivery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8. Results: Totally, It resulted in a rate of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delivery of 70.1%. Six variables [maternal height, current fetal weight, prior vaginal delivery, indication for prior cesarean delivery, cervix dilatation in admission, head fixation] significantly affected a rate of successful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Rate of successful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delivery was 27.5% in patients scoring less than or equal to 1, 95.1% in patients scoring greater than or equal to 4. Increasing score was associated with increasing vaginal delivery success rate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coring system will be helpful for perspective patients and doctors deciding mode of delivery.

      • KCI등재

        양측성 다낭종신을 동반한 반복된 태아 낭상임파관종 1 례

        김성희,김현주,서성숙,하현미,신지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8

        This is a case report of a cystic hygroma with polycystic kidney in a fetus which was suspected by ultrasonography and was confirmed by autopsy.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this case in 25-year old woman repeatedly and we report that with a brief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종양에서 병기분류와 예후점수제의 신뢰도의 비교

        민보은,김정혜,박승희,하현미,김양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6

        1992년 FIGO에서 제안한 위험인자 HCG 10만이상, 선행임신과의 기간 6개월이상을 첨가한 새로운 병기분류는 그전의 해부학적 병기분류보다 질병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더욱 발전된 분류법으로 보이며 WHO 예후점수제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 병기분류 보다도 subdivision a,b,c로 분류된 위험인자의 존재유무가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부인과적 종양의 분류법과는 다르나 이 병기분류는 여러나라의 치료기관에서 통일된 방법으 로 사용될수 있을거라고 사료된다. 한가지 문제점은 자궁적출술을 한 경우 병기설정의 어려 움이 있다. 반면에 WHO 예후점수제는 항상 가능하다. 이것은 너무 많은 인자들이 포함된다 고 비판하는 경우도 있으나 어떤면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한 과정에서 실수가 발 생하여도 보완될 수도 있는 안전한 방법이기도 하다. 한편 2가지 위험인자중 HCG치 10^5이 상이 위험인자로 여겨져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본연구에서도 HCG치 10^4이상을 위험인자로하여 치료원칙에 따라 치료할 경우 적절한 치료의 빈도가 80%를 넘으므로 좀더 높은 민감도를 보여줌을 나타낸다. 다른 기관에서도 이 방법을 적용할 시 비슷한 결과가 나 오는지 연구되어지길 바라며 더욱 좋은 치료원칙을 제시할 수 있길 기대한다. A restrospective study of 129 patients with GTT admitted to Il sin Christian hospital between January 1983 and December. 1992 was done to assess and compare the reliability of both the 1983 WHO prognostic score (Prog. score) and 1992 FIGO staging in determining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nd therefore the outcome and method of treatment needed. The overall remission rate was 93.8%. The addition of 2 risk factors, HCG titer 10^5 and above and interval of 6 months or more to separate each stage into a, b, c subgroups(none, one or both risk factors) greatly improved the correlation with the prognostic score(r=0.595) compared to the previously purely anatomically staging (r=0.460). 60/66(91%) of stage Ia and 17/21(81%) of stage IIIa pts were low risk but 11/21(52%) of stage Ib and 5/6 (83%) of stage IIIb were high risk, all 4 pts in c subgroup were high risk. When cases were considered form the prognostic score aspect, 60/82(73%) of low risk were stage Ia but 17/82(21%) were stage IIIa, 11/29 pts of high risk pts were stage III or IV and 12 pts were stage I. Treatmen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gnostic score and apart form a few pts, low risk pts were given single therapy and med/high risk, 42 % of med, risk pts and 24% of Ia and 43% of IIIa pts had to be changed to multiple therapy. The outcome of the treatment given was then evaluated, as if the guide lines of single therpy for low risk, and multiple therpy for med/high risk cases had been strictly followed for the initial treatment on comparing the two modified score, there would had been moderate increase 81.9% appropriate treatment compared 76.4%. In conclusion risk factors seem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antomical stage in determining severity of disease. In addition an HCG titer of 10^4 or more may be a better indicator to separate the stage than the titer of 1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