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 아동과 정신지체 아동의 대근육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하종만,송병호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5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4 No.-

        이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감각통합능력을 신장시켜주면 이들은 감각 및 운동이 더 발달하여 대근육 운동 기능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정 아래 감각통합훈련을 적용하여 대근육 운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 음성군 소재 K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10명 가운데 남자 5명, 여자 5명중 뇌성마비 아동(5명), 정신지체 아동(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선정기준은 뇌성마비나 정신지체 판정(진단)을 받은 아동 가운데 연령이 7세 이상 10세 미만으로 학교에 재학중이면서 치료교육을 받고 있고 지능연령이 3세 이상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없는 아동, 아동과 아동의 보호자가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를 허락한 아동이었다. 연구방법은 정신지체 아동, 뇌성마비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주 3회 매회 35분씩 감각통합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훈련을 적용하였으며, 표준화된 대표적 진단도구인 남가주 감각통합검사(SCSIT)도구가 연령 4∼11세 미만인 자에게만 적용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여야하기에 연구전에 아동의 건강생활 기록부 및 지능검사 K-ABC(카우프만 아동용 개별지능검사)와 사회연령(사회 성숙도 검사)측정결과를 검토하여 선정하였으며 대근육 운동기능 발달(The Southern California Ordinal Scales of Development)검사를 활용하여 힘이동 균형 협응으로 구분된 대근육 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대근육 운동기능 발달 비교에서 협응발달에 효과적 이었다. 둘째,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 아동의 대근육 운동기능 발달 비교에서 균형발달에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를 분석해보면 연구 대상 아동간의 개인차는 있었지만 대근육 기능발달에 감각통합훈련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 아동과 정신지체 아동의 대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효과적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성마비아동이나 정신지체아동에게 적용한 감각통합훈련은 대근육 운동기능 능력향상에 중요하며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to the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ten students, fiv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fiv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ho enrolled had received therapy in special school age between 7 to 9 year-old. They received 35 minutes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session 3 times a week 10 weeks. The Southern California Ordinal Scales of Developmen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coordination with gross motor function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Second,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gross motor function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refore, from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program can be effectively used not only as treatment program in special school but also training tool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내시경적으로 제거한 식도의 과립 세포 종양 -증례보고 및 국내 문헌 고찰-

        하종,이옥재,조활석,정태식,윤지향,이은정,민현주,김태효,정운태,조중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3 Clinical Endoscopy Vol.26 No.2

        Granular cell tumor is a benign tumor, commonly found in the skin, tongue, and breast but rarely in the esophagus. A 44-year-old man was referred from the private clinic because of an esophageal lesion found on endoscopy. Esophagoscopy revealed a white-yellowish polypoid lesion covered with normal looking mucosa in the upper esophagus. It was movable within the wall by pushing with forceps. Endoscopic polypectomy after ligation with elastic "O" band was performed without complication. Histologic diagnosis of granular cell tumor was made. It was stained strongly positive for S-100 protein. Another 20 cases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s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were reviewed.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3;26:84-89) 과립세포종은 양성 종양으로 피부, 구강, 유방 등에서는 흔하지만, 식도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저자들은 식후 상복부 불편감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은 후 식도의 점막하종양을 발견하고 내원한 44세 남자에서, ‘O’형 밴드 결찰술을 이용한 용종절제술을 시행하고 조직학적으로 과립세포종으로 확진하였기에 국내의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보고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건강 위해성 평가를 위한 국내 농도반응함수 도출

        하종식(Jongsik Ha) 한국환경보건학회 2017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3 No.3

        Objectives: HRA (Health Risk Assessment) is an important tool for measuring the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HRA is already being used widely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crafting air pollution policies. However, the absence of a domestic CRF (Concentration Response Function) standard, which is a main component for HRA, could cause confusion amongst policy-ma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bulate a domestic CRF standard for a PM (Particulate Matter)-related HRA. Methods: This study suggested a domestic CRF standard for HRA tho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literature review for meta-analysis was limited to the English language for epidemiological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1980 to March 2016. This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assuming both fixed- and random-effects of CRF. In addition, studies that reported HRA of air pollution for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EC (European Commission), and the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ere reviewed to compare the CRFs of South Korea to the recommended CRFs of WHO, the EC, or the EPA. Additionally, a domestic CRF standard was supplemented by these. Results: Nineteen studies were selected for the CRF for South Korea. Fifty-three CRFs were derived for metaanalysis. CRFs with a standard for PM-related HRA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ur criteria: air pollution, exposure characteristics, type of health impact, and age group. Finally, a domestic CRF standard was created comprised of 21 CRFs. Among these, six CRF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foreign HRA stud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a domestic CRF standard is first suggest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further area of study for using HRA as a policy tool and a direction of epidemiological study.

      • 기후 · 대기 환경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건강 위해성 평가 개선 연구 농도반응함수의 국내 표준안을 중심으로

        하종식 ( Jongsik Ha ),최영웅,송지윤,정옥진,양태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정량화하기 위한 건강 위해성 평가는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방법론이다. 이미 건강 위해성 평가는 해외 선진국들에서 기후·대기 환경정책 수립 시에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2015-2024)』 등을 수립하는 데 참조되고 있다. 하지만 건강 위해성이 기후·대기 환경정책 수립에 있어 근거로 활용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에 이를 위한 평가표준안은 부재한 실정이다. 특히 건강 위해성 평가에 필수 요소인 농도반응함수의 국내 평가표준안 부재는 평가결과에 대한 국민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한 기후·대기 환경정책 필요성에 대한 근거마저도 위협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대기 노출로 인한 건강 위해성 정도를 합리적인 수준에서 산출하는 건강 위해성 평가의 농도반응함수 국내 표준안을 마련하고, 이를 시범적용해 보는 것이다. 농도반응함수 표준안 마련은 해외 선진국에서의 평가 방법 및 국내 연구 현황을 고려하여 국내 활용성 개선을 소기의 목표로 하였으며, 이에 건강 위해성 평가 개념 및 기후·대기 환경정책 적용 현황 조사, 건강 위해성 평가 방법론 분석, 그리고 농도반응함수 국내 표준안 개발과 시범적용이라는 3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본 보고서의 장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보고서 2장에서는 건강 위해성 평가의 개념과 본 연구에서의 범위, 기후·대기 환경정책에서의 활용, 그리고 이를 통한 평가 방법론에 있어 활용상의 문제점 개선 사항 등 시사점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건강 위해성 평가 방법론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으로서 관련 통계모형, 모수, 그리고 방법론의 불확실성을 조사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역학연구에서 건강 위해성 평가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건강영향함수 및 CR함수를 추정하기 위한 4가지 통계모형들의 이론적 배경 및 논리적 구조를 기술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건강영향평가 결과물의 의미 등을 정리·서술하였다. 건강 위해성 평가의 불확실성 평가에서는 방법론 차원의 불확실성과 과거 연구 수행상의 불확실성을 조사·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할 농도반응함수의 표준안 개발 방향에 참조하였다. 4장에서는 농도반응함수의 국내 표준안 개발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과 농도반응함수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로 국내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문헌조사의 총 대상 기간은 1980년부터 2015년까지로 설정하였고,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총 102건의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였으며, 정형화된 논문 선택 과정에 따라 최종 표준안에 활용된 36건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농도반응함수의 주요 특성을 대기오염물질별, 노출특성별, 그리고 건강영향별 항목으로 구분하여 DB를 구축하였으며, 가능한 범위 내에서 농도반응함수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표준안 제시를 위한 국내 농도반응함수를 통합 및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정책적 활용 방안을 제시함과 더불어 시범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건강 위해성 평가의 국내 농도반응함수 표준안 제안과 정책적 활용방안 사항만으로도 그 의미가 있다. 덧붙여 이번 연구를 수행하면서 국내 과거 건강 위해성 평가 연구 보고서를 비교·정리하였으며, 국내 역학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를 근거로 건강 위해성 평가를 기후·대기 환경과 관련한 세부적인 정책도구로 활용함에 있어 추가 연구 및 대기오염 관련 국내 역학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Health Risk Assessment (HRA) is an important tool for measuring the impacts of air pollution which can be useful in designing environmental policies related to climate and atmosphere. In some countries, HRA is already being used widely as an important reference in formulating climate and air policies. Likewise, over the past few years,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utilizing HRA in some cases for similar purposes. However, as of now, no nationally defined standard assessment form for HRA exists. More importantly, the absence of standard concentration response functions (CRFs) form naturally leads to incoherence in the assessment results, which in turn could cause confusion amongst policy-ma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bulate and test a national standard CRFs form, which could be used in HRAs, and would allow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to make reasonable estimations on the health risks of exposure to pollution related to climate and atmosphere. This study,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applicability of existing national CRFs, suggests a standard CRFs form to be used in HRAs, and as a process to derive the final outcome, is divided into three core sections: i) research on HRA concepts, and real world applications on environmental policies concerning climate and atmosphere; ii) analysis of various HRA methodologies and; iii) tabulating and testing the national standard form. In the second part, the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HRA, its application in the real world and implications, scope of study, methodologies and inherent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field of study, and possibilities for improvement. The third part of the paper discusses in detail the statistical models, parameters, and uncertainties pertaining to methodologies. To be specific, the paper summarizes theories and logics behind 4 statistical models, used to derive CRFs and Health Impact Functions (HIFs), both of which are important aspects of HRAs in epidemiological studies. Information about the methodological and empirical uncertainties was collected and taken into account during the preparation of a standard CRFs form. In the fourth part, the paper suggests a national standard form for selecting CRFs to be used in HRAs for decision-making or other similar purposes. After a thorough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empirical results were carefully analysed and categorized. The empirical results adopted in the study range between the years 1980-2015 and a total of 102 results were selected to be used as a database. Following a standardized screening process, we chose 36 empirical results to be used in the final standard form. This process included categorizing the database resul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exposure, and health impacts, and meta-analysis of the base CRFs within possible boundaries. The CRFs included in the final standard form were then ranked according to their applicability in policy design or assessment, and was tested using pre-existing data on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exposures.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suggests a standardized national CRFs form with possibilities for application in policy-making. It examines various epidemiological studies in South Korea and comparatively reviews past HRA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further area of study with respect to using HRA as a policy tool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environmental policies concerning climate and atmosphere.

      • KCI등재

        화면해설방송의 표현체계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

        하종,송종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system of television audio description in Korea and to provide some agenda for improving its quality, which can lead to strengthen the media accessibility of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Documentary and dram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harmony and coherence between video and audio in original and narration in audio description at the level of sequenc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documentary and drama in expression system of audio description. While drama is flexible in dealing with situation in somewhat subjective form, documentary tends to observe the rule of objectivity. How to convey complex plot and foreshadowing, metaphor and symbolic expression in drama into audio description can be a very difficult task. On the contrary, documentaries have to try to achieve combination of narration, subtitle and sound in original and audio description for the best works. The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on and narration, that is to say, how to maintain the equilibrium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will be one of the important tasks in audio description. 본 연구는 화면해설방송의 표현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방송제작물의 다양성과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필요한 과제를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의 방송접근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분석결과 픽션물인 드라마와 논픽션물인 다큐멘터리는 그 장르적 특성만큼 화면해설의 서술에 있어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그 내용적 특성에 따라 드라마가 재미와 즐거움이라는 감정적 소구를 한다면, 다큐멘터리는 사실과 정보라는 이성적 소구를 통해 수용자들에게 접근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마가 좀 더 창작성을 가미하여 화면해설을 탄력적으로 운용한다면, 상대적으로 다큐멘터리는 사실적 정보의 전달이라는 객관성의 원칙에서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면해설방송은 영상을 단순히 언어적으로 치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화면해설은 통합적 해석력이 요구되는 작업이며, 어떤 단어와 문장으로 구성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창조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작가에 따라, 또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 달리 서술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신문시사만화의 지형과 전망: 정치성과 풍자성을 중심으로

        하종원 ( Jong Won Ha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3

        만화의 태생은 `비판과 주장`이다. 이는 만화가 사회적·정치적 의미를 갖고 출발했음을 뜻한다. 이런 만화의 가장 중요한 표현공간은 신문이었으며, 이는 오늘날 이른바 `시사만화`를 저널리즘의 주요한 축으로 만들어주었다. 정론지의 기능을 담당했던 초창기부터 대중지로 발전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시사만화는 전 세계 모든 신문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사의 하나로 존재한다. 한국 역시 신문을 통해 시사만화가 자리를 잡고 발전해왔다. 특히 한국은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한 칸 만평뿐만 아니라 강력한 정치성을 지닌 네 칸 만화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한국만의 독특한 신문 시사연재만화의 특성을 구축해왔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저널리즘의 주요한 요소의 하나로 기능해온 한국 신문시사만화의 특성과 변화 추이, 그리고 현실적 지형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Cartoon has been originated from protest and persuasion, which means that it has played a major role in social and political sector of our society. Such a cartoon type is called as political cartoon or editorial cartoon. Printed media like newspaper have provided an important channel for political cartoon. As a result, editorial cartoons have been one of the essential items from political newspaper to popular newspaper. Editorial cartoons can translate political abstractions into tangible visual representations that neither articles or photographs in newspaper can do. Nowadays it is said that editorial cartoons have been a mainstay of journalism and politics. In general, one-panel cartoon deals with current affairs in society; on the contrary a comic strip has served as an entertainment. Unlike other countries, however, a comic strip as well as editorial cartoon in Korean newspaper has strong political character. Comic strips of Korean newspaper have told about the ordinary people`s lives and spoken for them beyond simple amusement, which the Koreans have read and enjoyed for a long tim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cartoon in Korean newspaper focusing on its political and satirical aspects, examine some points at issue, and suggest some ideas for promot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