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휴대전화 이용 유형과의 관련성

        하문선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i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of the above to the mobile phone usage type on determining latent profi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latent profiles i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 'excellent adjustment group', a 'middle adjustment group', a 'middle maladjustment group' and a 'severe maladjustment group'. About 24.97%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an ‘excellent adjustment group’ which scored high on the variables of learning activities, school rules, peer relations, and teacher relations. About 21.72%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a ‘middle adjustment group’ which scored rather high on the variables of learning activities, school rules, and peer relationships but is the average score on the variable of teacher relations. In contrast, About 23.58%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a ‘severe maladjustment group’ which scored very low on the variables of learning activities, school rules, peer relations, and teacher relations. About 29.74%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a ‘middle maladjustment group’ which scored slightly lower than average on the variables of learning activities, school rules, peer relations, and teacher relations.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playing game, texting and calling with family and friend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but listening music and taking photo weren't. Specifical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re adolescents who play game, text and call with friend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evere maladjustment group’, but the more adolescents who text and call with famil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he excellent adjustment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preliminary materials for group counseling and education of adolescents in relation to mobile phone usage. Bo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구성하는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의 총 네 개의 점수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Latent Profile)을 나누고 각 집단과 휴대전화 이용 유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학교생활적응력이 가장 우수한 집단으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의 네 수준이 모두 평균보다 양호한 집단을 적응우수집단(24.97%)으로 명명하였다. 이에 비해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는 다소 양호하나 교사관계 수준이 특히 평균 수준인 집단은 적응보통집단(21.72%)으로 명명하였다. 학교생활적응력이 매우 낮고 심각한 집단으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의 수준이 모두 평균보다 낮은 집단은 부적응심각집단(23.58%)으로 명명하였다. 부적응보통집단(29.74%)은 네 수준이 모두 평균보다 다소 낮은 편이었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각 잠재집단과 휴대전화 이용 유형 변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게임 및 오락을 많이 할수록 다른 세 집단에 속하기보다 부적응심각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가족과 통화나 문자를 많이 하지 않을수록 부적응심각집단에, 가족과 통화나 문자를 많이 할수록 적응우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친구와 통화나 문자를 많이 할수록 다른 세 집단에 속하기보다 부적응심각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음악․동영상 및 사진촬영 변수에서는 모든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서 휴대전화 이용과 관련하여 상담 및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 잠재집단 및 영향요인 분석

        하문선,송연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601 Korean adults into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love types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find variables that affect the latent classes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the latent group for love types of Korean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L-H (7.7%) group, which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ll three factors of intimacy, passion, and commitment, and the L-MH (33.6%) group, which all three factor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the L-M (39.8%) group with the mean of all three factors, the L-ML (14.6%) group with all three factors lower than the mean, and the L-L (4.3%) group with the lowest all three factors. Also, as a result of ANOVA, the L-MH group was psychologically healthier and more adaptive than the L-ML group.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L-M, L-ML and L-L groups than males. In addition, singl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M and L-ML groups than those who were married. Also, the higher the anxiety attachment level,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L-M, L-ML, and L-L groups than the L-H and L-MH groups, the L-ML and L-L groups than the L-M groups, and the L-L group rather than the L-ML groups. However, age, neuroticism, and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various latent classes for the love types of Korean adults more three-dimensionally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l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본 연구는 한국 성인 60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랑유형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 우울 수준의 차이 및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주는 변인(성차, 연령, 결혼여부, 신경증, 불안애착, 정서조절)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잠재집단분석(LCA)을 실시한 결과,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의 잠재집단은 친밀감, 열정, 책임감의 세 요인 모두에 대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는 L-H(7.7%)집단, 세 요인 모두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L-MH(33.6%)집단, 세 요인 모두 평균 수준을 나타내는 L-M(39.8%)집단, 세 요인 모두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는 L-ML(14.6%)집단, 세 요인 모두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는 L-L(4.3%)집단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 각 잠재집단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ANOVA 검증 결과, L-MH집단이 L-ML집단에 비해 심리적으로 보다 건강하고 적응적인 집단으로 나타났다.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L-M, L-ML 및 L-L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미혼은 기혼에 비해 L-M, L-ML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불안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L-H, L-MH집단보다 L-M, L-ML, L-L집단에, L-M집단보다 L-ML와 L-L집단에, L-ML집단보다 L-L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연령과 신경증, 정서조절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에 대한 다양한 하위 잠재집단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집단별 특성에 따른 차별적 개입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하문선,설양환,황명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는 실시간 비대면 교육 방식의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수행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G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총 55명(실험집단 34명, 통제집단 21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비대면 교육방식의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수업수행능력 사전-사후검사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집단 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수업수행능력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ANCOVA와 MANCOVA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수업수행능력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된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요인들 중 교육과정분석 및 수업설계, 학생발달지원 및 생활지도, 수업성찰 및 비평, 수업분위기조성및 수업운영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의 수업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궁극적으로 수업실습효과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기 남자청소년의 도구성, 힘․성취에 대한 욕구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 지각된 학업성취를 매개로

        하문선,김지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instrumentality, need for power and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for young adolescent boy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ity, need for power and achievement and self-esteem in 242 young adolescent boy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hypothesized model fitted to materi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strumentality affected self-esteem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need for power and achievement influenced self-esteem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the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of male gender role when we need to understand and counsel self-esteem problem of young adolescent boys.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the need for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of bo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초기 남자청소년의 도구성, 힘 · 성취에 대한 욕구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지 각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경쟁모형보다 연구모형이 자료에 적 합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도구성과 힘 · 성취에 대한 욕 구는 모두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직접효과를 보일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를 매개로 간접효 과도 함께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남자청소년의 다차원적 성역할 즉 도구성과 힘 · 성취에 대한 욕구 모두 자아존중감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를 통해 서도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선행연구와 일관되는 결과이며, 본 연구의 가정이 지지되는 결과이다. 즉, 남자청소년은 도구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힘 · 성취에 대한 욕구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 또한 이들은 도구성을 내면화할수록 학업성취가 높아져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며, 힘 · 성취에 대한 욕구에 집착할 수록 학업성취가 낮아져 자아존중감이 낮아질 수 있다. 이에 초기 남자청소년의 자아존 중감 향상을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 사 회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생애 초기부터 형성된 견고한도 구성과 성역할갈등 자체를 변화 시키기 쉽지는 않지만 이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과 탐색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 았다. 본 연구는 남성성역할의 긍정적 측면인 도구성과 부정적 측면인 성역할갈등을 통 합하여 남자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살피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청소년기 공격성과 우울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전이 양상 및 영향 요인

        하문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1

        본 연구는 잠재전이성장혼합모형(LT-GMM)을 적용하여 청소년기 공격성과 우울의 종단적 발달에 대한 다양한 잠재계층이 어떠한 전이를 나타내는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LT-GMM 분석결과, 공격성의 잠재계층 양상은 고-증가집단(11.3%), 중-소폭감소집단(56.0%), 저-감소집단(32.7%)으로 구성되었고, 우울의 잠재계층 양상은 저-증가집단(48.1%), 중-소폭감소집단(44.8%), 고-감소집단(7.1%)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공격성의 저-감소집단에 속한 청소년들은 우울의 저-증가집단에 속할 가능성(59.7%)이 높았고, 공격성의 고-증가집단에 속한 청소년들은 우울의 고-감소집단에 속할 가능성(15.7%)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잠재계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자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격성의 고-증가집단 청소년들은 남자일수록,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또래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우울의 고-감소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공격성과 우울의 공존 현상을 역동적,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에 대한 개입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 및 학교적응 간 관계: 실패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하문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ilure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pressure,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in 1,157 children. Analyse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on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academic stres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ilure tolerance was significa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Third, failure tolerance wa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adjustment, which confirmed the existence of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basis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child counseling, simultaneously identifying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the adjustment to school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아동 1,157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및 학교적응의관계에서 실패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아동패널조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데이터를 바탕으로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아동의 성취압력과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실패내성의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성취압력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실패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초등교육과 아동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경험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남성 성역할갈등의 남녀 보편화 가능성 검증: 남녀 간 잠재평균분석과 등가제약모형의 적용

        하문선,김지현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cept of male gender role conflict(GRC) can be generalized to women. To this e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ub-factors of GRC lead to conflicts among women, and whether there is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sub-factors and depression, sub-factors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latent mean comparis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 values of all subscales: SPC, RE, CBWF, and RABM. In addition, Equivalence constraint model comparison showed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all path coefficients from all sub-factors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imply generalizability that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can be applied in common without distinction of gender.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성성역할갈등 개념이 여성에게도 일반화될 가능성이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 성역할갈등의 구인들이 여성에게서도 갈등을 가져오는지, 남성성역할갈등 구인과 우울 및 자아존중감 간 구조적 관계가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잠재평균분석과 남녀 집단 간 등가제약모형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하위척도 즉 SPC, RE, CBWF, RABM 각각의 잠재평균값에서 남녀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 성역할갈등을 구성하는 각 요인에서 우울, 자아존중감에 이르는 각각의 경로계수에서도 남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남성 성역할갈등척도가 남녀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남성 성역할갈등의 보편화 가능성(generalizability)을 제안하고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적응과 가족갈등 간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하문선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maladjustment and family conflict of adolesc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her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across time in ways that prior adolescent maladjustment leads to subsequent adolescent maladjustment and family conflict, and vice versa. The data of adolescents from Korea Welfare Panel Survey(KWP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uggested that both prior adolescent maladjustment and family conflic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bsequent adolescent maladjustment and family conflict respectively. Although prior family conflict didn't affect subsequent adolescent maladjustment, prior adolescent maladjustment affected subsequent family conflict. These results imply that improving adolescent adjustment is required to reduce family conflict. Bo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부적응과 가족갈등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한국복지패널(KWPS)의 1차 시점(초4~초6)에서 4차 시점(중1~중3), 7차 시점(고1~고3)에 이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이전 시점의 부적응과 가족갈등은 이후 시점의 부적응과 가족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안정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가족갈등은 이후 시점의 청소년 부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이전 시점의 청소년 부적응은 이후 시점의 가족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의 가족갈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서 청소년 적응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하문선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nalized shame. In addi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n effect o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had an effect on social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multi-group equivalence verification for the final model,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the cognitive-emotional mechanism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nalized shame can act as risk factors for children's social anxiet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사회부과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및 사회불안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 각각의 단일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셋째, 최종모형에 대한 다집단 동등성 검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인지정서적 메커니즘이 아동의 사회불안에 대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