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위터 담화의 의사소통 요소에 대한 연구

        최화니(Choi, Hwa-ni)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본 연구는 트위터(Twitter) 담화에 관여하는 의사소통 요소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트위터 연구는 주로 메시지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므로, 메시지 이외의 또 다른 의사소통 요소에 대해서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모델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요소를 결정하고, 2022년 7월에서 9월 사이에 생산된 트위터 담화를 수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트위터 담화의 의사소통 요소는 크게 ‘경로 및 환경, 송신자 및 수신자, 메시지, 잡음 및 피드백’으로 나눌 수 있다. 트위터는 대표적인 SNS로서 메시지의 간결성과 강한 전파력을 바탕으로 거대한 의사소통의 장을 형성하는 ‘경로’이다. 그리고 트위터 담화의 ‘환경’에 해당하는 가상공간은 크게 ‘트윗창, 답글창, 쪽지함, 스페이스, 타임라인, 알림함, 검색창’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트위터 공간에서는 글말의 메시지만을 송수신하였으나, 지금은 스페이스(spaces)라는 실시간 음성 채팅 공간을 통해 입말로도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트위터 담화의 ‘송신자 및 수신자’ 유형은 일상 언어와 비슷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세부 내용에서는 차이점이 있다. 예컨대 송신자의 일종인 ‘전파자’의 경우, 일상 담화에서는 다양한 인용 표지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트위터 담화에서는 별도의 인용 표지 없이 ‘리트윗(retweet)’ 기능을 활용하거나, ‘@(:)’과 같은 트위터 특유의 직접 인용 표지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그리고 트위터 담화의 ‘메시지’ 중에서 ‘인용 트윗(quote tweet)’은 답글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이는 ‘비공손성, 비제한성, 공론장 형성, 비선형성’의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답글과 구별된다. 이러한 인용 트윗은 담화상에서 주로 ‘정보 제공, 감상 및 평가, 관계 형성 및 단절’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트위터 담화의 ‘잡음’에는 트윗의 사진을 미리보기로 게시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으며, ‘피드백’의 유형 중에서는 ‘비공개 계정에 의한 인용 트윗’이 트위터 특유의 부정적인 피드백 방식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involved in Twitter discourses. The existing researches on Twitter have mostly concentrated on messages, so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well. Thus, this thesis decided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on communication model,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witter discourses produced in July-September 2022.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involved in Twitter discourse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channel & setting, sender & receiver, message, and noise & feedback. As a representative SNS, Twitter is a ‘channel’ that forms a huge place for communication based on great diffusion and simplicity of messages. And the virtual space which is the ‘setting’ of Twitter discourse, is largely composed of ‘compose tweet box, reply box, message box, spaces, timeline, notice box, and search box’. The previous Twitter space produced only written word messages. Now, however, it can also produce spoken word messages through ‘spaces’. Also, the types of ‘sender’ and ‘receiver’ of Twitter discourses could be classified similarly to everyday language while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content. For example, the ‘propagators’ who are a kind of senders use various quotation markers in everyday discourses. In Twitter discourses, however, they utilize the retweet function without any additional quotation markers or use the direct quotation marker of Twitter such as ‘@(:)’ in many cases. Even though the ‘quote tweet’ in messages of Twitter discourses has been regarded as having the similar function to reply, it is distinguished from reply in the aspect of having the characteristics like ‘non-politeness, non-limitation, formation of public sphere, and non-linearity’. This quote tweet is mostly performing the functions to provide information, to appreciate/evaluate, and to build/sever relationships. Meanwhile, the ‘noise’ of Twitter discourses could include the method of posting the photos of tweet as preview. In the types of ‘feedbacks’, the quote tweet of private account is viewed as the unique negative feedback method of Twitter.

      • KCI등재

        "막이래"의 담화 기능 연구 -트위터(Twitter) 언어를 중심으로-

        최화니 ( Hwa Ni Choi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2 텍스트언어학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icate the status of ``Mak-irae`` as a discourse marker, which currently is frequently used in colloquial scenes, and to clarify its specific discourse functions by investigating its characteristics. `` Mak-irae``, a discourse marker formed by the close combination of ``mak`` and ``irae``, has the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general discourse markers on the sides of morphology,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 Mak-irae``, with such properties, exert various unique discourse functions by playing the role of ``otherization``, in which one treats his/her own utterance as if it is a third party``s. We can consider its discourse functions specifically on the sides of speaker-related, hearer-related, and discourse-related functions. Also, implementing research in language usages shown from ``twitter``, this paper predicts that the language data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can be alternative corpora that well show the aspects of modern colloquial usages including `` Mak-irae``.

      • KCI우수등재

        공직윤리와 충(忠)

        최화인 ( Hwoain Choi ),배수호 ( Suho Bae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3

        현대 공직윤리 연구자인 Terry Cooper에 의하면, 공직윤리란 행정조직에 몸담고 있는 공직자의 공적(公的)인 삶의 양태에 동의를 이끌어내는 가장 중요한 내적 근원이 된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공직부패로 인한 행정의 위기, 즉 공직윤리의 위기는 행정의 위기이자 공공성의 위기를 야기할 만큼 심각해지고 있다. 행정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공직윤리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규제와 처벌적 제재를 늘리고 있으며 공직윤리 함양을 통해 내적인 ``공직기강의 확립``에도 힘쓰고 있다. 특히 2015년 초, 박근혜 정부는 새롭게 ``충(忠)``을 공직윤리의 기준으로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직윤리의 기준으로 유학에서 논의되었던 ``충``의 윤리적·가치적 함의를 살펴보고, ``충``이 현재에도 적용 가능한 공직윤리가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유학에서 논의되었던 ``충``의 두 개념 - 초기 유학에서 이야기되었던 ``충신(忠信)``으로서의 ``충``과 전제국가 성립 이후의 ``충효(忠孝)``로서의 ``충`` - 을 구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논어(論語)」를 통해초기 유학에서 공자가 말한 ``충신(忠信)``의 ``충``은 말과 행동, 생각과 언어에서의 일체성, 즉 외면과 내면의 일관성과 신실함을 유지하는 대자적(對自的)인 실천윤리이자, 인간관계 안에서 쌍방향적으로 구현되어야 할 대타적(對他的)인 작동원리였다. 이에 비해 전제 군주 국가가 성립된 이후의 ``충``, 즉 「효경(孝經)「을 통해 이념화된 ``충효``의 ``충``은 ``효``라는 사적 윤리를 공적 윤리로 확대한 것으로 보고, ``효``의 궁극적 완성을 ``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충효``의 개념을 통해 군주는 부모와 동일 범주의 윗사람으로, 이성적 판단의 대상이 아니라 무비판적으로 섬겨야하는 당위의 대상이 되었다. 전제군주제 시대에 ``효``와 결합된 ``충효``의 ``충``은 전제국가로서의 통일성과 사회적 안정을 확보하는 데는 적지 않은 이념적 기여를 하였지만, 내면적 수양의 실천윤리이자 쌍방향적 소통과 이해의 윤리였던 초기 유학에서 공자가 말하던 ``충``과는 다른 개념으로 전화되었다. 21세기 공직윤리의 새로운 기준으로 유학의 ``충`` 사상을 고찰해보면, ``충효``로서의 ``충``은 상관에 대한 맹목적·절대적인 복종과 헌신을 우선시하는 일방향적 도덕가치라는 점에서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부합하지 않는 개념이다. 오히려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선진유학 시절 공자가 주장했던 ``충신``으로서의 ``충``이, 내외의 일치 및 언행의 일치를 강조하고 쌍방향적 책임성을 담보했다는 점에서 현대 민주적 가치에 부합하며 숙의민주 주의에서 요구하는 숙의성(deliberativeness), 성찰성(reflexivity) 등을 수렴하고 있다. 요컨대 자율적 인간을 전제로 한 21세기 민주사회에서는 ``충효``적 ``충``, 즉 ``옳고 그름``을 논외로 한 맹목적 충성과 헌신이 공직윤리가 될 수 없다. 반면에 수신(修身)을 통해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 자아의 확장을 통한 역지사지(易地思之)로 공감능력의 확충(擴充)을 요구하는 공자의 ``충``(``충신``과 ``충서``)은 오늘날 공공성의 위기와 행정윤리의 위기를 타개하는 데에, 성찰성과 상호성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윤리 및 개인윤리에 부합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early 2015, President Park Geun-hye and her chief of staff, Kim Ki-chun (who eventually stepped down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iscord within the presidential office that followed a controversial document leak in late 2014), in succession, demanded loyalty (忠) as an important ethical standard of public office. Many Korean people felt doubt as to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that the core power of the presidential office required loyalty to public officials in a democratic republic of the 21st century, and wondered what kind of loyalty it would be. In this paper, we discuss what loyalty (忠) means, and how Confucian ideas has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concepts of loyalty in the premodern era. We analyze two concepts of loyalty appearing in the Confucian classics. One is loyalty and sincerity (忠 信), appearing in the Four Books (四書), especially the Analects (論語). The other is loyalty and filial piety (忠孝), appearing in the The Book of Filial Duty (孝經). The former, loyalty and sincerity, means consistency between speech and action, and between inside and outside; namely, sincerity.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loyalty and filial piety, stressingfilial piety to parents, reinforced one-way loyalty to the monarchy rather than reflexivity and mutuality. Which of these two concepts would be more useful and appropriate to restore public spirit in a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격률 위배를 통해 본 베스트 댓글의 대화 전략

        최화니(Choi Hwa-ni)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격률 위배를 바탕으로 ‘베스트 댓글(best reply)’의 특징과 대화 전략을 살피는 것이다. 베스트 댓글은 네티즌들의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댓글이므로 이를 분석하면 네티즌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대화 전략을 확인할 수 있다. 베스트 댓글 자료는 포털 사이트 ‘네이트(NATE)’의 시사, 연예, 스포츠 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베스트 댓글의 대화 전략을 살피기 위해 Grice(1975)의 대화 격률과 Lakoff(1973)의 공손 격률을 이론적 토대로 활용하였다. 특히 격률의 위배(flouting)로 창출된 특수한 의사소통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격률의 위배 빈도수는 스포츠 기사의 베스트 댓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시사 기사, 연예 기사의 순서로 나타났다. 베스트 댓글들은 스포츠, 시사, 연예라는 각 분야에 따라서 변별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모든 분야의 베스트 댓글에서 질의 격률의 위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공손의 격률과 양의 격률, 관련성과 태도의 격률 순서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질의 격률 위배는 주로 과장법과 은유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과장된 표현으로 화자의 의견을 강조하여 표현하고, 관용적 은유 표현과 독창적 은유 표현을 풍부하게 활용하는 것이 베스트 댓글의 지배적인 대화 전략이었다. 다음으로 공손 격률의 위배 양상은 공손의 표현 대상을 ‘화제 관련 인물’, ‘기자’, ‘네티즌’으로 나누어 살폈다. 공손 격률은 ‘화제 관련 인물’을 표면적 청자로 설정했을 때 가장 많이 위배되었는데, 이는 표면적 청자에 대한 불손함을 통해 실질적인 청자(네티즌)와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대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양의 격률 위배는 정보를 과다하게 제공한 경우보다는 과소하게 제공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처럼 최소한의 표현으로 최대한의 소통을 꾀하는 방식이 선호되었다. 마지막으로 관련성의 격률과 태도의 격률 위배는 비록 빈도수는 낮았지만 풍자와 해학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격률 위배에 따른 베스트 댓글의 대화 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 유연하게 말하기: 관련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발화한다. (ⅱ) 과장하여 말하기: 화자의 의도를 과장하여 강렬하게 전달한다. (ⅲ) 은유적으로 말하기: 독창적 은유 표현과 관용적 은유 표현을 복합적으로 활용한다. (ⅳ) 불손하게 말하기: 표면적 청자에 대한 불손으로 실질적인 청자와 교감한다. (ⅴ) 은어로서 말하기: 청자와의 공유 지식을 최대화하고 언어 표현을 최소화한다. (ⅵ) 유희적으로 말하기: 언어유희를 통해 풍자와 해학을 표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dialog strategies of best replies based on the flouting of maxims. Because best replies are those recommended most by netizens, we may find dialog strategies that are considered ideal by netizens by analyzing best replies. Best rep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ews of current affairs, entertainment, and sports in portal site NATE. In addition, the dialog strategies of best replies were analyzed using Grice’s (1975) conversational maxims and Lakoff’s (1973) politeness principles as theoretical bases. In particular, analysis was focused on particular communication effects produced by the flouting of maxims. The frequency of maxim flouting was highest in best replies to sports news, and next in those to current affair news and those to entertainment news. Best replies in each area of sports, current affairs, and entertainment show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Commonly, however, the flouting of quality maxims was most frequent in all the areas, and next the maxims of politeness, quantity, relevance, and attitude in order of frequency. The flouting of quality maxims was made mainly through hyperbole and metaphor. The prevalent dialog strategies of the best replies were emphasizing the speaker’s opinion through hyperbolic expressions, and using many idiomatic metaphoric expressions and original metaphoric expressions. Next, for the flouting of politeness maxims, this study examined the objects of polite expression, grouping them into ‘people at issue,’ ‘reporters,’ and ‘netizens.’ Politeness maxims were flouted most often when ‘people at issue’ were set up as a superficial audience. This may be regarded as a dialog strategy for creating consensus with the actual audience (netizens) through impoliteness to the superficial audience. In addition, the flouting of quantity maxims was observed more when the quantity of information provided was too small than when it was too much, and in this way, the way of seeking maximum communication through minimum expression was preferred. Lastly, the flouting of relevance and attitude maxims was not frequent but it played the role of presenting satires and humors effectively. Based on this analysis, the dialog strategies of best replies through the flouting of maxims are summarized as follows: (ⅰ) Speaking gracefully: utter in an appropriate way according to the type of related texts; (ⅱ) Speaking hyperbolically: deliver the speaker’s intention intensely through hyperbole; (ⅲ) Speaking metaphorically: utilize both original metaphoric expressions and idiomatic metaphoric expressions; (ⅳ) Speaking impolitely: sympathize with the actual audience through impoliteness to superficial audience; (ⅴ) Speaking in slang: maximize knowledge sharing with the audience and minimize verbal expressions; (ⅵ) Speaking playfully: express satires and humors through word play.

      • KCI등재후보

        ≪국어문법≫에 나타나는 주시경의 지시어 인식

        최화니 ( Hwa Ni Choi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건지인문학 Vol.12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Ju Si-gyeong’s perception of demonstratives by analyzing ‘I/Geu/Jeo’(이/그/저)type-words appearing in his Korean Grammar. Moreover,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Ju Si-gyeong’s perception of demonstrativ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I/Geu/Jeo’ type-words in Korean Grammar perform largely the functions of ‘indication’, ‘description,’ and ‘connection,’ and this is consistent with the explanation of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hat is noteworthy is, however, the order of ‘I-Jeo-Geu’. Ju Si-gyeong consistently maintained the order of ‘I-Jeo-Geu’ instead of ‘I-Geu-Jeo’, and by doing so, revealed his unique perception distinguishing between ‘I/Jeo’ and ‘Geu’. In Korean Grammar, ‘I/Jeo’ usually represents a deictic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example sentences including ‘I/Jeo’, ‘I/Jeo’ type-words were interpreted as deixesthat require a situational context. On the other hand, ‘Geu’ representeda substitute function. Ju Si-gyeong used sign ‘( )’ in order to indicate a co-reference relation in ‘jjamdeumgal’(짬듬갈), and the antecedent omitted here was substituted by ‘Geu’. Here, Ju Si-gyeong seems to have perceived the essential function of demonstratives not as substitute but as deictic.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that he viewed personal pronouns‘I/you/we’ as concepts of indication. This is believed to be a setting for filling the gap of the deictic system that cannot be expressed with ‘I/Geu/Jeo’. However, this perception has problems in that ‘geot’(것) in ‘Igeot/Geugeot/Jeogeot’(이것/그것/저것) was regarded as a pronoun, that the concepts of ‘distance from the speaker and hearer’ were not stated clearly, and that the modifications cope of ‘I/Geu/Jeo’ was misunderstood. Despite these problems, however, Korean Grammar is considered highly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and explained the pragmatic functions of demonstratives.

      • KCI등재

        ‘-답-’, ‘-롭-’, ‘-스럽-’의 결합제약과 의미 기능 : 트위터(Twitter) 언어를 중심으로

        최화니(Choi, Hwa-ni) 한국언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학 Vol.1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mbination constraint and semantic function of the adjective derivational suffixes, ‘-dab-’, ‘-lob-’, ‘-seuleob-’ based on Twitter language. To this end, it collected the derivatives of ‘-dab-’, ‘-lob-’, ‘-seuleob-’ and analyzed the aspects of use in Tweets written from 1 to 31 Oct. 2018. These suffixes have taken similar meanings but have been divided into different phon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ombination constraints. On Twitter, however, the suffix perceived as losing productivity in the past was also being actively used since the constraints were greatly weakened. The weakening of the combination constraint occurred in the syntactic and semantic levels, and, in particular, as the weakening of the semantic constraint was common all of ‘-dab-’, ‘-lob-’, ‘-seuleob-’, it showed that their boundaries of meaning were being broken down. Only it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way that ‘-dab-’ strongly reveals the equality between preceding base and subject, ‘-lob-’ functions to abstract the concrete base, and ‘-seuleob-’ shows to come close to nature of base while maintaining the substance of base somewhat.

      • KCI등재

        수자원관리정책을 위한 물의 은유와 상징

        배수호(Su Ho Bae),최화인(Hwoa In Choi),홍성우(Sung Woo Hong) 한국정부학회 2015 한국행정논집 Vol.27 No.2

        고대 동양철학자들은 일반적 원리들이 자연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마음과 인간사회를 지배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 및 마음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의 조직, 관리, 통치 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자연물이나 자연현상의 원리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이 논문은 동양의 주요 고전인 『맹자』에서 맹자가 성선(性善), 사단(四端), 인의(仁義), 덕(德), 교육, 여민동락(與民同樂), 왕도정치(王道政治) 등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펼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한 물의 비유·은유·상징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 수자원관리정책에 던져주는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이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맹자』에서 물의 비작위성과 비인위성,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자연스러움, 물의 근원성과 생장능력, 물의 보편성과 편재성, 물의 차등적 가치, 물의 세탁능력과 치유능력, 물의 위험성과 재난, 관리 대상으로서의 물 등 다양하게 비유·은유되고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특히 물은 생명의 근원이고 생존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는 점에서 오늘날 수자원관리정책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맹자의 ‘행기소무사(行其所無事)’ 원칙은 물을 가두는 방식 보다는 물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이용한 치수·이수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특히 동양철학의 가치와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의 수자원관리정책은 물, 치수, 이수에 대한 동양철학적 인식을 고려한 정책방향의 정립이 요구된다. Ancient East Asian philosophers thought that general principles are applied not only to nature but also human mind and society. Therefore, they studied to find general principles of natural world and phenomena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not only human nature and mind but also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governing of huma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metaphors and symbols of water, which are employed for Mencius to express his philosophical ideas and thoughts, including benevolence(仁), four sprouts(四端), and king`s way of politics(王道政治). On the basis of content and text network analyses, water in 『Mencius 孟子』 is characterized and metaphored as (but not limited to) non-artificiality, water flowing from high to low place, origin of all life, universality, differential value of water, self-purification, the possibility of risk and disaster by water, and water as the element to be managed and controlled. Mencius emphasizes water to be the most essential element for all natural beings, including humans, to survive and prosper, and thus the paper suggests that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olicy be considered as top priority. It also suggest that the way to consider natural flow of water be better than its artificial control in managing water resources.

      • KCI등재

        민간위탁 공급방식이 서비스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생활폐기물 처리서비스를 중심으로 -

        정성영 ( Seong-Young ),배수호 ( Su Ho Bae ),최화인 ( Wha-In Choi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3

        본 연구는 지방 환경서비스 중 생활폐기물 처리의 민간위탁 방식이 서비스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효율성은 처리비용의 효율성, 인적 자원의 효율성, 물적 자원의 효율성 등 세 가지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효율성 개념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생활폐기물 전체 처리량 중 민간업체 처리량의 비율을 활용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30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패널자료를 활용한다. 분석방법으로 (i) 고정효과(fixed-effects model) 모형과 패널 내에서의 자기상관과 패널 간 이분산성을 고려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ii) PCSE 모형을 도입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민간위탁 방식은 효율성 측정변수로 도입한 세 가지 종속변수 중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 측면의 효율성을 증가시켰으나, 비용절감 효과는 얻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민간위탁을 통해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주장을 쉽게 받아들여서는 안 되며, 민간위탁에 관한 공식화된 절차와 제도를 강화하고 수탁기관을 지속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통제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민간위탁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정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tracting-out on efficiency in the delivery of municipal solid waste services to citizens in Korea. To do so, it employs the three types of efficiency in terms of (i) service delivery cost, (ii) workers, and (iii) machines and equipments,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ratio of the solid waste amounts collected and treated by private contractors to the total amounts collected and treated in a local jurisdiction. For empirical analysis, it employs a fixed-effects model and a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 (PCSE) model and uses cross-sectional time-series data from Korean local governments covering the ten-year period (2000 to 2009). According to empirical findings, there are the positive effects of contracting-out on efficiency in terms of workers and machines and equipments, but there are no effects on cost savings.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should be careful to draw any conclusion that contracting-out saves costs and realizes service efficiency. In addition, the roles of government, such as building up and strengthening formal processes or institutional mechanisms, and developing effective systems to monitor private contractors, might be crucial to make 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ntracting-out in the delivery of local public servi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