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혈중 납과 혈압의 연관성에 관한 메타분석

        고상백,남정모,최홍열,차봉석,박종구,지호성,김춘배,Koh, Sang-Baek,Nam, Chung-Mo,Choi, Hong-Ryul,Cha, Bong-Suk,Park, Jong-Ku,Jee, Ho-Sung,Kim, Chun-Bae 대한예방의학회 2001 예방의학회지 Vol.34 No.3

        Objectives : To integrate the results of studies which assess an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and blood pressure. Methods : We surveyed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a MEDLINE search with blood lead and blood pressure as key words, including reports published from January 1980 to December 2000. The criteria for quality evaluation were as follows: 1) the study subjects must have been workers exposed to lead, and 2) both blood pressure and blood lead must have been measured and presented with sufficient details so as to estimate or calculate the size of the association as a continuous variable. Among the 129 articles retrieved, 13 studi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meta-analysis. Before the integration of each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blood lead, a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Results : As the homogeneity of studies was rejected in a fixed effect model, we used the results in a random effect model. Our quantitative meta-analysis yielded weighted regression coefficients of blood lead associ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esults of 0.0047 (95% confidence interval [CI]: -0.0061, 0.0155) and 0.0004 (95% CI: -0.0031, 0.0039),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published evidence suggested that there may be a weak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and blood pressure, but the association is not significant.

      • SCIESCOPUSKCI등재

        국내 참외의 수확 후 관리 및 포장기술 연구

        김정수(Jung-Soo Kim),최홍열(Hong-Ryul Choi),정대성(Dae-Sung Chung),이윤석(YounSuk Lee)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5

        Oriental melon (Cucumis melo var. makuwa) is a popular and high-value market fruit cultivated in Korea. Consum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interested in oriental melon as a healthy diet over the past few years. However, the melons have relatively high quality loss because the fruit are mainly produced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in the summer season. Lack of the proper postharvest treatments and high temperature exposure at harvest or during distribution are the most critical environmental factors limiting postharvest life of fruit. This review focuses on the overview of current research studies for postharvest treatment and functional packaging technology of oriental melon in Korea. Major physiological problems of the harvest fruit include the ripening process in quality changes of the produce such as loss of weight, firmness, flavor, and decay during the storage periods. Low temperature at 7 to 10℃ with high relative humidity of 90 to 95% is the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 used to maintain the quality of fresh oriental melon. Controlled atmosphere (CA) storage or modified atmosphere (MA) packaging can be used as supplemental treatments to extend postharvest-life. For oriental melon, an optimum CA is currently recommended to be 2-3% oxygen and 5-10% carbon dioxide atmosphere. Precooling, pretreatments of ethylene action and functional packaging system can be applied to oriental melon after harvest in order to extend storage life. Major active packaging technologies are concerned with a selectively gas permeable film related to respiration of produce and the packaging applications of ethylene removal, antimicrobial, and antifogging substances to keep the effective freshness of fruit.

      • KCI등재후보

        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최홍열,고상백,장세진,차봉석,임형준,이상윤,김재용,강동묵,조수헌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1

        목 적 : 하청노동을 이용한 노동 유연화 전략은 근로자들의 고용을 불안정시키고, 근로자들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고용현황을 조사하고, 기존의 업체중심의 건강평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평가의 현재적 의미와 사회적 배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모기업과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정기건강진단(일반, 특수)과 채용건강진단 자료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건강진단에서 누락된 비정규직을 포괄하기 위하여 SF-36을 이용하여 건강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결 과 : 조선업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고용기간은 짧고, 빈번한 노동이동 현상을 보였다. 3년간 건강진단 수검 현황을 통해 살펴볼 때, 1998년 수검자중 2000년까지 연속해서 검진 받은 수검자는 40.3%였다. 건강진단 결과 유소견자 규모를 통해 모기업과 하청업체간의 건강수준을 비교해 보았다. 모기업은 일반질병 요관찰자와 질병자를 포함한 유소견자가 1,011명으로 약 10 %의 유소견율을 보이고 있고, 질병자의 경우 596명으로 유병률이 5 %를 상회하고 있다. 반면 하청업체의 경우 1,967명의 수검자중 유소견자가 115명으로 6 %의 유소견율을 보이고있고, 질병자는 82명으로 4 %의 유병률을 보이고있다 채용건강진단을 받은 수검자는 6,260명 이었으며, 이 중 유소견자 수는 2,373명으로 전체 수검자의 37.9 %를 차지하였다. 건강설문지의 경우는 전체 건강수준의 총합은 하청보다 원청 근로자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정기건강검진 결과는 하청근로자들이 고용형태에 따라 검진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아, 건강 근로자 효과로 표현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채용건강진단 결과는 다른 측면에서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수준의 현실적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문제를 감시하고 개선하려면 기존의 업체 중심의 접근으로는 하청 근로자의 건강문제를 제대로 다룰 수 없고, 업종과 지역을 동시에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기 고용 근로자 및 비정규직 근로자를 사회보장의 확충과 모기업의 연대책임 강화 및 기업복지 차원에서 포괄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Objectives : The strategy for the labor flexibility through subcontracted labor have brought a negative effect on the lives of the worker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unstable employ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of subcontracted firms and the health status of them, and to find out some problems which have been caused in the process of health eval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xclusion. Methods : We reviewed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and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in order to compare health status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with those of the parent firm workers. The SF-36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ssess th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Results : The result shows that compared to the working duration of the parent firm workers, those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were shorter, and the job transfer rate was higher. In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the prevalence of occupational and general disease was higher in the parent firm(10%) than in the subcontracted firms(6%).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ker's health manage- ment. Among 6,260 workers who received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the prevalence of disease was 37.9%. Mean scores of health status measured by SF-36 were lower in the subcontracted firm than in the parent firm. Conclusions : Due to social exclusion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from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have the healthy worker effect.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could be a more appropriate indicator which is able to assess the health status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than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 KCI등재후보

        조선업 도장작업자의 유사노출군과 노출변이; 크실렌 노출을 중심으로

        고상백,노영만,임현우,신용철,김수근,최홍열,김재용,장성훈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조선업 도장 작업자의 크실렌 노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직무 및 밀폐특성에 따라 유사노출군으로 구분하여 노출 변이 및 동질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3회 이상 반복측정이 이루어진 근로자 중동일공정에서 직무상 변동이 없는 근로자 총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출농도 값을 대수전환(lOgtransformation)하여 근로자간, 근로자내 노출 분산요소을 추정하기 위하여, nested randomeffects ANOVA model을 활용하였다. 선정된 유사노출군 내 구성원의 측정 평균이 동일하다고 할수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분산요인(9f)을 산출하였고, 쿨즈0.031일 경우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또한 노출 값을 대수전환하여 95 %의 근로자(b-R9s)가 2배수 범위 내에 측정값을 가질 경우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 bwRSS의 값을 유사노출군내의 근로자들간(between worker)의 기하표준편차(bwsy)를 구한 후 exp(3.92 bwsy)로 계산하여 산출하였고, 그 값이 2이하이면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 결과 : 일반적으로 유사노출군은 노출농도가 비슷한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직무에 근거한 유사노출군은 동질성 검정상 이질적이었다. 분무도장과 붓도장 모두 bwRss은 2를 초과하였고, 룰 또한 0.031를 초과하여 변이 폭이 컸다. 그러나 밀폐특성에 따른 노출 분포의 변이성은 직무만으로 구분했을 때의 변이지표 보다 그 수치가 낮아 밀폐특성으로 직무의 변이성을 설명 할 수 있었다. 결론 : 직무에 근거한 유사노출군이 동질적이지알다는 결과는 유사노출군으로 구분된 근로자의 업무특성이 하나의 유사노출군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작업환경 측정 시 직무뿐만 아니라 특정 업무(specific task) 또는 세부작업현황까지 파악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centration of xylene exposure and exposure variability of a similar exposure group (SEG) in accordance with job title and confined space. Method :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8 workers working in the painting proces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Measurement of subjects were repeated three times. Within and between-worker exposure valiance components were estimated from log-transformed exposure concentrations employing a one-way nested random effects analysis of variance model. A uniformly exposed group was defined as one where the between-worker variance(σB2) was less than or equal to 0.031 or bwR95 ≤2, where bwR95 =exp(3.92 bwSy) , representing the radio of the mean exposures of the 97.5th and 2.5th percentile groups of the workers sampled. Result :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trary to popular belief, similar exposed groups based on job title were heterogeneous. The between-worker variance(σB2) is large(≥0.031) and the ratios of the 97.5th and 2.5th percentile workers of the log normally distributed exposures of each group of worriers was more than 2. However dividing job title into confined space (in-block, out-block, in/out-block) decreased the between-worker exposure varia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exposure in painter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We cannot accept the assumption that SEG are uniformly exposed, as a major component of variation in exposure relates to differences in tacks or other factors. Therefore, the observational schemes can be improved by investigating Job-specific task and practice.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 심박동수 변이 및 대사증후군

        장세진,고상백,최홍열,우종민,차봉석,박종구,천용희,정호근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1

        목적: 이 연구는 Karasek의 직업성 긴장 모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심박동수 변이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직업성 긴장 수준을 대사증후군에 따라 층화하여 심박동수 변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영남지역에 위치한 일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03년 8월 1일부터 10월 30일 까지 종합건강진단에 참여한 40세 이후의 남자 근로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69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 직업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심박동수 변이 측정은 SA-2000E(medi-core)를 이용하였고, 크게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시간영역 분석 지표로 SDNN을 사용하였고, 주파수 범위지표들은 LF, HF 및 total power 등을 사용하였다. 대사증후군 수축기 혈압, 혈당, 중성지방, 고밀도(HDL)콜레스테롤, 허리-엉덩이 둘레비 중 세가지 이상이 위험도가 높은 상위 5분위 수에 포함될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직업적 특성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요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직업성 긴장수준에 따른 위험인자의 분포는 다른 집단에 비해 고긴장집단이 혈당, 호모시스테인, 혈액응고인자, 혈압 등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이완기 혈압은 고긴장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경제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박동수 변이는 고긴장 집단에서 SDNN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주파수 영역의 분석지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직업성긴장수준의 경우 대사증후군은 저긴장, 수동적, 활동적 및 고긴장 집단이 각각 9.7%, 13.9%, 14.9%, 23.8%로 고긴장집단의 경우 저긴장집단에 비해 교차비 2.92로 높았으나 95% 신뢰구간 0.73~11.67로 유의하지 않았다. 직업성 긴장 수준을 대사증후군 여부로 층화하여 심박동수 변이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저긴장집단 정상군에 비해 고긴장집단 대사증후군이 있는 위험군에서 심박동수 변이 SDNN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주파수 분석영역 지표에서는 LF/HF 비가 높아 자율신경계가 과반응을 보이는 것을 시사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고긴장집단에서의 심박동수의 변이 감소는 질병의 직접적인 지표라고 말할 수는 없으나, 심박동수 변이는 심혈관계의 기능장애를 유발하거나 위험신호로 받아들일수 있다고 판단된다. Objective: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documented that job stress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Nevertheless,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of this association remains unclear. Therefore, we tri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heart rate variability and metabolic syndrome.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and 169 industrial workers were recruited.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work demand, decision latitude).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recorded using SA-2000 (medi-core). HRV was assessed by time-domain and by frequency-domain analyses. Time domain analysis was performed for SDNN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and spectral analysis for low-frequency (LF), high-frequency (HF) and total frequency power.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on the basis of clustering of risk factors, when three or more of the follow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fifth quintile: glucose, systolic blood pressure, HDL-cholesterol (bottom quintile), triglyceride and waist-hip ratio.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job characteristics were not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 high strain group had a less favorable cardiovascular risk profile with higher levels of blood pressure, glucose, homocysteine, and clotting factor than the lower strain group (low strain+passive+active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DNN of HRV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 strain group than in the low strain group.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low strain, passive, active and high strain groups was 9.7%, 13.9%, 14.9% and 23.8%, respectively. In the high strain group, the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 decreased SDNN. However, we could not find a significant association in LF/HF ratio.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decreased HRV does not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disease; however, it can induce cardiovascular abnormalities or dysfunctions related to the onset of heart disease among high risk groups.

      • KCI등재후보

        노동시장 불안정시기의 채용시 건강진단에 대한 실태조사 : 난청을 중심으로 the Case of Hearing Loss

        고상백,김규상,장세진,차봉석,박종구,강동묵,김재용,김수근,최홍열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노동시장의 불안정은 산업의학 측면에서 접근할 때 채용시 건강진단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의 불안정한 고용 구조하에서 채용시 건강진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노동시장 불안정의 지표 중의 하나인 직장 유지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Neumark 등(1999), Bernhardt 등(1999)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취업 과정에서 채용시 건강진단의 회사내 운용현황과 내용을 검토하기 우하여, 취업 대상 총 79개의 사업장 보건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2001년 1월 1일부터 2001년 6월 30일까지 채용시 건강진단 수검자 총 1,8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건강진단결과 중 청력검사 자료를 연계하여 채용시 건강진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직장유지율은 40.3 %였다(남자 38.53 %, 여자 52.01 %). 조사대상 사업장은 총 79개로 취업의 부적격자 선정을 위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44개(55.7 %) 사업장이었고, 적성에 맞는 부서에 배치하기 위해 시행하는 경우가 3개(3.8 %) 사업장이었으며, 부적격자 선정과 적성배치를 둘 다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는 경우가 31개(39.2 %) 사업장이었다. 보건담당자 대부분은 난청, 척추질환, 간염 등이 채용시 문제가 된다고 인식하였다. 채용시 건강진단수검자 1,81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채용시 건강진단 실시시기의 경우 1,096명(60.3 %)이 채용 결정 전에 건강진단을 받았고, 채용이 결정된후 건강진단을 받는 경우는 530명(29.1 %)이었다. 수검자의 대부분이 1,591명(87.5 %)은 이전에 직장을 다닌 경력이 있었다. 채용시 건강진단에서 청력 검사 결과, 연령별 청력 이상자의 분포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청력 이상자의 비율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전 직장의 유무와 이직횟수에 따라서도 청력 이상자의 분포는 특히 4 ㎑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이 연구는 불안정한 고용구조가 채용시 건강진단에 밀치는 상황과 그에 대한 문제점을 보고자 하였다. 외환위기의 전후로 2년 직장 유지율의 변화는 장기근속자일수록, 비정규직일수록, 고연령층일수록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와는 달리 채용시 건강진단을 받는 수검자에게 특히 과거 직장경력자나 고연령층의 경우 채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노동시장이 불안정한 현실에서 업무 수행 능력이 있는 수검자가 단순한 건강문제로 노동권이 제한되는 부정적인 측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채용시 건강진단의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of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in terms of hearing loss case, where workers have been experiencing job instability in the labor market. Methods : In order to measure the 2-year job retention rate of employees in 79 shipbuilding Neumark et al(1999), and Bernhardt et al(1999). We surveyed 79 heath and safety personnel from the companies with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We reviewed the preplacement health certificates(result of audiometric hear-ing thresholds) of 1,818 recruits issued by Daewoo hospital from January 1 to June 30, 2001. Results : The job retention rate was 40.3 %(male 38.53 %, female 52.01 %). Of the 79 health and and safety personnel of companies, 44(55.7 %) perceived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as a tool for the selection of recruits, 3(3.8 %) as a procedure for job fitting and 31(39.2 %) as both. Most of them were against the acceptance of recruits with hearing loss, spinal disease and hepatitis. Among the 1,818 workers who underwent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530(29.1 %) were examined after employment, but 1,096(60.3 %) were examined before employment. The number with previous job experience was 1,591(87.5 %). In the audiometric hearing threshold results, the prevalence of hearing lo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hearing loss depending on previous job and number of quitting at 4,000 ㎐. Conclusions : The comparison of 2-year job retention rat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of 1997 suggests that job stability has been aggravated especially for cohorts of long tenure, irregular job, and old age, This evidence shows that previous job and age play a role in determining worker employment based on perceived results from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a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be substituted for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based on the essential job functions and reasonable accommodation. Because it has little relevance in a wide range of employment and minor health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should not debar applicants from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