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어휘론·의미론·사전편찬학

        최호철 국립국어연구원 1999 국어학 연감 Vol.1999 No.-

        이 글은 1998년도에 이루어진 어휘론ㆍ의미론ㆍ사전 편찬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곳은 <어휘ㆍ의미>를 공통으로 한다는 점에서 세 분야를 아울러 기술해 온 부분이지만, 앞으로는 각각의 독립적으로 기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읽는 독자로서보다는 이 글을 쓰는 필자로서 이런 점을 더욱 절실하게 느낀다. 어휘론이란 어휘의 의미를 다루는 것이고, 기껏해야 단어의 의미나 다루는 의미론이 어휘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의미 연구 초기 단계의 생각에서, 사전 편찬이란 이론적으로 탐구된 내용을 단순하게 옮겨 적은 것에 불과하다는 이전의 생각에서, 그리고 이들의 연구 성과를 다 모아도 다른 부문에 비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런 생각을 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가 급속도로 보급됨으로써 대량의 어휘를 빠른 시간에 다룰 수 있게 되고, 의미 연구의 대상이 단어에서 문장, 나아가 발화에로 폭넓어지고, 사전 편찬이 연구 성과의 단순한 응용이 아니라는 인식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게다가 이들 세 분야에서 중첩된 부분이 적지 않은 사정에서, 이 세 분야를 한고에서 다루기란 참으로 버거운 형편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여러 사정에도 불구하고 세 분야의 영역을 나름대로 구회지어 한 곳에서 다루지 않으면 안 되었기에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우선 의미 연구를 중심으로 언어 단위상의 어휘ㆍ문장ㆍ발화의 의미 연구를 구분하였으며, 어휘의 계량적 연구와 총괄적 기술은 어휘론 분야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사전과 관련한 모든 기술은 사전 편찬학 분야에서 다루기로 하였다. 이러한 구분에도 문제는 여전히 남는데, 그것은 어휘의 의미만 언급한 것은 의미론에서 다루었고, 어휘의 의미에도 언급한 것은 어휘론에서 다루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학범 박승빈의 용언 분석과 표기 원리

        최호철 우리어문학회 2004 우리어문연구 Vol.23 No.-

        This paper investigates Hakbeom Bak Seungbin theory on verb analysis and principles of notation presented in [Joseoneohak](1935), his remarkable work. His theory on verb analysis was a unique opinion at that time in opposition to Ju Sigyeong fixed stem-word form theory. As things turned out, Ju Sigyeong analysis fails to fix the stem-word form, therefore has to allow lots of exceptions and also admit of two ending forms. Moreover, many multiple-finals are made by fixing stem forms, these make new problems connected with the notation, because non-pronounced finals are added. In these problems, Bak Seungbin introduces the concept of verb conjugation and analyses verb meog(to eat) (eumyeo/eoseo/go) that is analysed by Ju Sigyeong into meogeu (myeo), meogeo (seo), meog (go). With this way, he is able to make no exception in notating stem-word and also able to fix a ending form into a singular form. In result, principles of notation come to be shorter and easier, because the character 'ㅇ' is decreased in place of multiple-finals and initial sound. In this respect, Bak Seungbin theory on verb analysis and principles of notation is supposed to be revaluated at present. 이 글은 학범 박승빈의 대표 저서인 「朝鮮語學」(1935)을 중심으로 그의 용언 분석과 표기 원리를 살핀 것이다. 용언 분석은 당시에 특이한 것으로서 주시경의 어간 단어 형태 고정에 반론을 제기한 것이다. 주시경의 분석은 결과적으로 어간 단어 형태도 고정하지 못하고 많은 예외를 두었으며 어미 형태마저 두 가지를 인정하게 되었다. 게다가 어간 형태를 고정함으로 말미암아 많은 둘받침이 새로 생기게 되었는데, 이는 발음상으로 드러나지 않은 받침을 덧붙임으로써 표기와 관련하여 새로운 문제를 일으키게 되었다. 이에 대해 박승빈은 용언 활용 개념을 도입하여 주시경이 ‘먹 (으며/어서/고)’로 분석한 것을 ‘머그 (며), 머거 (서), 먹 (고)’로 분석하여 어간 단어의 기술에서 예외를 만들지 않았으며 어미 형태를 한 가지로 고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표기에서 둘받침과 음절 첫 글자 ‘ㅇ’을 많이 줄일 수 있어서 표기를 한결 쉽고 간단하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박승빈의 용언 분석과 표기 원리는 재음미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정부 R&D 투자의 기업 성장잠재력 확대효과에 관한 연구

        최호철,윤지웅 한국정책학회 2021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글로벌 주요 국가들은 저상장 기조 속에서 글로벌 판데믹으로 가속화된 경기침체를 극복하고자 적극적인 R&D 활동을 통해 혁신과 경제성장을 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 다. 특히 민간기업에 대한 R&D 투자를 통해 민간기 업의 성장잠재력을 제고하고, 구가 경제를 재도약시키고자 투자의 규모와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R&D가 민간기업의 성장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가 기업의 성장잠재력 확충에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는지 Propensity score matching(PSM)방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기업의 설비투자를 성장잠재력의 대용변수로 활용하고, 정부의 R&D 투자는 기업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여부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참여하지 않은 기업에서 설비투자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기업을 기준으로, 정부 R&D 투자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기업의 특성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분했을 때, 정부 R&D 투자 수혜를 받은 대기업과 그렇지 않은 대기업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정부 R&D 투자 수혜를 받은 중소기업과 그렇지 않은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지원정책은 정책의 목표와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전략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대기업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R&D 투자보다 세제 및 규제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