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뇌 신경세포 보호효과

        최혜지(Hye Ji Choi),이효림(Hyo Lim Lee),고민지(Min Ji Go),김주희(Ju Hui Kim),이한수(Han Su Lee),김인영(In Young),허호진(Ho Jin Heo)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2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를 통해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에탄올 추출물이 갖는 in vitro 항산화 활성 및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적하수오 0%, 20%, 40%, 60%, 80% 및 95% 에탄올 추출물 중 40%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총페놀성 화합물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으며, 적하수오 40% 에탄올 추출물은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과 MDA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40%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α-glucosidase 및 acetylcholinesterase (AChE)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적하수오 40% 에탄올 추출물은 H₂O₂ 유도 HT22와 SK-N-MC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HPLC 분석결과 적하수오 40%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2,3,5,4-tetrahydroxystilbene-2-Ο-beta-D-glucoside(TSG)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적하수오의 항산화 활성 및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는 TSG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건강기능식품에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ic Polygonum multiflorum (P. multiflorum) extracts and their cytoprotective effects on H₂O₂-induced HT22 and SK-N-MC cells. Among ethanolic extracts of P. multiflorum, the 40% ethanolic extract of P. multiflorum exhibited high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with 105.68 mg of GAE/g and 28.92 mg of RE/g, respectively. The 40% ethanolic extract of P. multiflorum showed a hig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malondialdehyde (MDA) inhibitory effect. The 40% ethanolic extract of P. multiflorum also showed effici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α-glucosidase and acetylcholinesterase. Moreover, the 40% ethanolic extract of P. multiflorum reduced oxidative stress and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₂O₂-induced HT22 and SK-N-MC cells as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and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assa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identified 2,3,5,4-tetrahydroxystilbene-2-Ο-beta-D-glucoside (TSG) as the bioactive compound in the 40% ethanolic extract of P. multiflorum.

      • KCI등재

        고령 노동자의 불안정 노동과 삶의 질

        최혜지(Choi, Hye Ji),정은수(Jeong, Eun Su)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불안정 노동이 고령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청장년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고용불안정과 소득불안정을 중심으로 불안정 노동이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한국노동패널조사의 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55세 이상의 고령 노동자 5,548명, 15세 이상 55세 미만의 청장년 노동자 8,654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사회적 기대,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 삶의 만족도는 고용불안정과 소득불안정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고령 노동자와 청장년 노동자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초세대적 현상으로 확인되었다. 고용불안정은 고령 노동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득불안정은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에 대한 기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대는 고용불안정이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불안정이 사회경제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mpacts of precarious labor on quality of life of older workers aged 55 and over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younger workers aged 15 to 54.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1) group differences in socio economic status(SES),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level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older and younger workers 2) impacts of precarious labor on SES,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older workers 3)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eration and precarious labor on three dependent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S,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level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older and younger workers. Precariousness of employment status positively impacted on only SES. Precariousness of income negatively impacted on three DV.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ecariousness of employment status and generation on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ecariousness of income status and generation on SES was significant.

      • KCI등재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ㆍ녀 관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최혜지(Hyeji Choi)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3

        본 연구는 손자ㆍ녀 양육을 전담하는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자ㆍ녀의 가족관계 결정모형을 분석함으로써 조손가족의 가족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전개되었다.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97명 조손가족 조부모와 97명 손자ㆍ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조부모의 손자ㆍ녀 양육부담, 손자ㆍ녀의 연령, 손자ㆍ녀의 우울, 손자ㆍ녀의 행동상의 문제, 손자ㆍ녀의 성별, 그리고 조부모의 성별이 조손가족의 가족관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결정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조부모-손자ㆍ녀 관계의 최종결정모형은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자ㆍ녀 관계의 3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부모의 손자ㆍ녀 양육부담이 낮을수록, 손자ㆍ녀가 어릴수록, 손자ㆍ녀의 우울이 낮을수록, 손자ㆍ녀의 행동상의 문제가 낮을수록, 손자ㆍ녀가 여아이고, 조모일 경우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자ㆍ녀의 관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손자ㆍ녀의 우울이 조부모와 손자ㆍ녀의 관계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력은 대인관계이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또한 손자ㆍ녀의 높은 연령, 남성, 그리고 행동상의 문제가 조부모와 손자ㆍ녀의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분석대상자의 지역성과 경제적 계층의 편재(偏在)로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나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자ㆍ녀의 관계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terminant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dial grandparents and custodial grandchildren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f a practical intervention for those families.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 theory of depression.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ocial survey study using a data from 97 custodial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dial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was determined by caregiving burden, age of grandchildren, depression of grandchildren, behavioral problems of grandchildren, sex of grandchildren, and sex of grandparents. The determinant model was explained 38% of the vari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dial grandparents and custodial grandchildren.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참여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최혜지(Choi, Hye-J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1

        본 연구는 은퇴 전 고용과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연속이론과 유사모델에 근거해 고용유사성이 첫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둘째, 직무만족과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비례층화표집을 통해 추출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 70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고용유사성 가운데 직종유사성만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급여유사성과 표현된 유사성은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참여노인의 우울은 낮추고 삶의 만족도는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continu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Based on Continuity theory and Similarity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direct impacts of continuity of employmen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 impact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ocial survey research. Data from 700 participant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was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only continuity of type of employment directly impacted on life satisfaction, and continuity of salary and expressed importance on continuity of employment indirectly impacted on depression as well as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 efficacy.

      • KCI등재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율성이 가족수발부담에 미치는 영향

        최혜지(Choi, Hyeji)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1

        The presented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family caregiver's autonomy in decision-making process on caregiving burden of dependent elderly based on the ABCX model.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urvey research. Study subjects, selected by the reversed sampling strategy, were consisted of SO dependent elderly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he main effect of autonomy was analyzed by 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nomy wa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autonomy moderated the effect of family centered belief on caregiving burden. For those who took caregiver roles autonomously, family centered belief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on caregiving burden. However, for those who took caregiver roles non-autonomously, a higher level of family centered belief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caregiving burd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율성이 의존적 노인을 돌보는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ABCX model에 근거하여 고찰하였다. 역추출법을 통해 표집된 의존적 노인 80명과 노인의 가족수발자를 대상으로 사회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대면면접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율성이 의존적 노인을 돌보는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미치는 주효과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분석결과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은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율성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수발자의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율성이 갖는 중재효과는 중재회귀분석을 통해 조사되었다. 분석결과, 가족수발자의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율성은 준-중재변수로 전통적 가치관이 가족수발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율적 의사에 의해 노인수발을 담당하는 경우, 가족수발자의 전통적 가치관은 수발부담과 유의미한 연과성이 없는 반면, 자율적 의사와 관계없이 노인수발을 담당하는 가족수발자는 전통적 가치관이 강할수록 수발부담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적용방안과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다문화 실천인력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최혜지(Hye Ji Cho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는 민족적 다양성 확대에 따른 사회적 다문화화를 배경으로 다문화 실천인력의 문화적 역량의 실태를 파악하고,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사회조사연구로 설계되었으며 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지닌 다문화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다문화 실천인력 42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우리나라 다문화 실천인력의 문화적 역량은 문화적 지식, 문화적 인식, 문화적 기술 모두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방문, 외국거주, 외국인 친구, 외국어 능력 등의 사적 경험에 따라 주로 문화적 인식과 문화적 기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기관 근무기간, 서비스를 제공한 다문화 클라이언트 수, 현 근무기관유형, 현 근무기관의 다문화 클라이언트 비율, 다문화 관련 교육 경험 등의 전문적 경험에 따라서는 주로 문화적 지식과 문화적 기술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다문화 실천인력의 문화적 역량 증진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e of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guided by growing multiculturalism in current Korean society. Survey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and data from 420 subjects who had ever provided direct services to cli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levels of cultural competence among the subjects were fairly high. According to visiting foreign countries, residing in foreign countries, and having friends from foreign countr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skills across groups. Also, based on years in service setting, years providing multicultural services, and numbers of multicultural clients to whom provided servi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s.

      • KCI등재

        프레카리아트化와 중고령 임금노동자의 정신건강

        최혜지(Choi, Hyeji),정은수(Jeong, Eunsu)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60

        안정적인 사회경제적 토대는 질적인 삶의 기초이다. 이 연구는 노동불안정성을 핵심적 정체성으로 공유하는 사회경제적 집단, 즉 프레카리아트化가 중고령 임금노동자의 정신건강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를 소외와 우울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한다. 사회조사 연구로 수행되었으며, 대면면접을 통해 수집한 50세 이상의 은퇴 전 중고령 임금노동자 437명의 자료를 SEM을 이용해 분석했다. 분석결과, 소득 불안정의 두지표인 저임금, 사적 및 공적보호체계의 부재, 숙련 불안정의 지표인 직업훈련이나 교육기회의 부재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적 및 공적보호체계의 부재는 소외를 매개로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고용 불안정의 두 지표인 고용상 지위, 주관적으로 인지한 고용 불안정은 소외와 우울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함의에 대해 논의했다. The presented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being a precariate and mental health of wage laborers aged 50 and over. Data from 437 waged laborers were analyzed with SEM. The results showed that lower wage, exclusion from job training, working at service industr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Also, rage from labor relationship mediated the impact of lower wage and isolation mediated the impact of exclusion from job training on depression. The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적 교류 공간의 세대간 분절 그리고 소외

        최혜지(Choi, Hyej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7 No.-

        이 연구는 사회적 교류를 물리적 공간에서의 교류와 가상적 공간에서의 교류로 구분하여 고령세대와 청장년 세대에서 각각의 사회적 교류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비교분석하고, 소외를 중심으로 물리적 공간과 가상적 공간에서의 사회적 교류가 고령세대와 청장년 세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대면면접을 통해 수집된 60세 이상의 고령자 215명과 59세 이하의 청장년 802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고령자는 청장년보다 물리적 교류, 가상적 교류 모두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특히 가상적 교류가 청장년 보다 크게 낮았다. 고령자의 사회적 교류 유형은 물리적 교류와 가상적 교류가 모두 낮은 배제형과 물리적 교류 중심형이 높은 구성비를 보였다. 반면 청장년은 가상적 교류 중심형, 그리고 물리적 교류와 가상적 교류 모두 높은 다교류형의 구성비가 높았다. 고령자의 소외는 물리적 교류에 의해서만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청장년의 소외는 가상적 교류에 의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또한 세대는 가상적 교류가 소외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vision of community for social interaction across gener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interaction in physical and virtual community on level of social isolation. Data from 1071 individuals aged 18 and older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social interaction in virtual community for younger gene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lder. For the case of older, those who were excluded from any type of social interaction showed the largest population. However, for younger those who were involved in social interaction mainly in virtual community consisted of the highest proportion. Social interaction in physical community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level of social isolation for the older and those in virtual community for the younger.

      • KCI등재

        손자ㆍ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최혜지(HyeJi Choi)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ypes of grandparent caregiving on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adult children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First wave data of the study of aging society an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elderly was used. Subjects were 513 grandparents who had ever raised a grandchild and lived with a grandchild in the same house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The type of grandparent caregiving was dychotomized into custodial caregiving and auxiliary caregiving. Group difference in the gener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custodial and auxiliary caregiving was analyzed by t-test. The impact of the types of grandparent caregiving on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t-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ole of adult children and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custodial and auxiliary caregiving. Custodial grandparent caregiving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role of adult children and lower leve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types of grandparent caregiving significantly impacted on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with controlling impa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randparents, supports from children, and patterns of attach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ocial compensation for custodial grandparenting. This study would be valued in that it examined the subjective aspect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point of view of grandparents 본 연구는 노부모에 의한 손자ㆍ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 사이의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고령화 사회와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의 일 차년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은 손자ㆍ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으며 조사 당시 현재 손자ㆍ녀와 동일가구에 거주하는 513명의 노부모로 이루어졌다. 손자ㆍ녀 양육형태는 전담양육과 원조양육으로 이원화되어 분석되었다. 양육형태에 따른 세대관계의 차이는 t-test에 의해 분석되었고 양육형태가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중다회귀 분석을 통해 조사되었다. t-test 결과 자녀역할 만족도와 자녀와의 관계는 양육형태에 따른 유의미한 집단차를 보였다. 전담양육 노부모는 원조양육 노부모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자녀역할 만족도와 자녀와의 관계를 나타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손자ㆍ녀 양육형태가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노부모의 인구ㆍ사회ㆍ경제학적 특성, 자녀로부터의지지, 애착유형이 통제된 상태에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자ㆍ녀 전담 양육은 노부모에게 높은 비용을 부과함으로써 교환관계의 불균형을 야기하여 세대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부모의 손자ㆍ녀 전담양육에 대한 사회적 보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노부모의 시각에서, 가족간의 하향적 부양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에서 소외되어왔던 세대관계의 주관적 측면을 고찰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이민자의 사회통합에 대한 국가간 비교

        최혜지(Choi, Hyeji)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2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분화도를 보이는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객관적 지표를 이용해 각국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1)선주민과 비교한 상대적 기준과 2)이민자의 복지수준을 고려한 절대적 기준에서 비교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복수의 국제 데이터를 통합한 2차 데이터를 이용했으며 주요 변수 사이의 산점도를 산출하여 이민자 사회통합의 국가별 지형을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대적 기준의 사회통합은 전통적 이민국 레짐에 해당하는 호주, 캐나다, 미국이 이상적인 국가들로 나타났다. 절대적 기준의 사회통합이 높은 국가는 전통적 이민국 레짐과 적극적 이민국 레짐이 혼합된 형태를 보였다. 상대적 기준과 절대적 기준 모두에서 이민자의 사회통합 수준이 비교적 높은 국가는 전통적 이민국 레짐과 아일랜드, 포르투칼, 슬로베니아 등 일부 신이민국 레짐에 속한 국가들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민자의 사회통합은 이민국 레짐으로 대표되는 이민정책이나 문화적 분화도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은 제한적이며, 이민자의 사회통합은 개별국가의 사회보장정책 등을 함께 고려해 이해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This study was initiated based on the notion that the logic regarding case selection and a perspective for case analysis has never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on immigration policy despite its significance. Given the idea, this study investigated levels of integration of immigrants which were operationalized as 1) differences in general conditions of economic, labor, social, and political life between native born and foreign born and 2) level of quality of economic, labor, social life for immigrant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econdary data set which was a combination of several secondary data sets. Results showed that the countries that belong to traditional immigration regime including Australia, Canada, and US showed higher levels of immigrant integration at various sub categories of integration. Countries that belong to new immigration regime such as Ireland revealed relatively high levels of immigrant integra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ed that integration of immigrants needs to be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security policy of each country along with immigration policy and cultural diversity of each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