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강수술로 호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 례

        최지호,이흥만,권순영,이상학,신철,이승훈,Choi, Ji-Ho,Lee, Heung-Man,Kwon, Soon-Young,Lee, Sang-Hag,Shin, Chol,Lee, Seung-Hoon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질환 중 하나로 수면 중에 상기도의 폐쇄로 인한 호흡정지가 주요한 병인이며 상기도를 구성하는 비강, 구강, 인두, 후두 중 어느 한 부분에서 폐쇄가 일어나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폐색의 가능한 원인들로는 주로 비중격 만곡, 비용, 기포성 갑개, 후비공 폐쇄, 종양, 이물, 술 후 또는 외상 후 발생한 유착, 여러 가지 비염, 기타 질환 등이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수술적 치료에는 비강수술, 구개인 두수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설부 축소수술, 기관절개술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지금까지 성인에서 수면무호흡증 치료로 시행한 비강수술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태이다. 최근 저자들은 비폐색과 동반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비폐색과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비중격 만곡증 및 비후성비염을 교정하기 위해 비중격 교정술 및 하비갑개 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수술 전, 후의 증상 및 수면 다원검사 비교에서 뚜렷한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is a common disease in the field of otorhinolaryngology and is characterized by repeated upper airway occlusions occurring during sleep. OSAS can occur due to various etiologies of the nasal, oral, pharyngeal and laryngeal airway in adults. Nasal obstruction can be caused by septal deviation, nasal polyps, concha bullosa, choanal atresia, neoplasms, foreign body, postoperative/post-traumatic synechiae, various rhinitis and so 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surgical treatment of OSAS including nasal surgery, LAUP, UPPP, surgery of tongue base, tracheostomy and so on, but the effect of nasal surgery on snoring and OSAS is controversial. The authors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ho had experienced nasal obstruction, moderate snoring and OSAS and who improved after septoplasty and turbinoplasty.

      • 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례

        최지호,이상현,Choi, Ji-Ho,Lee, Sang-H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연구배경 : 철분결핍성빈혈은 매우 흔하며 그 원인이 다양하므로 근본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여야만 한다. 저자는 소화기관 출혈, 임신, 과다월경 등의 원인 외에 우리 나라의 의료 특성상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부항에 의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으므로 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행위는 설명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증례 1 : 27세 여자 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0년 전부터 있었던 건선을 치료하기 위해 부항요법을 빈번하게 실시하였고 이로 인한 실혈로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증례 2 : 70세 남자 환자가 식욕부진과 어지러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9개월 전에도 같은 증상이 있어 철분결핍성빈혈로 진단을 받고 치료 받았으나 5년 전부터 족부 무좀에 대해 실시한 부항요법을 지난 번 빈혈치료 후에도 반복해 실시한 결과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결론 : 철분결핍성빈혈의 원인으로 우리나라 의료의 특성상 부항요법도 고려하여야 한다. Background : Iron deficiency anemia(IDA) is a very common condition, and its underlying causes are diverse. Gastrointestinal blood loss, pregnancy, menorrhagia are known as common causes of IDA. However, especially in the IDA case of unknown origin, we must consider the culture specific cause of IDA as a possible cause of IDA. As I found an unusual cause of IDA related to a cultural behavior, I would like to report two cases of IDA occurred by negative therapy in Korea.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se cases by explanatory model. Case 1 : With a chief complaint of dyspnea, a 27-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She had multiple treatment histories of negative therapy for her psoriasis. The blood loss during this procedure is the cause of present IDA. Case 2 : A 70-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anorexia and dizziness. The history of treatment showed that he had an IDA 9 month ago. The IDA developed again because of repeated negative therapy after previous treatment of IDA. He has used the negative therapy intermittently to treat tinea pedis for 5 years. Conclusion : We must consider the negative therapy as a possible cause of IDA in Korea.

      • 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병인 및 기전

        최지호,이승훈,신철,Choi, Ji-Ho,Lee, Seung-Hoon,Shin, Chol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2

        The pathogenesis and mechanism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as been under investigation for over 25 years, but its etiology and mechanism remains elusive. Skeletal (maxillary and/or mandibular hypoplasia or retrodisplacement, inferior displacement of hyoid) and soft tissue (increased volume of soft tissue, adenotonsillar hypertrophy, macroglossia, thickened lateral pharyngeal walls) factors, pharyngeal compliance (increased), pharyngeal muscle factors (impaired strength and endurance of pharyngeal dilators and fixators), sensory factors (impaired mechanoreceptor sensitivity, impaired pharyngeal dilator reflexes), respiratory control system factors (unstable respiratory control) and so on facilitate collapse upper airway. Therefore, OSA may be a heterogeneous disorder, rather than a single disease entity and various pathogenic factors contribute to the OSA varies person to person. As a result, patients may respond to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es based on the predominant abnormality leading to the sleep-disordered breathing.

      • KCI등재
      • KCI등재

        성인에서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 눈을 침범한 안면대상포진, 수막염이 동시에 발생한 1예

        최지호(Ji-Ho Choi),안민(Min Ahn),조남천(Nam Chun Cho),유인천(In Cheon You)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2

        목적: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 눈 및 안면대상포진, 수막염이 발생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0세 남자가 왼팔에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 4일째부터 왼눈 가쪽과 왼쪽 이마에 물집성 발적이 나타나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였으나 점차 수포가 더 많아지고 7일째에는 두통이 심해지며 코끝, 뺨, 입천장까지 물집이 생겨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6년 전 갑상샘암으로 갑상샘 절제 후 갑상선호르몬 제제를 복용 중이었다. 어릴 때 정확히 수두로 진단받은 건 아니지만 얼굴에 원형발적이 있었다고 하였다. 세극등현미경상 결막부종 및 충혈, 각막주변부에 거짓가지모양병변이 있었다. 전방염증은 없었다. 뇌자기공명영상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으나 뇌척수액검사에서 바이러스 양성으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받았다. Ganciclovir 연고, levofloxacin, bromfenac 을 점안하였고 1주일 후 거짓가지모양병변은 없어지고 결막부종도 호전되었다. 발생 후 6개월까지 재발은 없었다. 결론: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 안면 또는 눈대상포진, 수막염의 활성화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고 발생 시 즉각적인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ocular and facial herpes zoster and meningitis after herpes zoster vaccination. Case summary: A 60-year-old man was administered Zostavax?? on his left arm; he developed a vesicular rash over his left eye and forehead 4 days afterwards. He started antiviral drugs for the rash, and visited the hospital for severe headache and spread of the rash to involve the tip of his nose, face, and palate by day 7. He was taking Synthyroid?? (Bukwang Pharmaceuticals, Seoul, Korea) since his thyroidectomy for thyroid cancer 6 years ago. He had never been diagnosed with chickenpox, but had an episode of red facial rash in childhood.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conjunctival chemosis, hyperemia, and a pseudodendrite in the peripheral cornea. The anterior chamber was quie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findings on hi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Varicella zoster virus was detected in the cerebrospinal flui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oral acyclovir drugs and topical ganciclovir, levofloxacin, and bromfenac. One week later, the pseudodendrite disappeared and conjunctival chemosis improved.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6 months follow-up. Conclusions: Reactivation of ocular or facial herpes zoster or meningitis after zoster vaccination may occur, rarely. Immediate antiviral treatment is required in these cases.

      • KCI등재

        국내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및 연구결과의 메타분석

        최지호(Ji ho Choi),문연희(Youn hee Moon)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2

        스포츠 산업의 성장에 따라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관련 연구들이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위해 독립변수, 종속변수, 상황변수와 같은 3가지 변수로 설정한 후,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대한 전체 크기의 요약 및 3가지 변수별로 효과의 크기 차이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의 경우 팀 요인, 종목 요인, 적합성 요인, 그리고 활동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경우 이미지, 인지도, 태도, 그리고 행동 변수로 범주화 시킨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황변수의 경우 종목, 지역 범위, 스폰서 대상으로 구분하였다. 메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에 기초하여 국내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관련 연구 분야의 전체적인 흐름을 요약함과 동시에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관련 연구들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s sports industry has grown up, studies of sports sponsorship effect have been cumulated in the academic field. It is time to provide integrative summery and research directions of sports sponsorship effect. We have executed meta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total size of sports sponsorship effect and effect difference of main variables us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 journals from 2001 to 2013. There are three main variables such a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 and situational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ttitude toward team, attitude toward athletic sports, fitness, and sports sponsorship activities. Image,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were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s. Sponsorship target, regional coverage of sponsorship, and athletic sports of sponsorship were selected as situational variables.We discussed about constructiv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sports sponsorshipmarketing research based on results ofmeta analysis.

      • KCI등재후보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눈물막 및 안구표면장애에 대한 0.15%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액의 효과

        최지호(Ji-Ho Choi),박영명(Young-Myoung Park),정진구(Jin-gu Jeong),조남천(Nam-Chun Cho),유인천(In-Cheon You) 대한검안학회 2021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0 No.1

        Purpose: To confirm the effect of 0.15% sodium hyaluronate on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disorders after vitrectomy surgery. Methods: The control group 19 patients and the test group 20 patients who underwent vitrectomy were enrolled. The control group took only antibiotics and steroids eye drops after surgery for 1 month, and the test group used 0.15% sodium hyaluronate eye drops for 2 months additionally.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film break-up time, Schirmer test, corneoconjunctival staining and meibomian gland seretion test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baseline), 1 day, 1 week, 1 month, and 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rial group at 1 week in Schirmer test (p = 0.038). In OSDI, the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2 months after vitrectomy in the control group (p = 0.021). However, the test group recovered at 2 month after surgery. In control group, TBU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t 1 month (p = 0.022) and Schirmer tes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t 2 months (p = 0.048) compared to the baselin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est group. Corneoconjunctival staining showed early increase and then progressive decreasing tendency at postoperative period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corneal staining at 2 months (p = 0.007) compared to the baseline only in the test group. Conclusions: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disorders that occurred after vitrectomy worsen after surgery and then mostly recover. Postoperative 0.15% sodium hyaluronate instillation can alleviate the dry eye symptoms and is thought to contribute to early improvement of clinical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