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 운동과 ‘실학자(實學者) 정다산(丁茶山)’의 재발견

        최재목(Choi Jae-Mo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Dasan Jeong Yak-yong in 1930"s japanese imperialism era of modern korea. In 1935,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Dasan Jeong Yak-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ong won and Su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Dasan Jeong Yak-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

        金源極을 통해서 본 1910년대 陽明學 이해의 특징

        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이 논문에서는, 아직 학계에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양명학 연구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보이는, 金源極(1871-1927)을 통해서 그가 ‘유교 이해’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이자 근대적 학술이 본격 유입되던 시기를 배경으로 하면서 ‘양명학’을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던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김원극에 대한 소개는 서경석ㆍ김진량 엮음의 『식민지 지식인의 개화 세상유학기』, 최재목의 「日帝强占期 雜誌를 통해서 본 陽明學 硏究의 動向」, 금장태의 『한국 양명학의 쟁점』에 부분적으로 소개되어 있고, 본격적인 연구에 이르지는 못했다. 김원극은 그는 함경남도 永興郡 출신 유학자로, 松南, 春夢, 春夢子, 松南春夢 등의 필명을 사용하여 1908년부터 『西北學會月報』, 『太極學報』, 『大韓興學報』 등에 많은 다양한 글을 싣고 있다. 『태극학보』에는 주필로 활동하였고, 西北學會에서는 副總務로 활동하던 중 1909년(明治四十二年) 11월 11일 伊藤博文 被擊事件 嫌疑者로서 眞相調査를 받았으며 1910년에는 朴殷植에 이어 『서북학회월보』의 주필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1934년 11월 29일자) 기사에 따르면 「한학과 경제학을 겸비한 정치객이었던 바 그 외에도 문맹퇴치에도 노력하여온 드문 지사이었던 바 지난 소화 2년 8월 5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고 되어 있다. 김원극은 유교를 1910년대 당시의 서세동점, 약육강식의 세계사적 현실에 맞도록 근대적, 실천적으로 이해할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그의 개혁적 특성은 이태리 건국 삼걸의 강조하고 그러한 기풍을 한국의 청년들에게 계몽할 것을 기대하고 촉구한 데에서, 아울러 유교를 서구 기독교에 대항할만한 근대적 콘텐츠(교리, 텍스트 등) 및 종교적 체제를 갖추도록 요구한 바에서 잘 드러나 있다. 이 점에서 그는 수구적 보수 유림들과 사고가 많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김원극은 박은식의 대동교 정신에 동조하는 유교 개혁 쪽에 서 있었다. 그는 유교의 본질은 계승하되 구체적 내용들은 한국의 지금ㆍ여기에 맞는 ‘時中’의 유교를 지향하도록 요구하였다. 그는 유교가 새로운 체제로 개혁하고 나아가서 利用厚生 및 국민ㆍ청년계몽이라는 세계사적 문명에 발맞출 수 있는 학술이어야 함을 적극 강조하였다. 이러한 그의 유교에 대한 관점은 그대로 양명학 이해에도 적용된다. 김원극의 양명학 이해는 「明代諸儒의 學說」과 「王陽明學論」에 잘 드러나 있는데, 먼저 「明代諸儒의 學說」에서는 양명학과 불교의 ‘합일론’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양명학과 불교의 합일론은, 「王陽明學論」에서는 양명학이 나의 정신을 번롱하여 단순히 悟道를 주안으로 한 禪家와 다름을 지적하고 ‘人倫交際의 道’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각 학술은 그 세부적 특성을 유지하지만, 큰 틀에서는 합치됨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王陽明學論」에서는 근대학문의 한 장르인 ‘倫理學’으로서 양명학을 이해하는데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의견은 아마도 1908년 그가 일본에서 유학을 하며 얻은, 당시 일본에서 유포되고 있었던 최신의 양명학 지식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추정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근대적 학술체계로 전통사상을 이해하려 했다는 점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양명학이 근대적 학문에 어울리는 특징이 있음을 평가하고자 했음을 인정해도 좋겠다. 김원극이 구상한 「倫理?」으로서의 양명학은 주체성과 능동성을 갖고 있으면서 ‘人倫交際의 道’로서 실제 사회에서 실용성을 갖춘, 化學ㆍ物理學ㆍ金石學ㆍ地質學등의 제 학문과 대등하게 내세울 수 있는 ‘인륜의 학문’(=윤리학)이었다. 다시 말해서, 1910년대의 한국에서, 외국의 신지식을 수용하고, 거기서 힌트를 얻어, 양명학을 근대적 학술로서 재해석하고자 했던 노력이 당시의 여러 양명학 연구가와 비교해 볼 때 큰 특징점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focus on Kim Wongeuk(金源極. 1871-1927)’s Yangmyonghak(陽明學), especially, through reexamining his the famous two articles, Myongdaejeuhakseol (the Neo-confucian’s theories in Ming dynasty of china. 明代諸儒의 學說) and Yangmyonghakron(Essay on Yangmingxue. 王陽明學論). Kim Wongeuk is a man unknown to fame to us till now. But his Yangmyonghak (陽明學),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in modern korea, is very important to know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Korea. He studied at Japan for a number of years, and so he had many information about Modern knowledge on sciences and academism in Japan. Based on this, I think, most of his knowledge on Yangmyonhak(陽明學) is also from modern japanese academic, scientific research information, such that modern japanese youmeigaku (Yangmyonghak, 陽明學) by Inouetetsujirou(井上哲次?)’s Youmeigaku-notetsugaku(陽明學派之哲學), Takasetakejiro(高?武次?)’s Ouyoumeisyouden(王陽明詳傳), and the Youmeigaku(陽明學) edited by Higasikeiji(東敬治). The most korean thought’s knowledge and action in Yangmyonghak(陽明學) are from these modern japanese. Kim Wongeuk try to define Yangmyonghak as Oriental ethics. And he think the Yangmonghak is one with the Buddhism. His the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n Yangmonghak ar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original. an orthodox method. Most people in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 criticize the Yangmyonghak are very like with Buddhism, but it is a distinguishing mark that Kim Wongeuk take an active a point of view the two are fusing with.

      • KCI등재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의 『풍류정신(風流精神)』에 대한 검토

        최재목(Choi Jae-Mok),정다운(Chung Da-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ought of Kim, Jeong-Seol. His thought appeared to his hook An Liegant Spirit(『風流精神』). An Llegant Spirit(『風流精神』) was made after he died, and it was called His main text with A story cf The Flower Man(『花郞外史』). This hook has a different writing 4 papers. The papers are The Flower Man(「花郞」), A though of Choe, jae-woo(「崔濟愚論」), A though of Yin and Yang(「陰陽論」), Chweseong Kim si-seup 「贅世翁 金時習」). And as well as the purpose of these papres, there are different form. However, the core of this article is 'The Harmony(調和)'. This 'The Harmony(調和)' is read again in today's life history It is difficult to find his thought through 『An Llegant Spirit(風流精神)』. But the new approach to text is need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최재목 ( Jae Mok Choi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다산학 Vol.- No.17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주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하 ‘다산’ 혹은 ‘정다산’) 관련 기사 및 논고를 토대로 당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재발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정다산’의 연구와 ‘언론 매체’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계기는 바로 1930년대에 일어나는 ‘민족주의적 한국학’인 ‘조선학’ 때문이다. 그 핵심 세력은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반대하고 협조를 거부했던 비타협적 민족주의 계열의 연구자들 즉 안재홍安在鴻(1891~1965)·백남운白南 雲(1895~1979)·최익한崔益輪(1897~?) 등이었다. 그들이 펼친 조선학은 ‘조선문화 부흥’의 일환이며, 그것은 문화제국주의의 한국학인 ‘청구학靑丘學’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었다. 이 대립되는 양자는 ‘한국사회·한국문화 특수성론’으로 공통되어 있었다. 그것은 전자가 후자의 전도형태 顧倒形態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쨌든 정다산에 대한 연구는 1934년을 계기로 하여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다산 서거 98주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그들은 조선학 부흥운동을 꾀하면서 그 일환으로 다산 서거 100주년 기념사업을 계획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정약용의 사상을 비롯하여 여타의 실학자들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었다. 실학 연구의 기념비적인 작업은 역시 1938년 12월 13일자 『동아일보 東亞日報』 2면 기사에 「茶山與觸堂全書 完刑記念祝寶 來十六日 明月館에서」 라고 있는 것처럼, (1934년에 시작하여) 1938년 12월에 이뤄지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신조선사新朝雖社 출판)의 완간 작업이었다. 『여유당전서』의 출판에 참여한 인물로는 실학 관련 기사를 쓴 정인보, 최익한, 문일명文一平(1888~1936), 안재홍 등이다. 최익한은 65회에 걸쳐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독讀힘」을 발표하는데 여기서 그는 다산의 『여유당전서』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바 있다. 일제 강점기에 다산 서거 100주년을 전후하여 일어난 조선학운동에서 ‘정다산`은 분명 우리나라 ‘위인’의 표상이자 아이콘이었다. 그리고 조선의 지식, 개념, 인물을 새롭게 영유領有하는 방법론이기도 하였다. 그를 둘러 싼 좌의 ‘세계’ 지향과 우의 ‘민족’ 지향이 서로 맞서는 가운데 ‘근대적’ 학술의 논의가 진척되었고 ‘허虛의 학’을 넘어선 ‘실實의 학’을 추구해가는 절실한 논의의 지명이 열리기도 하였다. 아울러 이 시기에 크게는 〈구(전통-구식)〉⇔〈신(현대-신식〉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그 대립 속에서 새로운 이념들이 이데올로그들에 의해 전개되었다. 다시 말해서, ‘우익’측에서는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대한 대응 논리로 포괄적인 민족사상 및 학문의 전통 확립을 위해 정인보鄭寅普가 ‘얼’을, 안재홍이 ‘민족정기民族正氣’를, 분일평이 ‘조선심朝鮮心’이라는 개념을 내세워서 주도해갔다. 이에 반해 ‘좌익’측에서는 이청원, 백남운 등이 마르크스주의 역사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세계사의 보편성에서 한국사체계를 구성해 사회경제사학을 확립하는 한편 공산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정당화하였다. 이처럼 ‘세계’에 관심을 둔 좌, 민족에 관심을 둔 우의 ‘시점視點’은 정다산, 실학, 나아가서는 조선학을 서술해가는 방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바로 정다산 논의는 ‘민족民族’과 ‘세계世界’ 사이에서 새로운 연구의 길을 모색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especially, here focused the media and the journal in those days. In 1935,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Tasan Cheong Yag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eongwon and Seo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Tasan Cheong Yag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양명학 연구의 새 지평에 대한 모색

        최재목 ( Choi Jae-m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이 논문은 동아시아 양명학연구의 과제를 화두로 현재 시점에서 양명학연구를 성찰해 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디테일보다도 거시적 안목에서 양명학연구의 새 지평을 성찰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자학의 방향 즉 `언어문자의 입장=언어·문자문화(literacy)의 인간탐구`와 상산학 혹은 양명학의 방향 <육성·소리의 입장=소리문화(orality)의 인간탐구`라는 주제에 대한 보다 세밀한 탐구가 진행되었으면 하는 점이다. 그러나 이 점은 주자학과 육왕학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주자학이나 육왕학은 각기 다른 길을 걸었던 것 같으나 결국은 인간과 사물에 대한 진정한 세계 - 동일한 지점(場) -을 찾았다고 생각한다. 즉 보르헤스가 말한 “많으면서 하나인 달=우리 자신의 존재”처럼 말이다. 둘째, 동아시아의 양명학 탐구는 일단 동아시아라는 지리적, 역사적 현실이 `울퉁불퉁한, 어설픈, 불편한` 형식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 지역이 산출해낸 학술적 번민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각기 다른 지리적, 역사적 형식이 만들어낸 굴곡된=뒤틀린 스탠스 혹은 시야에 기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일본 양명학은 원래의 양명학이 아니다, 왜곡된 양명학이다` 등등의 상투적인 평가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문제는 원본 양명학을 미리 설정한 다음 여타의 전개 내용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 전개된 내용(팩트) 자체를 직시하고, 그것을 그대로 명확히 기술해내는 태도이다. 평가는 그 다음이다. 있는 것(사실)과 있어야 할 것(당위)의 간극을 인정하고 혼동하지 않는 냉정함에서 양명학은 기술되어야 한다. 셋째, 양명학 연구에 대한 상상력 부분이다. 동아시아 전체를 바라볼 때 양명학은 마치 `같은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사물들 사이에 변하지 않는 어떤 공통된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인 `위상수학`(位相數學, Topology)에 비유해볼 수 있겠다. 다시 말해서 양명학은 `심(心)`이란 주제를 근간으로 만나고 갈라진다. 진흙과 다양한 도자기, 물과 다양한 얼음, 고무줄-끈과 다양한 변형, 혹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만나면서 다시 흩어지고, 흩어지고선 다시 만난다. 그러나 `같은 형태…사물들 사이에 변하지 않는 어떤 공통된 성질`을 추구하지만 디테일에 들어서면 `마지막 어휘`를 거머쥐기는커녕 아찔한 떨림-실망감-황당함 같은 `정신적 경련`을 일으키고 만다. 하나의 `고무줄`이 가만히 있으면 짧지만 당기면 한없이 늘어나듯, 양명학은 각각의 장(場)에 맞는 길이와 넓이로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원본 양명학이 있을 수 없고 각각의 지역에 따른 전개만이 있을 뿐이다. 그렇다고 양명학의 그 위상이 줄어든 것이 아니다. 각각의 자리(場)에서 특수한 바이브레이션-왜곡-재해석을 통해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This paper is written with the intention to reflect on Yangmingxue at the present time with the issue of East Asia Yangming Studies. The aim is to reflect on the new horizon of Yangming Studies in macroscopic perspective rather than detail.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lecture was `human inquiry of literacy` and Sangjak or Yangmyung was a human exploration of orality. First, Zhuzixue was human inquiry through literacy, and Xiangshanxue or Yangmingxue was `human inquiry through orality. This point should not be overlooked.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eople is not fundamental. That is the difference of academic tendency or characteristic. Second, the differences in East Asia`s Yangming studies are rooted in geographical and historical differences in East Asia. The space called East Asia is not the same. It is rugged, not uniform. Not one but many. Each region has its own social and historical agonies. There is also a different academic consciousness. So it is natural that the twisted sight and stance created by different regions. It is an error, for example, pointing from A to B, A is not Yangmingxue, and A is wrong. Third, it is the imagination problem of Yangmingxue. Looking at East Asia as a whole, Yangmingxue can be compared to Topology. Because Yangmingxue is sharing the problem of mind. But it meets and divides around it. It is like a variety of ceramics made of mud, and various kinds of ice made by water. It is like a work that is made by variously changing rubber bands and strings. There can be no original Yangmingxue. There is only development according to each area.

      • KCI등재

        咸錫憲과 陽明學

        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2

        이 논문에서는, 함석헌이 이해, 해설한 왕양명의 「大學問」 즉 「한 사람: 王陽明, 大學問」( 함석헌전집20: 씨?의 옛글풀이 )를 중심으로 그의 양명학에 대한 관점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종래의 함석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졌지만, 양명학에 초점을 맞춰서 논의한 것은 거의 없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양명학과 관련시켜 고찰해보는 이 논문은 함석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살펴보는 함석헌의 양명학 이해의 특징은 (1)왕양명 만물일체론의 ‘대인’=‘큰 사람=한 사람’論: 한사상과 양명학의 결합, (2)萬物一體論의 ‘神秘主義’적 이해, (3)‘仁’의 ‘씨?’사상적 이해이다. 이 가운데서 함석헌이 왕양명의 만물일체론에 주목하고 더욱이 이것(=만물일체론)을 신비주의로 해석하고, ‘한’ 사상으로 연결시킨 것은 탁견이라 생각한다. 더욱이 조선시대에 이단시되었던 양명학의 사상에서 ‘만물일체’론을 끄집어내고, 그것을 신비주의적 측면에서 부각시킨 점은 그간 학계에서 간과해왔던 양명학의 진수를 들춰낸 셈이다. 이것은 함석헌이 「지금같이 살림이 곧 정치, 정치가 곧 전쟁이 돼버려 죽음의 문명이 돼버린 때」라고 진단했던 1980년대 이전 군부독재시절이나 자본과 문명의 황폐화, 에너지의 고갈 등에 맞부닥친 지금의 현실에서나 여전히 시사점을 던져준다. 다시 말해서 현실에서 평가되어온, 승리해온 사상사를 뒤집어 보면서, 그 그늘에 가려진 思考와 지적資産 속에서 새로운 지혜를 찾아내어, 새 옷을 입히고, 정당한 의미를 부여하여, 실천해가는 일이다. 전통시대에 이단, 사이비라 내몰던 사상, 양명학에서 찾아낸 함석헌의 화해와 평화, 생명과 만물사랑의 메시지를 읽어내기에 충분하다. 더욱이 ‘靈昭’의 ‘靈’을 「‘얼씨고 절씨고’ 할 때의 얼씸, 양검스러움. 昭는 밝고 환함.」, ‘明德’을 「밝은 속?. 德은 바탈대로 할 수 있는 속의 힘.」이라는 등의 해석은 양명학의 연구에도 새로운 관점과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탁견이다. 아울러, 함석헌의 저작 속에는 고난을 견뎠던 왕양명의 심경이 담긴 시 「泛海」, 「??吟」, 「老檜」 등이 소개되어 있다. 왜 그가 왕양명의 시에 깊이 共鳴하게 되었는가 하는 점을 왕양명의 ‘초연’ ‘초탈’ ‘절개’에 관한 심경의 투영아니었을까. 다시 말하면 고난의 시대를 왕양명의 시를 거울삼아 건너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러한 문제를 포함하여 이제 남은 과제는 함석헌의 전저작에 흩어져 있는 양명학 혹은 양명학적 요소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라 하겠다. This study discus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m seok-hon and Yangmingxue(Yangming philosophy). Ham seok-hon, who is a famous christian in korea, accepted japanese Mukyoukaishugi(Non-church movement) which is originated by Uchimurakanjo. Later, it is succeed to Kim gyosin who is a famous modern korean christian, and after him it is succeed to Ham seok-hon. Basically, Japanese Yangming thoughts originated by Nakae toju of E-do period succeed to Uchimurakanjo’s Mukyoukaishugi internally in his christian viewpoint and thoughts, for example he estimate Nakaetoju as one of typical japanese four person, just Daihyoudeki nihonzin(代表的日本人). Ham seokhon accepted and interpretated Wang yang-ming’s thoughts, especially Daxuewen(Question and answer about Great learning, Daxue) which is a most famous and important one in wang’s texts, from viewpoint of Ssial(seed, a substantial in things and human) is the key words of his thoughts. And he interested in Wang’s Wanuyitirun, and he understood it as mysticism or occultism.

      • KCI등재

        朝鮮時代の「儒教」と「樂」について : 思想史からの一試論

        崔在穆(Choi Jae-M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8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on confucianism and music in the Joseon dynasty. In Joseon dynasty, not only having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ritual(禮, Rye), but also having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music(樂) by Confucian scholars and Scholars officials. In the first time, the Confucian music did not highlighted on the front of the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that was the Confucian society, compare with the Confucian ritual. The Confucian rituals had became widely available even in the palaces also in the private life of people. But the Confucian music, at first, was used only for ceremonies and the national level events. It is the Aak(雅樂) that is the music for use in ceremonies, and the Dangak(唐樂) that is the music for use making be bright, be correct the palace. Hyangak(郷楽) is the unique music of the country have inherited in Korea. The Aak and Jeongak is based on classical texts of ancient and medieval Chinese literature and philosophy, such as the Riji(禮記, The text on confucian ritual), the Analects of Confu년 (論語) etc. In the the Joseon dynasty, as a national project created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 music books is Akhakgwebeom(樂學軌範) edited by Songhyon(成俔), a canon and the manual of confucianism music of Joseon, musical instruments, music system etc is recorded in detail. Whe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private sector be discussed and practiced, by the Confucian scholars, so called, Sonbi(士, confucian scholars). It is just Muinomak(文人音樂, Confucian scholars Music), such as Jeongak(正樂) as the Aak(雅樂), means just correct, pure and good music.

      • KCI등재

        ‘한국양명학의 시원’으로서 소재 노수신 평가에 대한 기초적 논의 -한국양명학사 記述(기술)에서 노수신의 위상을 중심으로-

        최재목 ( Choi Jae-mo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이 논문은 한국사상사에서 ‘한국양명학 성립의 시원’으로서 소재 노수신(이하 소재) 평가의 기초적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근현대기 한국사상사 내지 한국양명학사에서 소재가 어떻게 ‘記述’되어 왔고, 그 ‘目次’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자료는 해방 전후로 나누어서 10건 정도이다. ‘주요자료’란 전문가들이 한국 사상사-양명학사를 논의할 경우, 필수적으로 거론하는 서적이나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다룰 내용을 다음과 같다. 첫째,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걸쳐 형성된 ‘한국 양명학’ 記述의 방법론에서 최초의 양명학자는 ‘남언경, 이요’ 아니면 ‘장유, 최명길’이었다. 소재를 최초의 양명학자로 규정한 경우는 없었다. 둘째, 양명학의 기술 관점은, 먼저‘성리학=주자학=퇴계학’ 도통론의 사회 조선에서 양명학 배척은 당연한 것이었다는 점이다. 이어서, 앞의 결과로, 근대로 나아갈 수 있는 실천적이며 우수한 학문인 양명학이 배제되어 일본의 메이지 유신 성공신화처럼 근대로 전환해 갈 동력(그 중심인물은 양명학과 양명학자)은 부재했기에 조선은 자체적으로는 근대화에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는 무언의 복선이 깔려 있다. 성리학망국론이 조선사상사 또는 조선양명학사 기술의 배후에서 보이지 않는 손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평가의 가이드라인은 ‘근대일본의 메이지 양명학’의 근대화 성공신화라고 생각된다. 셋째, 조선사상사 기술에서 소재는 세 방면에서 소외되었다. 소재의 사상사적 거처는 애매했다. 먼저, 주자학=퇴계학 도통론자들 이른바 주자학 긍정=중심론자들에게는 거의 주목받지 못하거나 택당 이식의 경우에서처럼 육상산혹은 양명학 계열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이어서, 성리학 망국론자의 논리에서는 양명학에 대한 탄압과 배척을 부각하면서도 그를 언급하고 있지 않다. 아울러 소재는 양명학자나 연구자 측에서도 언급하고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소재에게서 나흠순 사상의 수용, 육왕학의 수용 부분을 어떻게 무모순적으로 이해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예컨대『전습록』에서보듯이, 왕양명과 나흠순 사이의 의견 차이는 소재의 사상적 강조점을 왕양명-나흠순의 어느 한쪽(양명학, 주자학)에 둘 것인지 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 점은 소재 이후 그의 학술이 어디로 향했는가를 묻는 이른바 ‘소재학의 향방’과 연관된 것이다. 이런 논의를 통하여, 이 논문은 ‘한국양명학의 시원’으로서 소재 노수신 평가에 대한 기초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basic discussion on the evaluation of Roh susin, as a source of Korean Yangmingxue, Focusing on the Status of Rohsusin's position in the narrative of Korean Yangmingxue. There are ten major books and papers that are discussed in this paper, in Korean Yangmingxue history.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Yangmyong scholars were Nam Eun Kyung and Iyo, or Jang Yoo an Choe Myung Kil in the Korean Yangming Studies, which was formed during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Roh susin is not mentioned. Second, There are three points of view describing Yangming. First, it was natural, in Joseon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ruling by Zhuzixue as an orthodox, rejected Yangmingxue. At that time, Toegyehak was a place of orthodox thought such as Zhuzixue.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no Yangmingxue in Joseon society. So, it is concluded that the miracle of the Japanese Meijiyusin by the Yangmingxue did not happened. As a result of this logic, comes out, so called. the Seonglihakmangguklonja, who claim that the country is ruined because of xinglixue. Third, Roh Susin was alienated from three sides, that is, from the Zhuzixue, Toegye scholars, korean Yangming scholars and Seonglihakmangguklonja. Finally, it is a problem of whether Roh susin is a Yangmingxue or not. Because of Roh susin accepts the idea of Luo qinshun, Zhuzixue scholar. Luo opposed ideologically with Wang Yang-ming. Therefore, there are many points to discuss in order to define him as a Yangming scholar. Any consequences should be discussed with specific grounds, so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will affect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