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비교 연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 강의평가 사례 분석

        최임숙,Choi, Im-Sook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basic data in relation to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strategy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s evaluated the qualities of the instructions they attended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4 instructional modes(content class, online real-time class, online and face-to-face mixed class, and face-to-face cla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urse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s. That is, satisfaction with lecture progress was lower in the online real-time classes than in content classes, mixed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As a result of the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in the content class typ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asily understandable and interesting explanations. In the case of the online real-time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orough prepara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mixed class type, they sai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ystematic class and passionate lecture, and in the face-to-face classes, the pleasure of interaction and the enthusiasm of the instructor were identified as the main reasons for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atisfaction characteristic commonly derived from the four class types was the enthusiasm of the instru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strategy establishment according to each instructional mode.

      • KCI등재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의 예측력 탐색

        최임숙,박민정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진행된 강좌에서 그 효과성 인식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의 예측력을 탐색하였다. 모둠별 토론과 공동과제를 수행하면서 진행된 동일 교수자의 6개 강좌 수강생 25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이 지각한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 수준과 학업성취도는, 학습자의 학습몰입 수준과 학교적응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은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과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학교적응행동은 학습몰입과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효과 창출을 위해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이라는 학습자 특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효과적 협동학습을 위한 상호작용 규칙 구성요소-모둠활동에서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제안한 상호작용 규칙을 중심으로

        최임숙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vidence to promote interaction in cooperative learning.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interaction rules voluntarily suggested by learners were examined, and the learner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on rules were analyzed. The data for this study included group activity rules voluntarily set by learners in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over an eight semester period beginning in 2016 and ending in 2019. The learners set five categories of rules for learning effectiveness in cooperative learning: First, rules for active participation, second, rules for ensuring fairness, third, rules for respecting members, fourth, rules for establishing intimate relationships with members, and finally penalties for breaking the ru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ules had a positive effect in connection with the objectives set initially. It was reported that the rules gave formality to group activitie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and helped maintain fairness due to their increased accountabil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s. Moreover, the learners responded that by applying the rules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the group members, they were able to establish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group member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use of interaction rules, however,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to improve compliance by learners and allow for appropriate intervention by the instruct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basis for effectiv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 KCI등재

        죽음 교육 수강 대학생이 인식한 죽음 태도 변화 연구

        최임숙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4 대학교양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교육 교과목인 죽음학 수강생을 대상으로 죽음교육 전⋅후의죽음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또한 죽음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죽음교육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제별 서술형 응답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죽음태도를 2회 반복 측정하고 Wilcoxon 검증한 결과, 죽음교육 수강생 집단의 경우 죽음회피 요소는 감소하고 접근수용 요소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교육 비수강생 집단의 죽음 태도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들이 죽음학 강좌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죽음학 자체에 대한 호기심 해결,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의미와 관점 찾기, 상실 극복, 삶의 의미 추구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대다수의 학생이 죽음에서 ‘끝’을 연상하였으며, 겪어보지 못한 일이므로 미지의 공포와 부정적 정서를 떠올렸다. 죽음교육 수강생들은, 자살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한 응답으로 빼앗길 수 없는 권리와의무, 이기적 행동, 미래의 가능성 포기, 종교적 신념 위배, 좋은 죽음이 아님, 삶의 내재적가치 포기 등을 주장하였다. 더불어, 학습자들은 죽음학 학습의 효과와 청년기 자살률 감소노력의 필요성도 함께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으로서의 죽음교육을 통하여 나타난 죽음태도의 실제적 변화를 탐색하였고, 죽음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와 경험의 구체적 의미를 도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death before and after death educ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 on death studies. Additionally, I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f topic-based descriptive responses to understand learners’ needs regarding death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their death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repeated measures of attitudes towards death, analyzed using the Wilcoxon test,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death education group exhibited a decrease in death avoidance and an increase in approach acceptance factors. Significant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death were not observed among the non-death education group. Learners’ objectives in the death education course can be categorized into resolving curiosity about thanatology itself, discovering new meanings and perspectives on death, overcoming loss, and seeking the meaning of life. The majority of students associate death with ‘the end’ and recall unknown fears and negative emotions due to its unfamiliarity. In response to the reasons why one should not commit suicide, participants in the death education course argued for inalienable rights and duties, selfish behavior, forfeiting future possibilities, violating religious beliefs, not constituting a good death, and relinquishing intrinsic life values. Additionally, learners emphasized the positive effects of death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efforts to reduce youth suicide rat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actual changes in death attitudes through death education as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in deriving the specific meaning of learners’ needs and experiences related to death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아동기의 성역할 비전형성과 성인기 성역할 정체감의 관계

        최임숙 충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05 교육연구논총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전형적 성역할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한 성역할 교육의 근거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이 지각한 아동기 성역할 비전형성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향성과 성인기 성역할 정체감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아동기 성역할 비전형성의 비율은, 남학생 14.9%, 여학생 40%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 비전형성과 성인기 성역할 정체감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남학생은 여성성 점수와 여학생은 남성성 점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는 이러한 비전형적 성역할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방안에 대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nections between self-reported childhood gender atypicalness and adult gender role identity. Parents and school personnel have been concerned about girls who are referred to as "tomboys" by their peers and boys who are referred to as "sissified" by their peers. The study will have its significance for providing a foundation of gender role education today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48 college students. 40% of the adult women and 14.9% of the adult men reported to have been tomboys and sissies during their childhood. However, gender atypicalness was common and generally declined at puberty due to social pressure.

      • KCI등재

        전문대학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심리적 통제와 자아정체감의 관계 :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임숙,윤석환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8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가 전문대학 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아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53명의 전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측정변인 간 상관분석과 t-검정 및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분석을 위한 회귀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자아정체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남학생의 자아정체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은 부·모의 양육태도 중, 모의 자율성 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넷째, 자아정체감 고수준 집단과 저수준 집단 간에는 전체 변인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정체감 설명에 있어 부의 심리적 통제 요인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갖는다. 여섯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학생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아정체감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ego-identity in junior college students. Whether or not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and ego-identity was also examined in this study. A total of 253 juni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t-test, paired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ego-identity and prov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is study will help junior college students improve ego-identity by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which can influence college students’educational competitiveness at junior college.

      • KCI등재

        ‘교직 논리 및 논술’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변화 연구

        최임숙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 of self-regulated learning level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logic and discourse for teaching lesson. To do this, data of 4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wo repeated measures of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11 student teachers of essay clas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level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essay class.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a change in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factor. I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students initially addressed the difficulty of writing about background knowledge, logic, communicability, creativity, and quantity. Since then, students have overcome difficulties through efforts to expand their pedagogical knowledge and practice thoughtful writing. Particularly, they mentioned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focused instruction and the changes in their identity as teacher through writing lesson.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hope to be able to write fluently without fear in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empirical data on the changes and concrete difficulties of students in teaching logic and discourse clas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qualitative research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essay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 논리 및 논술’ 수업을 통한 교직 과정 이수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련변인의 2회 반복측정에 참여한 학생 4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합된 자료는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과 t-검증(대응표본), Wilcoxon의 부호-서열 검증(대응 두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논술 수업의 경험 분석을 위하여 수강생 11명의 수업 결과물을 대상으로 질적 자료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직 논리 및 논술’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력 수준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은 설득 및 소통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임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초기에 전문성, 논리적 체계성, 전달력, 참신성, 분량 등과 관련한 글쓰기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이후, 계속적인 논술문 작성 과정에서 교육학 지식의 확장을 꾀하면서, 생각하는 글쓰기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해 나갔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구조-중심 작성 방법의 효과성과 교사정체성에서의 변화를 다수 언급하였다. 그리하여 앞으로는 두려움 없이 유창한 글쓰기를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의 대표적 교육과정인 ‘교직 논리 및 논술’ 수업에서 학생들의 변화 양상과 학생들이 경험하는 구체적 어려움의 실증적 자료를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을 더욱 확대하고 협력 학습의 효과성 분석 또한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게임 장르에 따른 대학생의 게임중독과 자기주도 학습, 학교 적응 행동의 관계

        최임숙,서래원 교육종합연구원 2010 교육종합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game addi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s of the college students by game genre. A total of 51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ale respondents preferred RPGㆍRTSㆍFPS game genre, while female respondents preferred the casual game genre. 17.3% of participants was a high-risk group of game addiction. Students who love RPGㆍRTS and FPS game genre were most included high-risk group of game addiction. Students who mainly play RPG game showed higher addiction score and engagement score than those who play other gam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asual game genre was higher than RPGㆍFPS and simulation game. The main effect of game genre on school adjustment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the need of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game addiction.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학교적응 행동, 학업성취도와 성역할 정체감 및 학습양식의 관계

        최임숙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quire the relations among learner's gender-role identity, learning styl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239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Participants completed Korean Sex-Role Inventory,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 Inventory. The Sex-role Inventory scale categorized the learners into one of four gender-role identity categories. The four gender-role identity categories are androgynous,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Four categories of learning styles were divided by the way of learner's perception and processing on information: Diverger, Assimilator, Converger, Accommodator. For measuring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wo exams(mid-term and final) of two subjects(Introduction to psychology and Educational psychology) were administered by researcher. The test scores were combined and converted mean scores for data se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with the gender role identity types. The androgynous and the masculine type groups show more assimilator type. The feminine type group shows diverger and assimilator type. And the undifferentiated type group shows accommodator and assimilator type. Second, the effect of learning style on academic achievement is significant in male students. Learners with a assimilator learning style are superior to that of the students of accommodator type and diverger type. Third, the main effect of gender-role identity on school adjustment behavior is significant. Generally the adjustment level of the androgynous type group is the highest. That of the feminine and masculine type groups are the next and that of the undifferentiated type group is the lowes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any underlying variables, which could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identity and learning style. The implications for gender-role education and student learning strateg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 고,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과 변화

        최임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quire the development of sex-role identity. The study will have its significance for providing a foundation of sex-role education today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8 students consisted of 202 middle school students, 200 high school students and 196 college students. Sex-role identity was measured repeatedly for 145 college students at the interval of one year.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pattern of sex-role identity is different by gende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re characterized by undifferentiated type of sex-role identity.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are represented by masculine type while college students androgynous typ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undifferentiated type is domina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feminine type is dominant amo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Second, the repeated measure of the sex-role identity shows that a significant change appears in sex-role identity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1 year. Approximately 43% of the college students have changed their sex-role identity in a period of one year. The undifferentiated and androgynous types show a higher proportion of change than the masculine and feminine types. A future study is expected to answer toward the question of why such changes occur among college students in one year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성역할 정체감의 전체적인 발달 추이를 알아보고, 개인의 발달 단계에 맞는 건강한 적응과 시대 변화에 적절한 새로운 성역할 교육의 근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성인 초기 성역할 정체감의 안정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1년 간격의 반복 측정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의 중학생 202명, 고등학생 200명, 대학생 196명 등 총 598명이었다. 반복측정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대학생 145명이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성역할 정체감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미분화 유형에서 그 외의 유형 즉, 남성성ㆍ여성성ㆍ양성성 유형으로 발달해 간다. 남학생의 경우, 중학생은 미분화 유형, 고등학생은 남성성 유형, 대학생은 양성성 유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학생의 경우는 중학생의 미분화 유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을 거치면서 여성성으로 발달해간다. 둘째, 성인 초기 성역할 정체감의 안정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반복 측정 연구에서, 대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별 구성 비율은 1년 사이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다. 즉, 남성성과 여성성 유형은 안정을 유지하면서 적은 변화만을 보인 반면, 미분화 유형과 양성성 유형에서 주된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 양상이 대학 시기 이후에도 계속 되는지에 대한 의문은 후속 연구를 통해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