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의 음악창작 수업 모형 제안

        최은식,오지향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2

        Music cre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music because it requires their own personal expression which is a key element in enhancing crea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for music creation classes in order for creative activities to have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This study approached creativity as a thinking process that connects or combines exis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and incorporated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as a proposed model for music creation classes. The music creation model was designed with a procedural process consisting of three steps: sensing, familiarizing, and composing. The process stimulates the learner’s imagination and expands musical thinking through musical and cultural contexts. The first step, sensing, develops the students’ ability to notice musical concepts or materials perceptually by providing musical and cultural contexts. The familiarizing stage involves students to practice and learn the sensed musical concepts and materials with greater confidence. This is related to various musical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s. The last step, composing, teaches students to apply or to recompose the familiarized or understood concepts, thereby making personal and creative produc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to utilize cognitive elements, such as retrieval of memory, visualization, various representation patterns, inference, abstraction, combination, and re-combination.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as the basis for music creation classes can be developed or facilitated via systematic planning. This study will make possible the development of this model which can be utilized in music classes universally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music creation classes.

      • KCI등재

        음악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최은식,신혜경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음악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일반 및 음악창의성 이론, 음악학습 이론, 구성주의 학습원리를 고찰하여 개념적 틀을 구성하였으며, 이 틀에 근거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음악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조작적 원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원리에 근거하여 창의적 음악사고력 신장에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창의성 수업 개념모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음악창의성 수업을 위한 개념모형은 음악적 사고의 단계와 이에 상응하는 교수-학습절차로 이루어져 있다. 음악적 사고의 과정은 [감지]-[숙달]-[구성 및 종합]의 세 단계로 개념화 되었다. 교수-학습 절차는 ‘학습 맥락과 내용에 관한 감각적 감지’-‘모방을 통한 가락 및 리듬패턴 습득’- ‘체화된 음악재료를 활용한 즉흥문답’과 ‘상징연결을 통한 습득한 패턴의 인지적 강화’- ‘즉흥과 창작활동을 통한 음악적 아이디어의 구성’의 절차로 구체화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음악 교과교실 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최은식,김일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음악실 공간구성에 관한 기초 이론연구로 음악 교과교실의 현대화에 목적을 두었다. 전국 중등학교로 확대되고 있는 교과교실제 운영체제의 변화에 발맞춰 신축 혹은 리모델링 학교를 대상으로 음악 교과교실의 공간구성과 배치방법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음악 교과교실 공간은 가창실과 기악실을 중심으로 연습실, 컴퓨터음악실, 교사사무실, 보관실 등의 부가적 공간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고 기능별로 공간을 그룹화함으로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실 공간 구성 및 배치 시에는 공간 활용의 근접성, 소리전달 최소화, 이동거리 최적화, 교사감독의 효율성, 복합 활동 지향성 및 확장성, 공간면적과 음향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음악 교과교실 공간배치 모형 제시를 통해 공간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최은식,신지혜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4

        본 연구에서는 해외 여러 나라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그 흐름을 파악하여 국내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7개 국가, 즉 미국, 일본, 영국, 싱가폴, 핀란드, 호주, 남아공의 대표적인 13개 예술고등학교를 선정하여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국가별 학교 웹사이트에 소개된 교육과정 문서자료를 활용하는 문헌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국제적으로 예술을 위한 목표를 예술을 통한 목표보다 강조함으로써 학생들의 예술적 능력 개발 및 진로개척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으며, 둘째, 해외 예술고등학교의 개설전공은 클래식 악기가 보편적이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재즈 및 실용음악을 또한 강조하고 있었고, 셋째, 음악전문 필수과목에서는 실기와 이론과목의 균형 잡힌 틀 안에서 21세기 예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넷째, 많은 학교에서 음악전문 선택과목을 제공하였는데 음악전문 선택과목은 학생들의 폭넓은 흥미와 관심을 채워주기 위한 다양한 이론 및 실기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예술계고등학교 진학희망 중학생의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관한 인식

        최은식,신지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ope to attend arts high school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8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1221 students in 144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greed to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which would provide students with better opportunities to learn arts and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programs which stimulate students' creativity and are closely related to arts fields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secure educational space, facility for arts education, and excellent instructor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participants considered performance skill improve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to be educational objectives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but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erformance and career. Fourth, the respondents primarily hoped pure arts majors to be provided in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but they also thought that various public arts majors, including musical, model, and broadcasting, needed to be provided. Finally,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of arts high schools, and when asked to choose additional methods of selection, they preferred interview, a standardization test, and portfolio. 본 연구에서는 예술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서울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서울시 382개 전체 중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144개 학교의 1221명의 중학생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대다수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찬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그 이유로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예술영재들에게 교육 제공의 기회와 사교육비 경감을 우선 순위로 꼽았다. 둘째, 응답자들은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위해서 예술가적 창의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예술현장과 연계된 프로그램 강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교육환경 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전공실의 확보, 전공교육을 위한 시설 구축, 우수한 교·강사의 확보를 매우 중시하였다. 셋째, 응답자들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교육목표로 실기능력 강화와 창의성 신장을 우선으로 선택하였다. 하지만 응답을 영역별로 묶어 비교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학생들은 실기 및 진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영역을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주요 목표로 선택함으로써 예술고등학교가 예술가 인재 양성을 위한 주요한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개설전공으로 순수예술과 관련된 전공을 우선적으로 희망하였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또한 연극영화, 문예창작, 만화창작 뿐 아니라 뮤지컬, 실용음악, 모델학과, 영상제작, 방송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대중예술과 관련된 전공이 개설되기를 희망한다고 답변하였다. 다섯째, 과반수의 응답자들은 내신성적과 실기시험 위주인 현 예술고등학교 선발방식의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이외 추가적인 선발방안으로 면접, 표준화검사, 포트폴리오 등이 도입되기를 희망하였다.

      • KCI등재

        리머 음악교육철학의 변천에 관한 연구: 심미적 철학에서 경험적 철학까지

        최은식 한국음악교육학회 2006 음악교육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지난 세기 후반 세계 여러 나라 음악교육의 철학적 근거를 제공해 왔던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사상의 변천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1970년에 출판된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은 심미적 관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그 이후 리머의 심미적 음악교육관은 다양한 대립적 관점들에 의해 도전을 받아 왔다. 리머는 최근에 들어와서 음악교육에 관한 자신의 관점을 근본적으로는 포기 하지 않으면서도 그 동안 제시되어 왔던 다양한 관점들을 변증법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리머의 새로운 철학적 입장은 ‘경험중심 음악교육’으로 불린다.

      • KCI등재

        음악창의성 연구 동향 고찰: 연구 방법 및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최은식,신혜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연구동향 분석을 통하여 음악창의성에 관한 학문적 접근 방식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01 년부터 2015년까지 국제전문 음악학 학술지에 수록된 음악창의성 논문을 학술지,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영역의 범주에 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분석 대상 논문은 총 106편이었으며, 기간에 따른 양적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 논문들은 총 25종의 음악학 전문 학술지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5개의 학술지에 과반수의 논문이 수록되어 음악창의성 연 구가 특정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30.2%로 가장 높 게 나타나 전문가의 음악활동을 중심으로 한 음악창의성 연구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질적연구가 43.4%로 가 장 활발히 사용되는 연구 방법으로 밝혀졌다. 22.6%를 차지한 양적연구의 경우도 기술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넷째, 연구 영 역 분석 결과 음악창의성 연구는 음악교육학(44.3%)과 음악심리학(26.4%)의 두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