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ackbone hydrogen bonding interaction of the inactive isoform of type III antifreeze proteins studied by 1H/15N-HSQC spectra

        최서리,김성국,최재원,이준화 한국자기공명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26 No.4

        Antifreeze proteins (AFPs) bind to the ice crystals and then are able to inhibit the freezing of body fluid at subzero temperatures. Type III AFPs are categorized into three subgroups, QAE1, QAE2, and SP isoforms, based on differences in their isoelectric points. We prepared the QAE2 (AFP11) and SP (AFP6) isoforms of the notched-fin eelpout AFP and their mutant constructs and determined their temperature gradients of amide proton chemical shifts (Delta_delta/DeltaT) using NMR. The nfeAFP11 (QAE2) has the distinct Delta_delta/DeltaT pattern of the first 310 helix compared to the QAE1 isoforms. The nfeAFP6 (SP) has the deviated Delta_delta/DeltaT values of many residues, indicating its backbone conformational distortion. The study suggests the distortion in the H-bonding interactions and backbone conformation that is important for TH activities.

      • KCI등재

        NMR Hydrogen Exchange Study of DNA Duplex Containing the Consensus Binding Site for Human MEIS1

        최서리,Ho-Seong Jin,Yeo-Jin Seo,이준화 한국자기공명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24 No.4

        Transcription factors are proteins that bind specific sites or elements in regulatory regions of DNA, known as promoters or enhancers, where they control the transcription or expression of target genes. MEIS1 protein is a DNA-binding domain present in human transcription factors and plays important roles in various biological functions. The hydrogen exchange rate constants of the imino protons were determined for the wild-type containing the consensus DNA-binding site for the MEIS1 and those of the mutant DNA duplexes using NMR spectroscopy. The G2A-, A3G- and C4T-mutant DNA duplexes lead to clear changes in thermal stabilities of these four consensus base pairs. These unique dynamic features of the four base pairs in the consensus 5'-TGAC-3' sequence might play crucial roles in the effective DNA binding of the MEIS1 protein.

      • KCI등재

        한국의 취업이민정책과 인적자본 시민권

        최서리(Seori Choi),이창원(Chang Won L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3

        이 논문은 ‘인적자본’의 개념이 국내 취업이민자의 ‘전문성’ 판별 및 영주권이나 국적에의 접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시민권이 변화하는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취업이민정책의 변천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얀테 엘러만(Antje Ellermann, 2020)의 인적자본 시민권(human-capital citizenship) 개념을 활용하여 국내 취업이민정책 운영에서 인적자본 시민권이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의 취업이민정책은 비전문/전문의 이원화된 관리방식과 전문취업자의 정착 유도라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비전문/전문의 구분은 학력이나 경력과 같은 인적자본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취업이민자가 전문직 종사자로 인정되더라도 한국사회 성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추가로 자신의 인적자본을 증명해 보여야 한다. 정리하면, 한국의 취업이민정책은 인적자본에 따른 계층화된 시민권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이 논문은 신문기사, 정부 문건 등 1차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 of human capital affects the classification of employment-based immigrants and their accessibility to permanent residency and nationality in Korea; thereby exploring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citizenship in Korea. Using the concept of ‘human capital citizenship’ by Antje Ellermann (2020),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Korea"s employment-based immigration policies during the three distinct periods and the ways in which human capital citizenship has been expressed in the operation of the past and the current policies. Korea"s employment-based immigration policy distinguishes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encouraging the former to settle down in the country.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s based on the human capital such as educational level, work experience and language proficiency. Moreover, those recognized as ‘professional’ also need to further prove their human capital in order to be accepted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and enjoy the rights exclusive to the citizens in Korea. In the essence, Korea"s employment-based immigration policy implies stratified citizenship based on the human capital.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various primary materials such as newspaper articles and policy documents had been reviewed.

      • KCI등재

        한국의 한국계중국인 대상 정책의 전개: `동포`와 `외국인력` 사이의 절충

        최서리 ( Seori Choi ),이창원 ( Chang Won Lee ),박미화 ( Mihwa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3

        흔히 `조선족`으로 불리는 한국계중국인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이주민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기 거주하는 규모도 빠르게 증가하여 이들은 이미 한국사회의 비중 있는 구성원이 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한국계중국인의 귀환 촉진 및 체류 우대정책을 민족주의의 발로로 해석하고 있지만, 이 정책은 내적으로 상당히 모순적이다. 이 연구는 정부의 한국계중국인에 대한정책을 시기별로 살펴보면서 정책의 논거를 분석한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계중국인 대상 정책은 한편으로는 한민족 `동포`를 수용해야 한다는 명분이, 다른 한편으로는 국내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명분이 경합하는 장(field)이 되었다. 동포 우대와 국민 권리 보호라는 두 가지 가치가 경합하는 가운데 상황에 따라 근시안적 관점에서 추진된 정책은 한국계중국인을 `한국사회에서 배제된 정주자`로 애매하게 위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한국계중국인의 거주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이제는 한국 정부가 이들을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계중국인의 노동시장 상향이동 가능성이 없다면 이들의 주변화가 심화될 것이며, 이들은 결국 우리 안의 타자로 남게 될 것이다. Chinese people of Korean ethnicity, commonly known as Joseonjok, have emerged as the largest migrant group in Korea. As an increasing number of these Korean-Chinese have settled in Korea, they have become a visible group within Korean society. Some scholars claim that the return policy of Korean-Chinese is a reflection of nationalism in Korea, but the government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has been quite contradictory. This paper offers a critical review of government policy with regards to Korean-Chinese and an analysis of the rationale behind such policy. The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over the past twenty years has been a field in which two policy values and goals compete. On the one hand, the government has been urged to embrace Korean diaspora.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has been obliged to protect the right of disadvantaged citizens to secure local jobs. While the two policy goals (ethnic priority and the protection of the citizen`s right to work) have been competing, Korean-Chinese have continued to be the subject of control. The past policy of Korean-Chinese has thus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the socially excluded in Korea. As the permanent settlement of Korean-Chinese tends to become the norm,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accept them as equal member of Korean society. Without the possibility of upward mobility in the labor market, Korean-Chinese will continue to be marginalized and remain racialized `Others` within society.

      • KCI등재

        농축산업 외국인력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서리(Seo Ri Choi),이창원(Chang Won Lee) 한국농촌사회학회 2014 農村社會 Vol.24 No.1

        지난 십여 년간 농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국내 농업 생산에 있어 임금노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내국인 구인의 어려움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공식적으로 농업 생산에 외국인력이 활용되고 있고 고용허가제가 도입된 2004년 이래 (2009년을 제외하고) 농업분야 외국인력 도입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원고는 외국인력을 고용하고 있는 농업경영체의 관점에서 정부의 단순기능 외국인력 도입제도인 고용허가제의 운영방식이 농업분야의 정책적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정책과제를 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2013년 체류외국인 실태조사』 중에서 297개 농축산업 사업체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작성하였다. 본 조사 응답업체의 인력활용 특성을 분석해 보면 평균적으로 4명 중 3명이 외국인일 정도로 외국인력에 대한 농업경영체의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피고용인 중 내국인이 한 명도 없는 업체의 비율은 전체 응답업체의 43.9%나 된다. 응답업체의 대부분이 내국인 농업분야 취업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외국인력에 대한 농업경영체의 의존도는 향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농축산업분야는 전반적인 인력부족 이외에도 축산업과 작물재배업간 임금 및 인력부족 차이와 연중 인력수요 불균형도 문제가 되고 있다. 축산업이 작물재배업보다 높은 임금을 제시하기 때문에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들은 작물재배업에서 축산업으로 이직할 가능성이 크다. 축산업 보다 인력부족 정도를 심각하게 느끼는 작물재배업 인력 유출을 막기 위해 작물재배업에 서 취업 중인 이주노동자들에게 체류기간이나 체류자격 측면에서 인센티브를 부과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일부 작물재배업에서 농번기와 농한기 인력수요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노사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농업보조금을 통해 농한기 임금을 보전하거나 해외의 계절노동자 제도처럼 농한기에는 본국에서 휴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연중 인력수요 불균형 문제는 외국인력정책만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며 농업분야 전반에 대한 지원과 임금노동자의 다양한 공급처를 확보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shrinking and aging of the population in rural areas have caused the increasing demand for wage work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Korea) over the past decades. Due to difficulties in recruiting local Korean workers, growers began hiring foreigners since the early 2000s. In 2004,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a program to allow employers who have failed to hire locals, to employ foreigners. The government continues to increase the quota for migrant agricultural workers since then, except 2009.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EPS meets the needs of farmers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297 farmers currently employing migrant workers. The responses are obtained from the 2013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Foreign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farmers currently employing migrant workers heavily rely on this foreign workforce. Three out of every four employees are migrant workers, and 43.9 percent of employers do not have locals in their workforce. Considering that most respondents opine that locals are unlikely to work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labor shortage will be maintained and the dependence of farmers on migrant workers is only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We argue that the current labor shortag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can not be resolved simply through the in creased quota for migrant agricultural worker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address the gap between the horticultural and stockbreeding sectors in terms of wage rates and labor shortages and seasonality which prevails in the horticultural sector. Compared to the stockbreeding sector, the horticultural sector shows lower pay rates and slower wage increas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igrant workers in the horticultural sector seek to find a job in the stockbreeding sector. Given that growers in horticulture experience far greater labor shortage than livestock farmer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ncentives in terms of residency are provided to migrant workers employed in the horticultural sector.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seasonal difference in labor needs that often lead to disputes between farmers and migrant workers, deliberate thoughts should be given to policy options to provide subsidies to cover migrant workers’ wages or give them unpaid leave during the off-season.

      • KCI등재

        국내거주 중국동포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이주민 평생교육의 과제

        이로미,최서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2

        이 연구는 국내 거주하고 있는 중국동포의 교육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주의 시대를 맞는 향후 한국의 평생교육의 과제를 제시한다. 그동안 한국의 이주민 평생교육은 법령과 정책, 관련 연구가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을 주요 대상으로 해 왔고 중국동포의 경우 실질적으로 국내 장기거주 하는 주요 이주민 집단임에도 한국 사회의 제한적인 다문화담론에서 배제되어 적극적인 교육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동포는 평생교육 분야에서 주변화되면서 양질의 교육을 받을 기회에 접근이 어려워 결과적으로 국가 차원에서도 평생교육을 통해 수월성 함양이나 사회통합 과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교육 학계와 정책입안자는 이주민의 유입 및 정주에 관한 초국적 현실을 반영하고 국내 이주자 집단을 포괄하여 평생교육의 대상과 내용에 대해 새로운 틀을 짜기를 희망하며 중국동포처럼 정주가능성이 높은 이주민의 직업역량을 제고하고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평생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이주민 평생교육 정책의 입안 및 시행과정에서 시민사회와 교육시장의 적절한 개입을 유도하고 적절한 역할 배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education and learning of Chinese of Korean descent in Korea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in Korea which experiences an increasing influx of (im)migrants. Korean policymakers and scholar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ave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learning of migrant women who have married to Korean men and settled in Korea. Meanwhile, Chinese of Korean descent have been hardly recognized as legitimate recipient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even though their stay tends to be prolonged. This study shows that most of the Korean Chinese residents are marginalized in the areas of education and learning and their access for quality education is often limited. In this circumstance, the country encounters difficulties in fostering excellence and social cohes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Considering the increasing influx of migrants and their transnational living arrangements, this paper suggests Korean policymakers and scholars develop a new framework for lifelong education that accommodate everyone in the society, including (im)migrants. A special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long-term migrants such as the Korean Chinese residents in order for the country to achieve social cohes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To do so, the appropriate roles of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educational market should be defined and practiced.

      • KCI등재

        NMR Study on the Preferential Binding of the Zα Domain of Human ADAR1 to CG-repeat DNA Duplex

        이애리,최서리,서여진,이준화 한국자기공명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21 No.3

        The Z-DNA domain of human ADAR1 (ZαADAR1) produces B-Z junction DNA through preferential binding to the CG-repeat segment and destabilizing the neighboring AT-rich region.9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answer the question of how many base-pairs in AT-rich region are destabilized by binding of ZαADAR1. Thus, we have performed NMR experiments of ZαADAR1 to the longer DNA duplex containing an 8-base-paired (8-bp) CG-repeat segment and a 12-bp AT-rich region. This study revealed that ZαADAR1 preferentially binds to the CG-repeat segment rather than AT-rich region in a long DNA and then destabilizes at least 6 base-pairs in the neighboring AT-rich region for efficient B-Z transition of the CG-repeat se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