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한국계중국인 대상 정책의 전개: `동포`와 `외국인력` 사이의 절충

        최서리 ( Seori Choi ),이창원 ( Chang Won Lee ),박미화 ( Mihwa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3

        흔히 `조선족`으로 불리는 한국계중국인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이주민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기 거주하는 규모도 빠르게 증가하여 이들은 이미 한국사회의 비중 있는 구성원이 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한국계중국인의 귀환 촉진 및 체류 우대정책을 민족주의의 발로로 해석하고 있지만, 이 정책은 내적으로 상당히 모순적이다. 이 연구는 정부의 한국계중국인에 대한정책을 시기별로 살펴보면서 정책의 논거를 분석한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계중국인 대상 정책은 한편으로는 한민족 `동포`를 수용해야 한다는 명분이, 다른 한편으로는 국내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명분이 경합하는 장(field)이 되었다. 동포 우대와 국민 권리 보호라는 두 가지 가치가 경합하는 가운데 상황에 따라 근시안적 관점에서 추진된 정책은 한국계중국인을 `한국사회에서 배제된 정주자`로 애매하게 위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한국계중국인의 거주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이제는 한국 정부가 이들을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계중국인의 노동시장 상향이동 가능성이 없다면 이들의 주변화가 심화될 것이며, 이들은 결국 우리 안의 타자로 남게 될 것이다. Chinese people of Korean ethnicity, commonly known as Joseonjok, have emerged as the largest migrant group in Korea. As an increasing number of these Korean-Chinese have settled in Korea, they have become a visible group within Korean society. Some scholars claim that the return policy of Korean-Chinese is a reflection of nationalism in Korea, but the government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has been quite contradictory. This paper offers a critical review of government policy with regards to Korean-Chinese and an analysis of the rationale behind such policy. The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over the past twenty years has been a field in which two policy values and goals compete. On the one hand, the government has been urged to embrace Korean diaspora.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has been obliged to protect the right of disadvantaged citizens to secure local jobs. While the two policy goals (ethnic priority and the protection of the citizen`s right to work) have been competing, Korean-Chinese have continued to be the subject of control. The past policy of Korean-Chinese has thus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the socially excluded in Korea. As the permanent settlement of Korean-Chinese tends to become the norm,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accept them as equal member of Korean society. Without the possibility of upward mobility in the labor market, Korean-Chinese will continue to be marginalized and remain racialized `Others` within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취업이민정책과 인적자본 시민권

        최서리(Seori Choi),이창원(Chang Won L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3

        이 논문은 ‘인적자본’의 개념이 국내 취업이민자의 ‘전문성’ 판별 및 영주권이나 국적에의 접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시민권이 변화하는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취업이민정책의 변천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얀테 엘러만(Antje Ellermann, 2020)의 인적자본 시민권(human-capital citizenship) 개념을 활용하여 국내 취업이민정책 운영에서 인적자본 시민권이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의 취업이민정책은 비전문/전문의 이원화된 관리방식과 전문취업자의 정착 유도라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비전문/전문의 구분은 학력이나 경력과 같은 인적자본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취업이민자가 전문직 종사자로 인정되더라도 한국사회 성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추가로 자신의 인적자본을 증명해 보여야 한다. 정리하면, 한국의 취업이민정책은 인적자본에 따른 계층화된 시민권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이 논문은 신문기사, 정부 문건 등 1차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 of human capital affects the classification of employment-based immigrants and their accessibility to permanent residency and nationality in Korea; thereby exploring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citizenship in Korea. Using the concept of ‘human capital citizenship’ by Antje Ellermann (2020),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Korea"s employment-based immigration policies during the three distinct periods and the ways in which human capital citizenship has been expressed in the operation of the past and the current policies. Korea"s employment-based immigration policy distinguishes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encouraging the former to settle down in the country.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s based on the human capital such as educational level, work experience and language proficiency. Moreover, those recognized as ‘professional’ also need to further prove their human capital in order to be accepted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and enjoy the rights exclusive to the citizens in Korea. In the essence, Korea"s employment-based immigration policy implies stratified citizenship based on the human capital.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various primary materials such as newspaper articles and policy documents had been reviewed.

      • KCI등재

        국내 노동시장에서 중국동포 임금차별은 존재하는가?

        이창원(Chang Won Lee),최서리(Seori Choi)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4

        한국은 오랫동안 ‘단일민족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기 때문에 ‘이민국가’라는 정체성이 형성되지 않았고, 그 결과 한국사회에서 이민자들은 한시적으로 머물다 떠날 사람이라는 인식이 짙었다. 하지만 다양한 이유로 한국행 이주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한국사회 역시 저출산・고령화에 직면하여 이민자의 유입이 불가피하다는 담론이 형성되면서 이제는 이민자가 국내 장기거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열리게 되었다. 특히 중국동포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 변화는 한국이 이민국가로 전환해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본 연구는 국내 노동시장에서 중국동포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한국인과 비교한다. 특히 인적자본이론, 노동시장분절이론, 차별가설을 따라 중국동포도 그들의 인적자본이 한국인이 누리는 만큼의 임금효과를 누리는지, 내부노동시장의 임금프리미엄이 중국동포에게도 한국인만큼 나타나는지, 중국동포에 대한 임금 차별이 존재하는지 등을 살펴본다. 분석 결과 중국동포의 인적자본(교육수준)과 일자리 특징(내부/외부노동시장)이 갖는 임금 효과는 한국인에 비해 낮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 중국동포라는 특성에 따른 임금 불이익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불이익이 정착 초기의 일시적 현상인지 살펴보기 위해 국내 5년 이상 체류한 중국동포를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나 그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과 중국동포의 임금 차이는 개인의 인적자본이나 분절노동시장의 차이로 설명하기 어려우며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중국동포에 대한 임금 차별 가능성을 시사한다. For most South Koreans, their nation has not been identified as ‘an immigrant society’, due to its strong national identity and the historically shaped idea of it as ‘a mono-ethnic society’. This has lead to the perception that typically immigrants are temporary economic migrants rather than those who would permanently settle in Korea as permanent citizens. However, Korea’s recent national problems triggered by low fertility and an aging population, together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nts, have generated an emergent public discourse that a permanent immigrant population is inevitable. The changing government policy towards Korean-Chinese migrants is a particularly pertinent example of South Korea’s progression toward becoming ‘an immigrant societ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Korean-Chinese migrants are treated within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Guided by the human capital, segmented labor market, and ethnic discrimination theories, this paper analyzes wage returns to educational level, labor market sectors, and ethnicity of Korean-Chinese and compares them to native Koreans. Comparing wage determinants between the native Koreans and the Korean-Chinese, this research finds that educational level brings a significant wage benefit for native Koreans, whereas it results in little or no advantage for Korean-Chinese immigrants. The extent of wage gaps between those involved in the external labor market and internal labor market is much more significant amongst native Koreans (both men and women) than for the Korean-Chinese group. Ethnicity (Korean-Chines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wage disadvantage for Korean-Chinese men. Additionally, the wage determinants for long-term residents of Korean-Chinese ethnicity remain similar to the recent migrants of their co-ethnic group, rather than progressing to the same level as native Koreans over time. In conclusion, wage gaps between the native Koreans and the Korean-Chinese could not be fully attributed to the differences in human capital or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but rather due to possible wage discriminations that exist against Korean-Chinese immigrants.

      • 대안적 난민 수용에 관한 논의: 2014년 이후 독일의 난민 노동시장 통합정책을 중심으로

        신소희(Sohee Shin),최서리(Seori Choi) 한국이민학회 2020 한국이민학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Vol.7 No.2

        국제사회는 2015년 이래 난민이 급증하면서 난민 수용국들의 부담을 완화시켜 난민 수용의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대안적 경로(complementary pathways for refugees)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안적 경로의 사례로 최근 독일의 난민 수용 정책을 살펴보고, 대안적 경로의 가능성과 한계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 기존의 난민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을지를 논하였다. 이 연구는 독일의 난민 수용 정책의 세 가지 특징에 주목하였다. 첫째, 2014년 이래로 독일 정부는 난민신청자들의 노동금지기간을 축소하고 노동시장테스트를 일시 중단하여 난민신청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위한 제도적·신분적 제약을 완화해 왔다. 둘째, 독일은 직업교육훈련(Ausbildung)에 참여하거나 취업활동을 하고 있는 난민들에게 체류를 허가 및 연장해 주고 있으며 난민신청이 불허되더라도 취업가능성에 따라 체류를 허가하기도 한다. 셋째, 독일은 서발칸 규정(WBR)을 통하여 난민인정률이 낮고 불법체류율이 높은 발칸 6개국을 대상으로 노동이주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무분별한 난민 신청을 억제하고, 동시에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고 있다. 독일의 정책 변화는 인도적 보호에 경제적 이해가 결합된 특징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독일에서 이러한 정책 변화가 나타난 배경과 독일과 같은 대안적 난민 수용방식이 한국의 이민정책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As the number of refugees has soared since 2015,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proposed complementary pathways for refugees to enhance the possibilities of refugee acceptance by easing the burden on host countries. This research analyzed German refugee policies as an example of complementary pathways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se pathways. Also, it discussed how this discourse can contribute to the paradigm shift in the existing refugee policies. The research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of German refugee policies; First, since 2014, the German government has reduced a labor ban period and temporarily suspended labor market tests for asylum seekers to ease institutional constraints on their labor market entrance. Second, Germany offered residential rights to asylum seekers who already work or take part in traineeships. Even if their asylum application is denied, they are allowed to stay in Germany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Third, Germany introduced the Western Balkan Regulation, which provides legal pathways for asylum seekers from six Balkan countries whose refugee acceptance rate is low. By doing so, German policy aims to increase the predictability of asylum migration while compensating for the labor shortage caused by the demographic changes. These changes demonstrate that there are possible links between labor market interests and humanitarian protection. Further, this study discussed the background of the above policy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immigration policies.

      • KCI등재

        청소업을 통한 호주 한인의 사회이동

        이창원 ( Chang Won Lee ),최서리 ( Seori Choi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이 연구는 한인의 호주 노동시장 진입과 성장에 있어서 에스닉 인클레이브로서의 청소업의 역할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국제이주자의 사회이동에 대해 고찰한다. 2017년~2019년까지 시드니, 브리즈번, 멜버른 현지조사와 50여 명의 한인 심층면접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이 중 16명의 심층면접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주 한인에게 청소업은 영어 등 인적자본이 부족한 한인에게 취업의 기회를, 자본이 부족한 한인에게는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한인의 경제적 상승의 발판이 되고 있다. 청소업은 호주 한인의 법적지위 상승에도 기여한다. 워홀러는 청소업을 하면서 학생비자로 변경하거나 457비자를 취득하고, 고용주는 청소업을 활용하여 457비자를 후원한다. 청소업은 한인 이민 1세뿐만 아니라 호주 주류사회 진출 장벽이 낮은 1.5세와 2세에게도 한인이 사수해야 할 중요한 기회로 인식되고 있다. 끝으로 호주 한인은 이주를 통한 사회이동의 의미를 호주 사회 내의 자신의 위치보다는 한국에 있을 때와의 비교를 통해 평가하며, 대체로 호주 이주 후 청소업 종사 등 직업의 하향이동과 상관없이 호주라는 나라가 제공하는 기회와 환경을 사회이동을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언급하였다. 이는 이민자에게 청소업이라는 직업보다 호주라는 국가가 계층 소속감과 사회이동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he cleaning industry as an ethnic enclave as it incorporates Koreans into the Australian labor market, placing special emphasis on exploration of the social mobility of Koreans who have migrated to Australia. Interviews of some fifty Korean individuals were carried out in Sydney, Brisbane, and Melbourne between 2017 and 2019, with sixteen of those interviews used in this analysis. The cleaning industry has served as a steppingstone towards upward economic mobility by Koreans in Australia as it provides job opportunities to those lacking human capital and English language skills, on the one hand, and business opportunities to those lacking financial capital on the other. The industry has also helped Koreans to secure settlement status in Australia. Working holidaymakers engaged in cleaning work are issued with student visas to continue their work and some get to acquire a temporary work visa (457 subclass) with the sponsorship of Korean employers. Cleaning has been seen a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both first-generation Koreans as well as 1.5 and second-generation Koreans, the latter of whom generally face lower barriers to entry into mainstream Australi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s of Koreans who have migrated to Australia, the meaning of social mobility is constructed by comparing the opportunities and environments Australia has offered to them with those of Korea. This suggests that, for Koreans in Australia, social mobility is interpreted on the basis of where they live rather than what they do.

      • KCI등재

        숙련 외국인 어선원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 연근해 어업을 중심으로

        현채민 ( Chaemin Hyun ),최서리 ( Seori Choi ) 한국수산경영학회 2023 수산경영론집 Vol.54 No.1

        With the restriction of foreigners’ entry into Korea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fishery industry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in supplying migrant workers. In response to thi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methods that could facilitate the stable employment of migrant worker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current system used for the employment of migrant workers in the fishery industr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hem, adequately performs its function of providing a stable and skilled workforce amid the intensified labor shortage resulting from decreasing numbers of households with employment in the fishery and the aging Korean fishermen. To this end, past studies and government documents pertaining to the current system were analyzed, and a survey targeting the owners of offshore fishing boats that employ migrant workers was conducted. A total of 147 owners of fishing boat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data of 499 migrant workers employed by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igrant fishermen had difficulty in acquiring minimum scores for the change of visa statu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the Skilled Worker Points System. Furthermore,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employed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and the Foreign Seamen System. Based on this result, this paper suggests the reorganization of the skilled migrant worker system in the fishery industry and the expansion of the regional specialized visa pilot project.

      • 잠재성장률과 이민자 도입규모

        강동관(Dong Kwan Kang),남상호(Sang Ho Nam),이창원(Chang Won Lee),최서리(Seori Choi)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17 미래성장연구 Vol.3 No.1

        신자유주의와 국제화의 영향으로 이민은 이제 어느 나라의 특수화 된 현상이 아니라 보편적인 현상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상황을 받아들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저출산ㆍ고령화의 심화 및 인구 순유출의 증대로 인한 국내인구변화에 대응하고, 이로 인한 생산 및 소비 감소 등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로 이민정책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저출산ㆍ고령화 및 인구 순유출 증가로 인해 생산인구감소라는 문제에 직면한 국내환경을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이민자 도입규모를 일반연산균형모형(CGE)을 이용하여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 내에 이용 가능한 자료와 가정을 기반으로 모형을 설정하고, 외국인 비율의 변화에 따른 경제효과의 변화가 아닌 잠재성장률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의 필요 수를 추정하였다. The current migration, called the ‘new nomadic generation,’ is already perceived as one of the universal phenomena. For that reas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igration environment - social, economic, demographic, and cultural environment - and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mig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migr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measure the scale of migrants introduction to achieve the potential economic growth rates and provide basic data to policy makers. Factors of demographic change, such as low birth rate, aging population, decrease in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high education, are going to directly affect the national economy or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opulation of Korea is expected to decline starting in 2018, and likewise,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people will start to go down in 2017. Furthermore, since the aging population is on a sharp rise, the median, which was 38 in 2010, is very likely to jump to 43.8 by 2020. Such demographic changes will certainly have an impact on the Korean society in ways that it will bring about the imbalance of labor demand and supply, serious labor shortage, unemployment, and poverty of aging popul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migration introduction polic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means. Thus, ou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how many immigrants are to be introduced to cope with these problems using computational equilibrium model (C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