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열병합발전 공급온도에 따른 탄소 배출권 산정 연구

        최상미,김민성,김소연,임지훈,정상훈,Choi, SangMi,Kim, Minsung,Kim, Soyeon,Lim, JiHun,Jeong, SangHun 한국플랜트학회 2022 플랜트 저널 Vol.18 No.2

        As GHG reduction becomes a major global issue, the importance and interest of ETS is increasing. Korea experienced positive effects of the system since the introduction of ETS in 2015, but also faced various problem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issue of applying the ETS system to the group energy of industrial complexes. The group energy of industrial complexes is a unique industrial form of Korea that cannot be found in the world. Therefore, if the system is implemen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ceding countries, it will inevitably cause problems. In particular, the group energy of industrial complexes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onditions and amount of heat supplied are dtermined according to the demands of customers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s determined accordingly. We investigated how differenct temperatures of heat produced in cogeneration affect carbon credit calculat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민청원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국민들의 복지 욕구 탐색

        최상미 ( Choi Sangmi ),설소희 ( Sul Soh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2020년 한 해 동안 보건복지로 분류된 국민청원 중 복지 이슈 청원 452개 청원의 내용을 통해 코로나19 시기 국민의 복지 욕구를 도출하였다. 자료는 국민청원 웹사이트에서 웹스크래핑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SPSS와 Atlas-ti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20년 한 해 동안 복지 분야 국민청원은 19개 대범주와 107개 세부범주로 분류되었으며 코로나 관련한 복지 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어 장애인, 요양간병, 복지시설 및 인력 관리운영, 사회, 사회보험, 아동가족, 보육, 저소득/노동/고용, 청년, 노인, 공공부조, 주거, 한부모, 정신건강, 입양, 외국노동자, 노숙인 등의 순으로 많은 관심과 욕구가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청원은 새로운 정책이나 제도를 제안하거나 기존 제도의 개선이나 보완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일부는 신고고발, 칭찬 등을 의도하였다. 이처럼 국민청원은 대체로 작게는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집단 및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 크게는 더 나은 사회와 국가를 만들기 위한 제도화를 주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로부터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적 재난 상황에서 복지영역의 대처와 준비, 사회적 수요와 관심이 높은 사회서비스의 제공과 전달, 청원과 같은 사회적 요구 활동에서 특정 집단의 배제 가능성과 정보 접근성의 문제, 특정 집단과 해당 집단에 속하지 않는 국민들 간의 인식의 간극과 해결, 사회복지영역의 전통적 문제에 대한 재발견과 대응, 최근 시행을 시작한 제도들의 구체적 개선 방안,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자료로서 복지 욕구 파악을 위해 국민청원자료 활용 체계 구축 필요성 등에 대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elfare needs of people from a bottom-up approach using welfare-related national petitions among petitions classified as health and welfare registered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period of Corona pandemic at National Petition website. Data was collected by web scraping and 452 petitions was utilized for final analysis. The findings of content analysis using Atlas0ti indicate that people have had interest and needs related to 19 categories such as Corona19, the disabled, nursing care, social insurance, child·family, nursery, low-income/labor/employment, young adults, the old, public assistance, housing, single parent family, adoption, foreign workers and homeless in order. Additionally, most petitions, nearly 90%, were proposed with the intent to propose new policies or to improve or supplement existing policies and systems. In this respect, petitions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their own or the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 and largely to make a better society and state, but rarely lead to institutiona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urrent study proposes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the coping and preparation of the welfare sector in response to a pandemic situation, providing and delivering social services with high social demand and interest, dealing with accessibility to political and social action including petitions among specific groups, the gap between the welfare needs of a specific group and the general public, the discovery and improvement of traditional and new problem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e necessity of system establishment for utilizing national petition data to identify welfare needs of people from a bottom-up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lderfer의 ERG 이론을 적용한 빈곤 청년의 행복 결정 요인 탐색 연구

        최상미(Choi, Sang mi),주영선(Joo, Young Sun),조자영(Cho, Ja you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Alderfer(1972)의 ERG 이론을 적용하여 생존욕구․관계욕구․성장욕구의 충족 정도가 단계별로 빈곤 청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수집된 청년희망키움통장 사업 참여자 대상 1차 패널 자료를 이차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빈곤 청년 72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생존, 관계, 성장욕구 충족 모두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욕구로는 경제적 여건과 주관적 건강이, 관계욕구로는 가족지지와 사회적 자본의 일부 하위요인이, 성장욕구로는 회복탄력성과 고용희망의 일부 하위요인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eds on happiness among low-income young adults in South Korea by applying Alderfer (1972)’s Existence Relatedness Growth (ERG) theory.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722 young adults receiving subsidies from the Korean government unde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ticipants’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eds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happiness. In particular, existence needs, which include subjective economic well-being and health status, relationship needs, which include family support and social capital, and growth needs, which include resilience and employment hope,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among low-income young adul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atisfying the diverse needs of low-income young adults to ultimately increase their happines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overlooked this population.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low-income young adults in South Korea.

      • KCI등재

        빈곤 청년의 저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계급여 수급 가구 청년을 대상으로

        최상미(Choi, Sangmi),주영선(Joo, Young Su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축이 빈곤 청년들의 탈빈곤을 지원하고 빈곤에의 재진입을 예방하며 나아가경제적 안정을 성취하는 데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고, 생계급여 수급 가구 청년들의 저축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빈곤 청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요인, 경제적특성, 고용 특성, 제도적 특성이 저축액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자산형성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자유납입액과 이를 제외한 저축액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자유납입액을 포함한 총 저축액과 제외한 저축액을 구분하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요인만을 투입한 모델에 비해 경제적 특성, 고용 특성, 제도적 특성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때, 모델의 설명력이 유의한 정도로 높아지는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별 영향력에 대한 분석결과, 근로/사업소득, 지출이 많을수록, 시간제에 비해전일제 근로자일수록, 임시·일용직에 비해 상용직 근로자일수록, 자산형성지원사업에 참여할수록 총 저축액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형성사업 자유납입액을 제외한 저축액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지출이 많을수록, 시간제에 비해 전일제 근로자일수록, 임시·일용직에 비해 상용직근로자일수록 자유납입액을 제외한 저축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사회복지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As savings can help people escape from poverty, prevent re-entry to poverty, and achieve financial stability,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factors predicting savings among low-income young adults in South Korea. We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economic, employment-related and institutional factors on savings among young adults with ages between 19 and 34 years ol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tudy utilizes two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 Savings with and without savings to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IDA) because the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saving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participating in IDA or no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ose with higher income, and more spending, who work as full-time employee and are regular workers (permanent employees) and participate in asset-building policies (e.g.,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s for young adults) are more likely to save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 lower income, and lower spending, who work as part-time employees, are temporary workers, and do not participate in asset-building policies. Based on our findings,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의 보상체계 특성과 정립방향에 대한 탐색적 고찰

        최상미(Sang Mi Choi),최재성(Jae Sung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의 보상체계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고, 사회복지시설에서의 합리적인 보상체계 정립을 위한 정책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조직 환경에서의 보상의 개념과 체계, 유형을 검토하고 보상에 대한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조작적 정의를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시설에서 보상체계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회복지분야만의 고유한 특성을 검토하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틀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시설 보상체계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관련 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보상체계 분석틀로서 4가지 차원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는 보상절차 및 방법으로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두 번째 차원은 보상기준으로 ‘언제 보상할 것인가’, 세 번째 차원은 보상상황으로 ‘보상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건은 무엇인가’, 마지막 차원은 보상형태로서 ‘무엇을 보상할 것인가’이다. 차원별 검토결과, 사회복지영역에서의 보상체계 특성은 정부에의 높은 의존성, 규제로 인한 탄력성의 부족, 사회복지의 공공성 및 이로 인한 희생과 봉사에 대한 사회적 기대, 상대적으로 낮은 보상체계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기본급의 차이가 결정적인데 공무원과 교사에 비해 1호봉의 경우 97% 86% 수준을 보이나 이는 호봉이 증가할수록 그 격차는 더욱 벌어져 30호봉에서는 82% 62%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더하여서 수당제도의 차이는 교사 및 공무원의 경우 16종에 이르나 사회복지시설의 경우 9종 정도에 지나지 않아 보수수준의 격차를 더욱 벌여놓고 있다. 또한 시간외 수당, 휴일근무수당 등의 법정수당조차도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 정책함의로 기본급의 상향조정, 이용료수입의 예산집행 탄력성 부여, 보충적 퇴직급여도입 등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rewards systems of social service settings in Korea and to make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reasonable rewards systems.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rewards in social service settings. Secondly,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setting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rewards system are examined. Then, researchers develop a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wards systems of social service settings in Korea. The framework consists of four dimensions: rewards mechanism (how to pay); rewards criteria (when to pay); rewards contingencies (external factors to influence on rewards system); and rewards consequences (what to pay). Findings are summarized as: rewards system in social service settings is heavily dependent on government subsidy; lack of elasticity on expenditure due to regulations; pressure from social expectation of commitment and sacrifice of social workers; and low level of rewards system. Researchers suggest that increase of wages, freedom on expenditure over revenue made from fees for services, and additional retirement benefit program should be reviewed to improve rewards system in social service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