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니멀리즘 가구디자인의 근원과 조형세계에 관한 연구 -미니멀 아티스트의 가구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최병훈,김진우,Choi, Byung-Hoon,Kim, Jin-Woo 한국가구학회 2006 한국가구학회지 Vol.17 No.2

        Minimalism describes various movements in art and design, which flourished mainly in the USA in the 1960s. Its popularity, however, was cut short by post-modernism. In the mid-1990s, minimalism was given a second breath of life and became culturally popular, especially in areas such as design and art the minimalist movement launched some trends that supplanted post-modernism and whose influences still cast a heavy shadow on society today. From this point of view, in analyzing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s and their work from the 1960s, which were the first generation of the minimalist furniture design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nalyze contemporary artists and their art. In this study, four American minimal artists in the furniture design field, Donald Judd, Richard Tuttle, Scott Burton, and Richard Artschwager were studied along with their works. The results show the thre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inimalist furniture design featuring strict and simple geometric shapes: the form, which was influenced by early modernism variety and origin, which are formative of the materials and the way they are used as influenced by surrealism and a new concept of art such as aesthetics for the little things, which echoes influences of Dadaism, and especially of earlier artists such as Marcel Duchamp.

      • KCI등재

        도심지 도로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 GPR 자료 해석 기법

        최병훈,편석준,최우창,조철현,윤진성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22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5 No.4

        Ground subsidence on urban roads is a social issue that can lead to human and property damag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tect underground cavities in advance and repair them. Underground cavity detection is mainly performed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urveys.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s a massive amount of GPR data needs to be interpreted, and the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skills and subjectivity of experts. To address these problems, researchers have studied automation and quantification techniques for GPR data interpretation, and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we described a hyperbolic event detection process based on deep learning for GPR data interpretation. To demonstrate this process, we implemented a series of algorithms introduced in the preexisting research step by step. First, a deep learning-based YOLOv3 object detection model was applied to automatically detect hyperbolic signals. Subsequently, only hyperbolic signals were extracted using the column-connection clustering (C3) algorithm. Finally, the horizontal locations of the underground cavities were determin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hyperbolic event detection using the YOLOv3 object detection technique achieved 84% precision and a recall score of 92% based on AP50. The predicted horizontal locations of the four underground cavities were approximately 0.12 ~ 0.36 m away from their actual locations. Thus, we confirmed that the existing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technique is reliable with regard to detecting the hyperbolic patterns indicating underground cavities. 도심지 도로에서의 지하공동 붕괴로 인한 지반침하 문제는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지하공동을 탐지하고 복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지하공동 탐지는 주로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 탐사를 통해 이 루어지는데, 방대한 탐사 자료로 인해 해석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전문가의 숙련도와 주관에 따라 해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PR 자료 해석 자동화 및 정량화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딥러닝 기반의 해석 기법들이 많이 활용되 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GPR 자료해석 기법 중 쌍곡선(hyperbola) 신호를 탐지하는 과정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기 법을 단계별로 실증 예제를 통해 설명하였다. 먼저, 쌍곡선 신호를 자동으로 탐지하기 위해서 딥러닝 기반 YOLOv3 객체탐지 기법을 적 용했다. 다음으로는 column-connection clustering (C3) 알고리즘을 통해 쌍곡선 신호만을 추출하였고, 최종적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지하 공동의 수평위치를 결정했다. YOLOv3 객체탐지 기법을 이용한 쌍곡선 신호 탐지 성능은 AP50 기준으로 정밀도 84%, 재현율 92%를 달 성했다. 지하공동 수평위치 정확도는 4개 샘플에 대해 실제 위치와 약 0.12 ~ 0.36 m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지하공동에 의해 나 타나는 쌍곡선 신호에 대한 딥러닝 기반 탐지 기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수학수업에서의 수업인터넷 기반 협력학습 수업방법 탐색

        최병훈,윤현철,Choi, Byoung-Hoon,Yoon, Heon-Chul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수학수업에서 수업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협력학습의 다양한 수업사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인터넷 기반을 위한 수업환경의 설계 방법을 안내하고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D 광역시의 초등학교 6학년 한 개 반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11월까지 약 9개월간 수업인터넷 기반으로 한 협력학습을 실시하여 대표적인 수업사례 유형을 정리하였다. 그 유형으로는 수업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교실 내 협력학습, 교실-교실 간 원격협력학습, 실시간 참여수업, 프로젝트 협력학습, 가상현실을 이용한 협력학습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다른 지역의 학생들과 동시간대에 협력학습을 실시할 수 있거나 Youtube를 이용한 학부모 및 교사 참관수업이 가능하다는 점이 기존의 협력학습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업사례는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수학수업을 벗어날 수 있는 사례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교실에서의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examples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the Instruction of Internet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So we introduce the design method of classroom environment for classroom Internet and give example of various teach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nine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 2016, on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D area. During this period, we conducted Instruction of Interne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o classify typical teaching cases. We classified into 5 type collaborative learning. First,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Second, remote collaborative learning between classroom and classroom. Third, Live participation classes. Forth, project collaborative learning. Fifth, using virtual reality in collaborative learning. In addition, we could identify that there is a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earning. It became possible to conduct collaborative learning with other students simultaneously or have opening class with both parents and teachers by using Youtube. These examples can be presented as a case to depart from traditional mathematics class in one classroom. In this regard, we will be able to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about teaching methods utilizing smart device and Internet in future classroom.

      •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업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성화 방안 모색

        최병훈,여승현,방정숙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선진화방안에 따라 수학과에 새롭게 도입된 스토리텔링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교실 안과 밖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시 1-2학년 초등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2학년군 각 단원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디지털 스토리텔링, 디지털 교구)를 제작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수업도움자료(스토리텔링북, 교사용 지도서, 앱, 이북)를 제작하였다. 또한 NFC 카드를 활용하여 1-2학년 학생들도 직관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더 갖게 되고, 교사들에게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산업클러스터내에서 사회적 자본과 혁신성과간의 관계모형 비교연구: 판교 테크노밸리와 구로 디지털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최병훈 한국거버넌스학회 201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4 No.3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Pangyo Techno Valley and Guro Digital Industrial Complex. Social capital was categorized into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direct effect of each social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and indirect effect intermediated by technical factor were verified via a statistical analysis. The effect of technical factor itself on a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was additionally examined. In Pangyo Techno Valley, we have found that bridging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echnological factors and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This is due to the generalized network of diverse and abundant information exchange among members in the cluster. In Guro Digital Industrial Complex, bridging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echnological factors, but it has no association with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Additionally, technological factors showed no intermediary effect on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nd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This paper was conducted as an extension of a prior study that analyze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a cluster’s innovative performance based on Daedeok Innopolis and Wonju industrial complex. In the future, by conducting further studies that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each regional industrial cluster, the researcher aims to present an efficient operation methodology of social capital to enhance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industrial clusters.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판교 테크노밸리와 구로 디지털산업단지의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 자본을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교량형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하여, 각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과 기술적 요인의 매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기술적 요인이 그 자체로써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도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판교 테크노밸리에서는 결속형 사회적 자본보다는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기술적 요인과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클러스터 내 구성원들 상호 간에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활동이 활발하고 보편화되어 있는 점 등에 기인된다 하겠다. 구로 디지털산업단지의 경우, 교량형 사회적 자본은 기술적 요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성과에는 미치는 영향이 없으며, 또한 클러스터 기반의 교량형 사회적 자본과 기업의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요인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및 원주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클러스터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연구되었으며, 향후 지역별 산업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하여 산업클러스터내에서 기업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자본의 효율적 운영방법론을 제시코자 한다.

      • KCI등재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최병훈,방정숙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수학적 창의성과 관련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미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14편을 선정하여 분류기준에 따라 연도별, 대상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창의성 교육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연구대상별 동향분석에서는 연구주제가 사람이 아닌 경우, 중등학생, 초등학생, 영재학생, 교사, 유치원생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주제별 동향분석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교육방법, 수학적 창의성의 일반연구, 수학적 창의성 측정과 평가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교과서 및 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이 양적연구방법에 비해 많았으며 혼합 연구방법은 저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현재까지의 수학적 창의성이 어떻게 연구되었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114 papers about mathematical creativity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7 to 2011 with regard to the years, objects, subjects, and methods of such research. The research of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2000. The frequent objects in the research were non-hum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gifted students, teachers (in-service and pre-service), and kindergarteners in order.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general study of mathematical creativity, or the measurement and the evalu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was active, whereas that of dealing with curricula and textbooks was rar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quantitative research one. The mixed research method was hardly us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shows how mathematical creativity was studied until now and gives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mathematical creativity.

      • Tubulin Polymerization에 대한 Colchicine의 영향

        최병훈,권기량,임규,황병두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0 충남의대잡지 Vol.17 No.2

        Although the inhibition of microtubule assembly by colchicine is well established, the paradoxical effect of colchicine in the centriole, cilia and basal body is not clear. The microtubule(MADBP^+) was prepared from rabbit brain through 2 cycles of glycerol-and GTP-mediated polymerization and the tubulin without DNA binding protein(MADBP^-) was prepared from MADBP^+ using double strand DNA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properties of these tubulin prepar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ADBP^+. The time course of tubulin polymerization was different, with MADBP^+ being sigmoidal and MADBP^- being hyperbolic. MADBP^+ polymerization could be inhibited by colchicine, whereas MADBP^- polymerization could no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colchicine binding activity between MADBP^+ and MADBP^- and the initial binding velocity of MADBP^- was faster than MADBP^-. From the above results, the possible existence of colchicine sensitive protein among microtubule associated DNA binding proteins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