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냉수성 어류 새미 (잉어목, 잉어과)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평가

        최광식 ( Kwang-seek Choi ),배양섭 ( Yang-seop Bae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1

        한국산 냉수성 어류 새미 Ladislabia taczanowskii Dybowski의 분포양상 및 서식지 특징,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해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 출현기록은 1997~2005년, 2006~2012년, 2013~2019년으로 구분하였고, 분포조사는 169개 지점을 조사하여 72개 지점에서 1,040개체가 채집되었다.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남한강 (27지점), 임진강 (17지점), 북한강 (16지점), 삼척오십천 (4지점), 연곡천 (3지점), 강릉남대천 (2지점), 전천 (1지점), 추천 (2지점)이었다. 새미의 주서식지는 고도가 300m 이상의 상류로 유폭은 2~30 m, 수심은 0.3~1.5 m이며 하상은 큰돌의 비율이 50~90%, 돌의 비율이 10~50%인 곳이었다. 새미의 위협요인으로는 보의 축조와 댐 건설, 교량공사, 골재 채취 등의 하천공사와 생활 하수유입, 유원지, 태풍으로 인한 홍수 및 복구공사 등이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멸종위협 등급은 2010~2019년 대비 서식지 감소율 (36.1%), 출현범위 (7,820 ㎢), 점유면적 (288 ㎢), 지소수 (19개), 서식지 질 하락 등을 근거로 취약 (Vulnerable, VU A2ac)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미의 보존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 distribution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2021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status, habitat characteristics, and threat of extinction of the Korean cold-water fish Ladislabia taczanowskii Dybowski (Cypriniformes, Cyprinidae). Historical distribution reports were divided into 1997~2005, 2006~2012, 2013~2019, and distribution surveyed 169 sampling sites, and 1,040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72 sites. Areas where the habitat was confirmed were Namhan River (27 stations), Han River (17 stations), Bukhan River (16 stations), Samcheok Osipcheon (4 stations), Yeongokcheon (3 stations), Gangneung Namdaecheon (2 stations), Jeoncheon (1 station), Chucheon (2 stations). The main habitat of L. taczanowskii was upstream of the river with a high altitude of more than 300 m, 2~30 m water flow width, 0.3~1.5 m water depth, and high ratio (50~90%) boulder bottoms. The main reasons for the decline in population size were assumed as river works, construction of reservoirs and bridges,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into the river, the inflow of summer vacationers, and weir. Compared to our results there exists evidence that states a 36.1% reduction in occupancy within 10 years, in a small appearance range (7,820 ㎢) and occupancy area (288 ㎢), number of disconnected locations (19 locations), and a decline in habitat quality. Therefore, L. taczanowskii is now considered as Vulnerable (VU) based on the results (VU A2ac, Near meets B1b (i, ii, iii)+B2b (i, ii, iii)) of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Lastly, the conservation plan of Ladislabia taczanowskii was discussed.

      • KCI등재

        임진강 지류 신천의 어류군집 특성 및 수질이 하천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최광식 ( Kwang-seek Choi ),한미숙 ( Mee-sook Han ),윤정도 ( Jeong-Do Yoon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3

        신천의 어류 군집 특성과 하천의 건강성을 밝히기 위해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3개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12과 30종 3,677개체였다. 우점종은 피라미(Zacco platypus, 28.4%), 아우점종은 대륙송사리(Oryzias sinensis, 13.6%), 그 다음으로 참갈겨니(Zacco koreanus, 11.8%),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11.7%), 붕어(Carassius auratus, 9.6%),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7.9%)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 종 중 한국고유종은 10종(33.3%)이었고, 외래종은 이스라엘잉어(Cyprinus carpio (Islaeli type), 떡붕어(Carassius cuvieri), 배스(Micropterus salmoides), 구피(Poecilia reticulata), 플래티(Xiphophorus maculatus) 5종(16.7%)이었으며, 육봉형 어류는 둑중개(Cottus koreanus)와 밀어(Rhinogobius brunneus) 2종(6.7%), 기후 변화 민감종은 둑중개 1종(3.3%)이 출현하였다. 어류 군집분석 결과, 신천본류와 수동천, 청담천은 우점도는 낮고 다양도는 높았으며, 동두천과 상패천은 우점도는 높고 다양도는 낮았다. 하천건강성은 최상류와 지류인 수동천이 매우 좋음, 좋음이었으나 상류부는 보통, 중·하류부는 나쁨, 매우 나쁨으로 나타났다. 수질도 중류부터 하류까지 대부분 나쁨 또는 매우 나쁨이었고 지류 수동천만 매우 좋음이었다. 따라서 수질이 어류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결국 하천건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도별 신천의 수질은 점점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외래종의 도입은 매우 부정적인 요인이었다. 신천의 하천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질개선과 더불어 외래어종의 관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and river health in the Sincheon stream of Imgin River between April and October 2019. The survey collected 3,677 objects in 30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from 23 survey station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28.4%) and Oryzias sinensis (13.6%), respectively, followed by Z. koreanus (11.8%), Rhynchocypris oxycephalus (11.7%), Carassius auratus (9.6%), and Pseudorasbora parva (7.9%) in that order. Among the fish species collected, 10 (33.3%) were endemic species in Korea. The exotic species were 5 (16.7%), including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Cyprinus carpio (Israeli type), Poecilia reticulata, and Xiphophorus maculatus. The land-locked species included Cottus koreanus and Rhinogobius brunneus, while C. koreanus was a climate change-sensitive species. The dominance of the fish community was low, and the diversity was high in the Sincheon mainstream, Sudongcheon and Cheongdamcheon, whereas Dongducheon and Sangpaecheon showed higher dominance and low diversity. The river health was very good and good in the uppermost and Sudongcheon areas, whereas the upper stream was normal, and the middle and lower streams were poor and very poor, respectively. The water quality was also mostly poor or very poor from the midstream to the downstream, and only Sudongcheon was very good. Therefore, the water quality had a great impact on fish habitat and eventually affected river health significantly. Although the water quality of Shincheon has improved each year, the introduction of several foreign species had a very negative effect. Improvement of river health in Shincheon requires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exotic fish species.

      • KCI등재

        멸종위기어류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Pisces: Cyprinidae)의 분포양상과 멸종위협 평가

        최광식 ( Kwang-seek Choi ),김덕기 ( Deokki Kim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3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의 분포양상과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해 강원도 고성군에서 2020년 6월에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포조사는 모두 12개 지점을 조사하여 6개 지점에서 268개체를 채집하였는데, 하천별로는 송현천 (3개 지점), 고진동 (2개), 오소동 (1개) 순으로 지점수가 많았다. 버들가지 서식지는 하천 최상류 또는 상류 (하천형 Aa type)의 유폭 3~15 m, 수심은 0.3~1.3 m로 하상은 큰돌과 작은돌의 비율이 높은 곳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 (6월)로 연령을 추정한 결과, 전장 6~27mm는 당년생, 38~59mm는 만 1년생, 60~75 mm 만 2년생, 78~93 mm는 만 3년생, 96~125 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고, 생식소가 성숙되는 연령은 만 2년생 이상이었다. 버들가지의 멸종위협 등급을 IUCN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면, 개체군 크기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성숙개체수는 1,000개체 이하로 추정되고, 적은 출현범위 (39.668 ㎢)와 점유면적 (16 ㎢), 지소수 (3지소)를 보여 멸종위협 범주인 취약 (VU D2)으로 평가되었다. Distribution aspect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Rhynchocypris semotilus were investigated in Goseong-gun, Gangwon-do, Korea, June 2020. Among the 12 sampling sites investigated during the study period, samples of R. semotilus were collected 268 individuals at 6 sites. The streams inhabited of R. semotilus were Songhyeoncheon (3 stations), Gojindong (2 stations) and Osodong (1 station). The main habitats of R. semotilus were uppermost and upper stream (Aa type) with 3~15 m water flow width, 0.3~1.3 m depth and high ratio boulder and cobble bottoms. The estimated age of the R. semotilus (June) based on their total length distribution indicated that 0-, 1-, 2-, 3- and more than 4-year-old were 6~27 mm, 38~59 mm, 60~75 mm, 78~93 mm and 96~125 mm, respectively, and their has matured reproductive organs over two years old. R. semotilus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threat of extinction showed no tendency to decrease in population size, but estimated to be less than 1,000 mature individuals, with a small range of extend of occurrence (39.668 ㎢), area of occupancy (16 ㎢), and number of disconnected locations (3 locations). Therefore, R. semotilus is now considered vulnerable (VU D2)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 KCI등재

        멸종위기어류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Pisces: Salmonidae)의 분포현황과 서식지 특징, 멸종위협 평가

        고명훈 ( Myeong-hun Ko ),최광식 ( Kwang-seek Choi ),한미숙 ( Mee-sook Han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2

        우리나라의 멸종위기어류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의 분포양상 및 서식지 특징,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분포조사를 2015년과 2019년에 실시하였다. 출현기록은 1990년 이전, 1997~2006년, 2000~2011년, 2010~2019년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분포조사는 모두 150개 지점을 조사하여 67개 지점에서 542개체를 확인하였는데, 내린천 (11개 지점), 오대천 (11개), 북천 (10개), 방태천 (8개), 송정리천 (4개), 수입천 (3개), 인북천 (3개), 현동천 (3개) 등의 순으로 지점수와 개체수가 많았다. 열목어의 주 서식지는 고도가 400m 이상으로 높은 하천 상류로 유폭 4~20 m, 수심 1~2m이며 큰돌의 비율이 70~80%로 높은 곳이었다. 감소 및 위협요인은 하천정비공사, 저수지 및 교량 건설, 오염수 배출, 여름철 피서객 유입, 보 등이었다. 멸종위협 등급을 IUCN 평가기준 (A, B)에 따라 평가했을 때, 2000~2011년 대비 서식지 감소율 (20.7%), 출현범위 (7,732 km<sup>2</sup>), 점유면적 (268 km<sup>2</sup>), 단절된 지소수 (15개), 서식지 질 하락 등을 근거로 근접한 취약 (Near meets VU A2acd, B1b (i,ii,iii)+B2b (i,ii,iii))으로 나타나 최종 “준위협종(Near Threatened, NT)”으로 평가되었다. Distribution status, habitat characteristic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were investigated in 2015 and 2019. Historical distribution reports of B. l. tsinlingensis were divided into before 1990, 1997~2006, 2000~2011, and 2010~2019. Among the 150 sampling sites investigated during the study period, number of individuals of B. l. tsinlingensis were collected 542 individuals from 67 sites. The streams inhabited of B. l. tsinlingensis were Naerincheon (11 stations), Odaecheon (11 stations), Bukcheon (10 stations), Bangtaecheon (8 stations), Songjeongricheon (4 stations), Suipcheon (3 stations), Inbukcheon (3 stations), Hyeondongcheon (3 stations) etc. The main habitat of B. l. tsinlingensis was upstream of the river with a high altitude of more than 400 m, 4~20 m water flow width, 1~2 m water depth, and high ratio (70~80%) boulder bottoms. The main reasons for the decline in population size were assumed as river works, construction of reservoirs and bridges,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into the river, the inflow of summer vacationers, and weir. Compared to our results there exists evidence that states a 20.7% reduction in occupancy within 10 years, in a small appearance range (7,732㎢) and occupancy area (268㎢), number of disconnected locations (15 locations), and a decline in habitat quality. Therefore, B. l. tsinlingensis is now considered as Near Threatened (NT) based on the results (Near meets VU A2acd, B1b(i,ii,iii)+B2b(i,ii,iii)) of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 KCI등재후보

        계룡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 평가

        고명훈(Myeong-Hun Ko),최광식(Kwang-Seek Choi),한미숙(Mee-Sook Han),박승철(Seung-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and river health in the Gyeryeongsan National Park, Korea from May to September 2021. The survey collected 26 species belonging to nine families from 22 survey station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26.4%)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26.1%), respectively. The next most abundant species were Zacco koreanus(21.1%), Squalidus gracilis majimae(11.0%), Pungtungia herzi(3.4%), Iksookimia koreensis(2.6%) and Rhinogobius brunneus (2.5%). Among the fish species collected, 12(46.2%) were Korea endemic species, including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koreensis,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Zacco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Pseudobagrus koreanus,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Coreoperca herzi,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Odontobutis interrupta. Additionally, one exotic species(ecosystem-disturbing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and one landlocked species (Rhinogobius brunneu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community indices, the dominance(0.67~1.00), diversity(0.136~1.658), evenness(0.123~1.988), and richness(0.201~2.031) differed significantly by stations. Also, river health(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was assessed as very good(seven stations) and good(15 stations). Gyeryeongsan National Park had a relatively well-preserved river ecosystem, but several disturbance factors(weir was installed at nine stations, river work was underway at five stations, and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M. salmoides were introduced into the Yongdong Reservoir area. The stable populations of fish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require a river ecosystem protection plan and a systematic management plan for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M. salmoides. 계룡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을 밝히기 위해 2021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2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 채집된 어류는 9과 26종 5,120개체였다. 우점종은 피라미(26.4%), 아우점종 버들치(26.1%)였으며, 그 다음으로 참갈겨니(21.1%), 긴몰개(11.0%), 돌고기(3.4%), 참종개(2.6%), 밀어(2.5%) 등의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긴몰개, 돌마자, 참갈겨니, 참종개, 눈동자개, 미유기, 자가사리, 꺽지, 동사리, 얼록동사리 12종(46.2%)이었고, 외래종은 생태계교란생물인 배스 1종, 육봉형 어류는 밀어 1종이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0.67~1.00), 다양도(0.136~1.658), 균등도(0.123~0.988), 풍부도(0.201~2.031)는 지점별로 차이가 컸으며, 하천건강성은 매우 좋음(7지점), 좋음(15지점)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계룡산국립공원은 비교적 하천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었으나, 교란요인으로 9개 지점에 보가 설치되어 있고 5개 지점은 하천공사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용동지 일대에는 생태계교란종 배스가 유입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계룡산국립공원의 안정적인 어류 서식을 위해서는 하천생태계 보호 대책 및 생태계교란종 배스의 체계적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국립공원 3개 저수지에 서식하는 생태계교란 어종의 서식양상과 먹이생물,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박승철 ( Seung-chul Park ),이광열 ( Kwang Yeol Lee ),최광식 ( Kwang-seek Choi ),한미숙 ( Mee-sook Han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2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생태계교란 어종 배스와 블루길의 도입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 금계지, 삼가지, 내장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금계지에서는 7과 11종 1,221개체가 채집되었고, 배스는 우점종 (96.3%), 블루길은 소수 (0.3%) 서식하고 있었고, 배스는 주로 밀어 (IRI, 37.2%)와 잠자리목(25.6%), 뱀잠자리목 (11.6%), 배스 (7.0%) 등을 섭식하였다. 삼가지에서는 5과 10종 854개체가 채집되었고, 배스는 우점종(60.8%)으로 주로 새우류 (33.6%)와 잠자리목 (34.4%), 밀어(21.2%), 피라미 (6.1%) 등을 섭식하였다. 내장지에서는 7과 13종 1,075개체가 채집되었고, 블루길은 우점종 (38.1%), 배스는 우세종 (9.5%)으로 나타났으며, 블루길은 주로 물벼룩류 (IRI, 77.5%)와 파리목 (9.8%), 새우류 (4.0%) 등을 섭식하였고 배스는 주로 밀어 (73.3%)와 새우류 (21.2%) 등을 섭식하였다. 금계지와 삼가지의 배스는 10여 년 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도입 이후 대부분의 어류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내장지의 블루길은 20여 년 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도입 이후 상대풍부도가 점점 증가하여 40%대에 도달하였고, 배스는 5~6년 전에 도입되었고 도입 이후 자생 어류의 종수와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립공원 내 배스와 블루길의 서식현황 및 관리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invasive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and Lepomis macrochirus in Geumgyeji, Samgaji and Naejangji reservoirs of National Parks, Korea in 2020. In the Geumgyeji, 1,221 individuals of 11 species in 7 families were collected including M. salmoides (relative abundance, 96.3%) and L. macrochirus (0.3%), M. salmoides fed mainly on Rhinogobius brunneus (IRI, 37.2%), Odonata (25.6%), Megaloptera (11.6%), and M. salmoides (7.0%). In the results of Samgaji showed that 854 individuals of 10 species in 5 families were collected including M. salmoides (60.8%), and M. salmoides fed mainly on Decapoda (shrimp, 33.6%), Odonata (34.4%), R. brunneus (21.2%), and Zacco platypus (6.1%). In the Naejangji showed that 1,075 individuals of 13 species belonging to 7 families were collected including L. macrochirus (38.1%) and M. salmoides (9.5%), and L. macrochirus fed mainly on Branchiopoda (77.5%), Diptera (9.8%), Decapoda (4.0%) and M. salmoides fed mainly on R. brunneus (73.3%), Decapoda (21.2%). M. salmoides of Geumgyeji and Samgaji were apparently introduced more than a 10 years ago. The fish population declined rapidly since the introduction of M. salmoides. L. macrochirus of Naejangji was introduced more than 20 years ago, which increased its relative abundance to 40%. M. salmoides was introduced five to six years ago, and the fish species and population declined rapidly since the introduction of M. salmoides. Finally, we discussed the inhabitat status and management of M. salmoides and L. macrochirus in the National Park.

      • KCI등재후보

        소백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평가

        박승철(Seung-chul Park),한미숙(Mee-Sook Han),최광식(Kwang-Seek Choi),최우정(U-Jeong Choi),고명훈(Myeong-Hun Ko)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소백산 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건강성을 밝히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8과 16종 2,507개체였다. 우점종은 참갈겨니(46.2%), 아우점종은 버들치(39.5%), 그 다음으로 금강모치(9.9%), 자가사리(0.7%), 둑중개(0.6%), 꺽지(0.6%), 미유기(0.6%), 퉁가리(0.4%)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한국고유종은 쉬리, 금강모치, 참갈겨니, 참종개, 새코미꾸리, 미유기, 퉁가리, 자가사리, 둑중개, 꺽지, 동사리 11종(68.8%)이었고, 기후변화민감종으로 금강모치와 둑중개 2종, 국내이입종으로 산천어(송어) 1종이 채집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0.77~0.93)와 풍부도(1.52~1.80)는 비교적 높았고 다양도(1.03~1.18)와 균등도(0.40~0.46)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하천건강성평가는 매우 좋음(1~2지점), 좋음(3~5지점), 보통(2~3지점)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끝으로 소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어류의 보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and river health in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8 to 2020. The survey collected 30 species belonging to 8 families from 16 survey station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Zacco koreanus (46.2%)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39.5%), respectively. The next most abundant species were R. kumgangensis (9.9%), Liobagrus mediadiposalis (0.7%), Cottus koreanus (0.6%), Coreoperca herzi (0.6%), Silurus microdorsalis (0.6%) and L. andersoni (0.4%). Among the fish species collected, 11 (68.8%) species were Korea endomics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R. kumgangensis, Z.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L. andersoni, L. mediadiposalis, Cottus koreanus,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Climate change sensitive species included R. kumgangensis and Cottus koreanus, while Oncorhynchus masou masou was introduced in Korea species. The dominance (0.77~0.93) and richness (1.52~1.80) of fish community was relatively high and the diversity (1.03~1.18) and evenness (0.40~0.46) were relatively low. Also, river health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s assessed as very good (1~2 stations), good (3~5 staions) and fair (2~3 staions). Finally, a conservation plan for fish in Sobaeksan National Park was discussed.

      • 아리스톨로크산 함유 생약제에 대한 안전성평가연구 : 생식·발생독성시험연구 Studies on the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손경희,이규식,김순선,김소희,곽승준,채수영,박철훈,김병호,최요우,이종필,제금련,강진석,장동덕,길광섭,최광식,박귀례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아리스톨로크산(ArA)은 Jlristolochia 속 식물에 많이 항유되어있는 성분으로 이 성분이 들어있는 약을 장기복용한 사람들에게서 신장암 등 비뇨기계 암의 발병를이 놀은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군에서는 아리스톨로크산 함유 생약제인 마두령의 안전성에 대한 촤학쩍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마두령 단방과 마두령 복방에 대한 생식 ·살생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마두령 단방 건조추출물(0.j, 2, 8mg/kg; ArA 릉도) 및 복방 건조춘출물(0.05, 0.Smg/ifg; ArA 농도)을 젓드에 임신 전 14일부터 기간 항성기인 임신17일까지 경구 투여한 후 잉신 ?0일에 제왕절개하여 모체와 태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아리스톨로크산(2, 8, 16mg/k끄 투여 실험과 비교하였다. 마두령 단방 8mg트 투여군의 체중증가량과 사접춰량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아리스톨로르산은 8m을J'k핑 및 15m료토 투여시 임신 전 ·후의 체중증가량 및 사료섭취량이 모두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옅다. 또한. 마두령 단방의 경우 8mgg으 투여시 잉신이 저해되는 것_근로 나타났으나. 아리스톨로크산은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민 16mgAg 투여군에서 태자 체중이 유의성있게 강소하였다. 마두령 단방 8m9,/kg 투여군곽 아리스톨크산 8mg/kg 및 16mgg 투여군에서 간장의 절대무게 강소, 진장의 장대무게 증가, 비장의 절대무게감소 등이 간찰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검사에서는 마두령 단방 8m9./k9 투여관과 아리스톨로크 16mgg 투여군에서 신장의 손상이 나타났다. 전배자 배양 실험에서는, 마두령 단방은 Ir끄ml 이상에서 태자발달이 현저히 저해되었고, 마두령 복방의 겅우 0.Ofrg/ml 이상에서, 아리스톨로크산끈 경우 300r9/r리 이상의 농도에서 배자발달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4i 본 연구결과로 띠루어 마두령은 임상용량인 0.03mg (.f.rA)/kg/da)-에서는 생식 · 발생득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Rapidly progressive interstitial renal fibrosis has recently been reported in young women who have been on a slimming regimen including chinese herbs. Aristolochic acid, suspected as the causal factor of this renal disease, is a well known carcinogen. It has been known that Madouling (Aristolochiae fructus) contains aristolochic aci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douling, Madouling-tang, and aristolochic acid o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Female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the extracts of Madouling (0.5, 2, 8mg/kg;ArA dose). madouling-tang (0.05, 0.5mg/kg), and aristolochic acid(2, 8, 16mg/kg) from 14 days before mating to day 17 of gestation. Madouling(8mg/kg) decreased fertility in the 8mg/kg group, but Madouling-tang and aristolochic acids did not. Significant decrease of mean fetal body weights were observed in the 16mg/kg group of aristolochic acids. External, visceral and skeletal malformation of fetuses were not observed with treatment. There were decrease in the absolute liver weights and the absolute spleen weight and increase in the relative kidney weights in the 8mg/kg group of Madouling and 8 and 16mg/kg groups of Aristolochic aci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discrete damage of kidney in the 8mg/kg group of Madouling and 16mg/kg groups of Aristolochic acid. In whole embryo culture, Madouling and Madouling-tang caused the retard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embryo in the dose of 1㎍/ml and 0.02㎍/kg, respectively while Aristolochic acids showed the similar effect in the dose of 300㎍/k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douling, up to 0.05mg/kg (prescription dose to human) has no adverse effects on the fertility,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Sprague-Dawley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