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입한약재 품목 분석을 통한 품질 제고

        최고야 ( Go Ya Choi ),고병섭 ( Byoung Seob Ko ),장설 ( Seol Jang ),채성욱 ( Sung Uk Chae ),이혜원 ( Hye Won Lee ),이미영 ( Mi Young Lee ) 대한본초학회 2009 大韓本草學會誌 Vol.24 No.4

        Objectives: Quality control for imported medicinal herbs is duty for regulation,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s been no report regarding quality control of imported on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ta of imported ones for monitoring quality issue. Methods: These data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item, the amount of import, country, inspection item, suitability, and incongruity reason based on the 248 results performed by KIOM. Results: China is the number one country for import with the value of 73%. Inspected medicinal herbs were 139 species, among them Poria is ranked as top for requested number and the amount of import. The amount of import is similar between high ranking 20 species and low ranking 119 ones, showing high ranking ones are major. The incongruity ratio was 7.7% from the total number of inspected items, the reason for incongruity was excess of tolerable amount of Cd residue. Conclusions: From the data, it is effective way to focus on high ranking herbs for evaluating imported herbs for quality control. The study of mechanism on Cd accumulation and its decrease is essential for environmental matter. And identification and storage for mixed used and easily decomposable herbs are remained for further study. Our study might be small step for showing guideline for proper quality control.

      • 石菖蒲의 內外部形態 硏究

        최고야(Choi Goya),김홍준(Kim Hongjun),주영승(Ju Youngsung) 한국한의학연구원 2006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differential standard of the types of Acori Graminei Rhizoma. We established the classificatory standard accord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for the several types of Acori Graminei Rhizoma. 1. External shape: Acorus gramineus has smaller size and fibroidal section. A. calamus has bigger size and cancellate section. A. tatarinowii has middle size and fibroidal section. Anemone altaica has very small long-spindle shape and flat section that has 6-12 row of vascular bundle. 2. Internal shape: Acorus gramineus has some bundle sheath fiber, but A. calamus has not. A. tatarinowii has many calcium oxalate crystalloid around bundle sheath. Anemone altaica has obscure cambium. All sample except A. altaica, in the mass, has scattered bundle, thin cell wall, broad cortex and well-developed endodermis. For the future, such results will be used as the basic source of additional research, and a far-reaching comparative study is needed to distinguish between many kinds of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KCI등재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울산박물관 초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고운(Kowoon Choi),이정은(Jeongeun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대중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이 기획·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은 그 내용과 수준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처럼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에서 박물관 교육 참여자들이 얻어가는 의미있는 경험을 보다 면밀히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본고에서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박물관에서 어떠한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울산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울산의 산업, 호기심을 열다’ 에 참여한 학생 중 3주 과정을 모두 수료한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여섯 가지의 의미 만들기 범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학습과 관련된 의미로 지식의 이해, 지식의 확장, 지식의 활용, 지식의 관심, 지식의 응용을 통해서 의미 만들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가족에 대한 감정 생성, 가족과 학습 경험 공유 희망, 가족과 학습 내용 연관 짓기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의미 만들기를 찾아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꿈과 관련된 의미로 진로의 구체적인 방향 설정, 진로와 관련된 학문에 도움, 진로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 등이 나타났다. 네 번째는 가치관과 관련된 의미로 가치관의 습득, 학습 태도의 변화, 향후 학습에 대한 의지, 학습태도에 대한 성찰, 생활 태도의 변화, 관점의 변화 등이 확인되었다. 다섯 번째는 단체활동과 관련된 의미로 사회적 기술 향상(의사소통, 토의), 최고의 성과물 획득 경험, 역할분담, 단체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감정, 단체활동의 중요성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여섯 번째는 박물관과 관련된 의미로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의미 만들기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확보된 연구 자료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각 의미 범주의 세밀한 형성과정을 밝혀낸다면 박물관교육 참여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의미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quality and user-friendly education contents that are mainly perform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mes. In order to study how the attendees of museum sessions build their own meaning, this paper interviewed th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museum education programmes. The museum session “Ulsan Industrialization, Open the Gate of Curiosity” in Ulsan Museum has been conducted for 3 week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attendants, 15 interviewees, attending for all three week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they were interviewed for 1 hour, right after the session. As results, total six different meanings have been found. The first meaning was about knowledge making. The students can extend, develop, apply their newly gained knowledge during the session. Secondly, the students tended to have intense feeling of connection to their family members while they learned about information relevant to their family. Third, it was about dream making. After the session, several of them came to have new dreams, seemingly influenced by the museum programmes. To a certain extent, their future had been influenced by this museum experiences. Fourth, attendees seemed to develop different attitudes and values in their everyday life. They tended to show strong willingness for their school life or learning attitudes at the museum sessions. Fifthly, group works facilitated and taketheir skills to another levels higher,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discussion attitudes, sharing responsibility. Those skills are all related to the group session of the museum programmes. Finally, their perception on museum has been changed to see it as a positive institution for learning. Based on this primi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o build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museum session and this is expected give useful insights for development and quality of museum programmes in the future.

      • 행동기반 효율향상 프로그램의 에너지 절감효과 측정 -가정에너지보고서 사례를 바탕으로-

        최고야(Goya Choi),김지희,채재용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6

        가정에너지보고서는 대표적인 유틸리티의 행동기반 효율향상 사업이다. 가정에너지보고서로 인한 에너지 절감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미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통계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유틸리티가 가정에너지보고서의 성과검증(M&V)에서 주로 사용하는 통계 방법론을 소개한다. 먼저 시차종속변수 회귀모형과 선형 고정효과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참여 고객과 미참여 고객의 에너지 사용량 차이를 계산하여 절감량을 산정한다. 이후에 다른 효율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과거에 참여했던 고객의 경우 타 효율향상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절감량을 제외하여 전체 절감량을 조정하여 최종 절감량을 결정한다. 향후에는 날씨 정규화, 시간에 따른 가정에너지보고서의 효과 지속성을 반영하여 절감 성과검증의 정확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SCOPUSKCI등재
      • 기후와 지형 조건을 반영한 신갈나무의 반경 생장 반응 예측

        최고미 ( Ko Mi Choi ),김문일 ( Moon Il Kim ),이우균 ( Woo Kyun Lee ),정동준 ( Dong Jun Chung ),윤병현 ( Byung Hyun Yun ),김찬회 ( Chan Hoe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참나무류 수종인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기후와 지형 조건에 따른 반경 생장 반응 및 잠재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후와 지형 인자에 따른 반경 생장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의 임목조사 및 연륜 정보, 지형습윤지수, 기온,강수량 자료를 반영한 생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잠재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RCP8.5 시나리오를 활용하였다. 생장 반응을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과 강수량 증가는 신갈나무의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장 반응 모형에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신갈나무의 분포는 현재보다 넓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신갈나무의 생장 변화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adial growth response and to predict the potential spatial distribution of Quercus mongolica in South Korea, considering climate and topographic factor. To estimate the radial growth respons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TWI (Topographic Wetness Index) and climatic data (Temperature, precipitation) were used. Also, to predict the potential spatial distribution of Quercus mongolica, RCP 8.5 Scenario was applied. Our analysis has found that the rising temperature had positive impacts on radial growth of Quercus mongolica.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Quercus mongolica is expected to have greater abundance than its present status in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climate factors on tree growth and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major tree species by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가다머의 해석학과 정신분석

        최고원(Choi Go-wo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이 글의 목적은 ‘가다머의 해석학과 정신분석 사이에 어떤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가다머는 그의 해석학에서 인간을 이해하는 존재, 즉 ‘이해함’으로 규정했으며, 그에 대한 논의의 과정에서 이해함이 언어 그 자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해함으로서 언어는 그에게서 예외 없이 일반언어, 즉 일상언어인데, 그것은 곧 이해함이 보편적으로 일상언어의 차원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는, 하버마스의 지적과 같이, 일상언어가 왜독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곳에서 언제나 매우 심각한 곤란에 봉착하게 된다. 왜냐하면 가다머의 해석학에는 그러한 왜곡을 예방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어떠한 계기도 담겨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왜곡 극복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하버마스가 제시했던 정신분석 역시 해석학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없는데, 그것은 분석가의 작업이 무엇보다 그 자신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가는 환자로부터 증세에 관련된 진술을 듣고 그것을 해석하며, - 그 해석에 환자가 동의할 경우 - 그의 증세는 극복되게 된다. 이것이 정신분석의 기본적인 골격이라고 한다면, 증세에 대한 분석가의 작업은 명백하게 해석학의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하버마스의 주장도 마찬가지로 가다머의 견해에 대해서 일정한 한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가다머-하버마스 논쟁에 관한 한, 어느 한편의 견해를 일방적으로 따라가기보다는 각각의 견해에 담긴 장점들이 상대방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