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생의 쓰기 목적 읽기에 관한 연구

        최건아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21 淸大學術論集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traits of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for writing taskx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for writing and writing efficacy. As a result of analysis, 273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preferred reading online texts not related to writing tasks intimately even when they read materials to compose texts for school assignments. And they preferred information text reading when they do not regard writing tasks.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reading for writing and writing efficacy. From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 that educators should teach students to read texts more effectively when they need to compose texts for assignments. And researchers and educators need to promote students to be good readers and good writers both.

      • KCI등재

        上代神名의 借音表記

        崔建植(최건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9

        This study discusses various aspects of 164 Chinese characters used in Ancient literature for transcribing Japanese Gods" names by means of pronunciations. Previous studies tend to exclude proper names such as Gods" nam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different from common nouns.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the way of transcribing Japanese Gods" names in homophonic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that of other nouns found in Ancient Japanese literature. The reason for the same way of transcribing common and proper nouns is that the same principle was applied to all the transcriptions in the ancient literature such as Ki and Shoki in the early eighth century. This study analyses the ratio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commonly found in both Gods" names and people"s names. The most popular pattern is Ryakuon-gana, which is followed by Rengō-gana and Nigō-gana: Ryakuon-gana, a new pattern of transcription, began to be dramatically and widely used, compared to Rengō-gana and Nigō-gana, old patterns of transcription. The ratio is higher in Ki than in Shoki since using Chinese characters for meaning as well as for pronunciation is common in Ki, where there are noteworthily the same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for both their meaning and pronunci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 목적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최건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learning life and investigate the way to support them by analyzing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for learning in CDA(Critical Discourse Analysis) perspective. Participants were college instructors 3 and college students 7 of various majority, grade and gender.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participants’ classroom and group study scenes and interviewed participants to identify the trait of their interaction in CDA perspective.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rait that participants showed. First, the amount of speech and meaningful learning performance were able to b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Second, participants communicated for making relationship and got some kind of power in discourse. Third, as conditions in situations moved, power also moved or changed among participants.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even close learners or instructors can choose not to communicate actively and can experience inappropriate learning purpose communication.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ers, instructors and policy makers should support college students regarding not only students’ cognitive ability also their human relationships and the context of classrooms.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학습 장면에서 대학생이 어떻게 의사소통하는지 비판적 담화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학업생활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다양한 전공의 대학 교수자 3인, 학년과 성별이 다른 학습자 7명이다. 연구에서는 이들의 전공 수업 장면, 교수자 없이 진행되는 스터디 장면 등을 녹화하고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여 담화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비판적 담화분석의 관점에서 탐색해보았다. 연구 결과, 수업 중 발화량과 학습 목표 달성 간 관계가 반비례할 수 있다는 점, 학습 목적의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친교 형성의 목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주도권을 형성한다는 점, 상황의 조건이 달라짐에 따라 특정인에게 부여되었던 담화 주도의 힘도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친숙한 사이라고 해서 반드시 학습 공간에서 활발하게 의사소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친숙한 사이여서 오히려 학습 목적으로는 의사소통이 잘 안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등 여러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인지적 수준뿐 아니라 인간관계, 수업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대학생들을 지원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글 없는 그림책 읽기 및 의미 구성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상호 교섭 양상 연구-초등학교 1학년 소그룹 사례를 중심으로-

        최건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5 No.-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을 함께 읽고 그림으로 구성된 이야기를 글로 구성해쓰는 과정에서 초등학생 학습자들이 서로 어떻게 교섭하는지 살피는 것을 목표로하였다. 이에 따라 책을 읽고 의미를 구성하며 참여자들이 대화한 내용, 참여자들이 쓴 글, 개별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대화를 통해이야기의 내용을 다각도로 이해하고 선행지식을 공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참여자들은 이야기를 어떻게 쓸 것인지에 관한 지식도 공유하였다. 셋째, 지식을공유하며 협력하는 한편, 이야기를 쓸 때 필자로서 주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모습도 보였다. 글 없는 그림책은 유아뿐 아니라 초등학생에게도 유용한 교육 도구이며, 읽기,쓰기, 말하기를 종합하는 문식 활동에 두루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소그룹으로학생들이 교섭할 때 글 없는 그림책을 더욱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태도교육 측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글 없는 그림책을 비롯해다양한 양식으로 표현된 텍스트를 소그룹 읽기 및 쓰기 교육에 어떻게 활용할수 있을지 논의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tudentsinteract with each other in reading wordless picture books together and writingstories. Study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understood stories from variousangles and shared prior knowledge in converse with each other. And participantsshared procedural knowledge about writing.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tried to keep their subjectivities as writers. Wordless picture books can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throughly andcan be used widely for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Especially when studentsinteract in small groups, these books can be more helpful even in attitudeteaching. Follow-up studies would be able to discuss how various multimodaltexts can be used for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과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최건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3

        This paper studies the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persistence. The elements of learning persiste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Five categories of a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supportive service satisfaction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academic conscientiousnes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29 questions that tap into these categories were developed, and 100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se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nd between students’ comprehension and students’ interest. In addition, students’ writing competition was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too. These results mean students’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related to their emotion and other social elem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consider students’ performance, awareness, universities’ human resource and infrastructure in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fit to students’ environment and authentic compensation system are also important.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과 의사소통 능력 간 관계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대학에서의 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는 학습지속의향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고,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의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였다. 학문적 통합성, 사회적 통합성, 지원 체계에 대한 만족도, 재학 기관에 대한 충실도, 학업 성실도에 해당하는 총 29개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 학문적 통합성과 사회적 통합성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도출되었으며 또한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학생의 흥미도 간 상관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의 언어적 의사소통 수행에서 인지와 정서, 기타 사회적 요인 간 관계도 엿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여러 차원 중 작문 능력에 주목하여 보았는데, 참여자들의 학습지속의향 점수와 작문 능력 간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도 도출되었다. 이는 의사소통 능력이 학습지속의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학습지속의향을 증진시키는 것과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연관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연구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제언한다. 첫째, 학습지속의향을 발달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대학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한편, 작문 능력 등 의사소통 능력의 계발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언어적 의사소통을 교육할 때 학습자의 수행과 인식, 대학의 인적, 물적 환경 제공의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셋째, 대학 의사소통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환경에 맞는 의사소통 방법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의사소통을 포함한 대학 교양교육에서는 학습자의 동기를 북돋을 수 있는 실제적인 보상체계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대학의 전공 수업 의사소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예술 계열 전공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건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structors and learners’ awareness of communication in major classrooms and to deduct educational implications. To do thi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instructors and learners’ interview and recording of authentic scenes of participants’ classrooms. As a result, participants revealed their awareness of proper and improper types of classroom communication as ‘presentation’, ‘small-group face-to-face facilitation’, ‘discussion’ and ‘directed instruction’ and the bases of participants’ awareness were distinguished. In the second place, participants thought various elements like ‘classroom environment and size’, ‘instructors’ perspectives on learners’ attitude’, ‘difficulties in classroom resource managing’ and ‘relationship’ affect on classroom communication. These results mean that universities should regard not only learners’ cognitive level also relationship and physical environments to promote classroom communication. 본 연구는 대학의 전공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에 대하여 교수자와학습자가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예술 계열의 전공 수업을 중심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바람직한 수업 의사소통의 모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의사소통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무엇을 인식하는지 인터뷰 하고, 이들 참여자들의실제 수업 장면을 녹화하여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발표, 소그룹 대면 지도, 토론을 바람직한 의사소통양상으로 꼽고, 설명 위주 강의를 지양해야 할 의사소통 방법으로 들었다. 이때 교수자와 학습자가 동일한 유형을 선택하더라도 왜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근거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은 수업 공간 및 수업규모, 학습자의 참여 태도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전공 특성에 따른 자원 관리의 어려움, 참여자 간의 관계가 전공 수업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전공 수업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전개되도록 하기위하여 학습자의 인지적 차원뿐 아니라 인간관계, 물리적 환경 조성 등 다양한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아동 사고에 있어서 중심개념구조의 본질과 그 발달

        최건수(崔健壽) 한국교육학회 1998 敎育學硏究 Vol.36 No.2

        신 Piaget 이론가인 Case에 의하면, 연령에 따른 생득적인 정보처리용량 이외에도 문화적 경험에 따르는 특정 개념의 이해가 아동의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수세기선 (counting line) 이라는 개념적 표상체제는 아동의 양적 사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심 개념구조 (central conceptual structures) 라고 간주된다. 지금까지 양적 사고를 포함하여 사회적 인지, 공간적 인지 등 세 영역에서 중심개념구조의 존재가 경험적으로 입증되었고, 최근에는 청소년의 사고에서 중심개념구조의 존재와 그 발달이 연구되고 있으며, 또한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 문화간 연구를 통해서도 중심개념구조의 가정이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 아동들을 대상으로 중심개념구조의 발달현상을 검증하기 위해 양적 사고 및 사회적 사고에서 중심개념구조에 관한 여러 가정과 연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에 관한  성인 학습자의 인식 연구

        최건아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provide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However, these programs have a shortage of analysis of adult learners’ needs and awar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establishing proper writing curricula by analyzing various adult learners’ needs for writing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exts that adult learners, as graduate school students, composed, to identify the type of writing curriculum they seek.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specific needs about the purposes and implementation of writing education.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riting is important in their personal and career lives and, at the same time, felt an unwillingness to write. They also said there are problems in writing education because of its discontinuity and administrators’ opinions on writing programs. Participants’ desire for writing education was related to authenticity, accessibility, connecting other areas with writing, and career needs. These imply that an investigation of the contexts of adults’ writing will be important in the future.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들은 공교육과정의 주된 범위가 아닌 까닭에 대체로 평생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제공된다. 그런데 성인 학습자 들이 어떤 작문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작문교육을 둘러싸고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식에 따라 다양한 직업과 연령의 성인 학습자들이 작문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 과 요구를 갖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추후 바람직한 작문 교육과정 수립에 이 바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들에게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바람직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도록 하고, 프로그램 제안 서에 작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이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작문 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 차 원의 인식을 드러내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작문 교육 실행의 방해 요인, 바람직 한 작문 교육의 요건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참여자들은 작문이 일상과 대 인관계, 직업생활 전반에 걸쳐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대체로 작문이 어렵고 꺼 려지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작문 교육이 생애에서 불연속적으로 이루 어진다는 점, 관리자의 의지에 따라 교육 실행이 영향을 받는 점을 교육 실행의 어려움으로 들고, 실제적 교육, 성인 학습자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교육, 작문 외의 영역과 연계한 교육, 직업적 필요를 충족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보았다. 연구를 통해 성인들이 처한 작문 맥락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에게 적절한 작문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최건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middle school students interact in discussion in their classes. To identify the traits of interaction critically, researcher took the tenet of CDA(Critical Discours eAnalysis). Participants were 8 middle school students(4 females and 4 males) and data sources were from two groups’ discussion protocol, video recording files and individual participants’ interview. Researcher referred advanced researches to define frameworks to analyze participants’ discourse data critically and inductively. Also non-verbal data was included in analysis. The finding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showed that 1) Leaders were made in each group and leaders’ patterns of behavior were different each other, 2) to control of participation made an involuntary outsider, and 3)to control of topic by ‘seeking joy in discourse’ and ‘identifying and reinforcement of relations’. Lastly,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language arts teacher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표는 교실 토의에서 이루어지는 중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비판적 담화분석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참여자는 남․여 중학생들로, 이들이 토의한 장면을 녹화한 비디오, 토의 내용을 녹음 전사한 자료, 토의 후 개별 면담한 자료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그룹 내에서 권력이 집중되는 리더가 발생하며, 리더의 행동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둘째, 발언 기회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비자발적 소외자가 발생하였다. 셋째, ‘즐거움 추구하기’, ‘관계 확인 및 강화하기’를 통해 담화 주제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졌다. 연구를 통하여 첫째, 학생들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권력 쏠림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 심층적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상호작용 과정에서 반응하는 방식에 대한 교육이 더욱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식적인 수업 중 즐거움을 추구하는 담화가 생성될 때 어떤 방식의 교육이 필요한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 교사 교육 도구로서 저널 쓰기의 적용 방안

        최건아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18 淸大學術論集 Vol.30 No.-

        Many researchers have assessed the effects of journal writing on students’ achievement and resulted that journal writing is effective on students’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However, we need to discuss the qualitative traits of usefulness and to construct the methods of journal writing in teach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journal writing in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researcher suggested the ways to help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by journal writing as ‘career exploration’, ‘self-directed learning’, ‘increasing professionalism’ and ‘introspe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and argued that further researches have to deal with the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about journal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