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방취약지 모델의 활용 및 적용사례 발굴

        최갑용,장은미,김성곤,조광현,Choi, Gap Yong,Chang, Eun Mi,Kim, Seong Gon,Cho, Kwang-H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신속한 재난현장 대응과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소방방재청은 '06년부터 '긴급구조 표준시스템'을 도입하여 전국 시도에 확산 중이며 안전관리담당관을 지정하여 위험예지훈련, 전문교육훈련 및 유형별 안전수칙 이행확인 등 현장 대응에서의 소방관 안전 관리를 강도 높게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불법 개조 건축물, 화재로 인한 구조물 변형, 주변 위험물 저장소 등을 사전에 인지 못하고 현장에 투입됨으로써 피해 확산, 인명 사고 발생 등의 화재 진압 조치에 한계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발적인 상황 대처로 소방대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장지휘관 및 소방대원의 경험과 판단에 의존한 부정확한 상황인지, 잘못된 의사결정 등의 인적 오류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노력과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분야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을 통한 새로운 재난 현장 대응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소방취약지 모델과 지도의 활용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소방취약지 모델을 활용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도단위에서의 소방취약지 분석 및 개선을 통한 소방 활동 성능 개선이 가능한 소방취약지 운용개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foster rapid disaster response and public life protectio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has been trying to spread 'Emergency Rescue Standard System' on a national scale since 2006. The agency has also intensified management of firefighter's safety on disaster site by implementing danger predication training, specialized training and education and safety procedure check as a part of safety management officer duties. Nevertheless, there are limitations for effective fire fighting steps, such as damage spreading and life damage due to unawareness of illegal converted structure, structure transformation by high temperature and nearby hazardous material storage as well as extemporary situation handling endangered firefighter's life. In order to eliminate these limitations there is a need for an effort and technology application to minimize human errors such as inaccurate situational awareness, wrong decision built on experience and judgment of field commander and firefigh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isaster response model which is applied with geospatial information. we executed spatial contextual awareness map analysis using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model to propose the new disaster response model and also examined a case study for Dalseo-gu in Daegu Metropolitan City. Finally, we also suggested operational concept of new proposed model on a national scale.

      • 소방취약지 모델의 구성과 정립프로세스 논의

        김성곤,장은미,최갑용,김희태,Kim, Seong Gon,Chang, Eun Mi,Choi, Gap Yong,Kim, Hi T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화재, 폭발 등의 재난현장은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촌각을 다투는 인명 구조나 초기에 불길을 잡지 못하면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출동 후 5분이내 현장에 도착하는 소방대원은 제한적인 정보와 즉각적인 현장 투입으로 인해 사고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며 임무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어 효율적인 작전 수립 및 전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발적인 상황 대처로 소방대원 스스로의 생명을 위태롭게도 한다. 이와 같은 한계 및 위험을 경감시키며 효율적인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고 현장 및 환경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국내외 연구는 주로 대형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예상되는 공간적 영역에 대한 화재취약성 관점에서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소방 활동 관점에서의 공간적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구한 사례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출동에서부터 진압 구조까지의 소방 활동 전주기를 대상으로 소방 활동 저해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소방취약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화재 취약 공간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방 취약 공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소방취약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소방취약지 모델의 목적성 및 적용성을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국 시도 소방본부 관할구역에 대한 소방취약지 유형 분석, 소방 활동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의사 결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are numbers of unpredictable risk factors in the disaster scenes such as fire, explosion and fail to early life-saving or holding the flames which can lead to massive damage. In particular, fire-fighters who arrive on the scene within 5 minutes after dispatching, have a limitation to get aware to the situation of scene fully, because of immediate deploy to disaster scene with limited information. This situation may lead to disturbance that fire-fighters perform effective fire-fighting activities, to put fire-fighter's life at risk by misjudge the situation.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focused vulnerability for spatial area or features which can damage to life and property in the event of anticipated. In this study, we have been developed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model that can analyze comprehensively hindrance factors for fire-fighting activities targeting whole life cycle of fire-fighting activities from dispatch to fire suppression or life-saving. In addition, we have been given shape to finality and applicability for our model by defining the new concept of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which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cept of fire vulnerable area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analysis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type analysis, establish fire-fighting policies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화재진압 취약성 지도 제작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사례로-

        김성재 ( Sung Jae Kim ),최갑용 ( Gap Yong Choi ),장은미 ( Eun Mi Chang ),송완영 ( Wan Young So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8 No.3

        매년 발생하고 있는 화재사고는 많은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절한 사고대응을 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 오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공간정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소방분야에서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활용한 화재진압 관련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소방 관련 요소들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만 이루어지고 있을 뿐 소방 활동의 주요 임무인 화재진압 활동 취약요소들에 대한 종합적 분석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활한 화재진압 활동을 함에 있어 방해되는 요소들을 파악 및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GIS DB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GIS 중첩분석을 수행하여 화재진압 취약성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화재진압 활동 저해 요소들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으로써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화재진압 운영계획등과 같이 소방관련 종사자들에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re incidents, which occur every year, cause huge damage to properties and humans. Significant time and costs have been invested in minimizing and responding to such accidents. With the recent advances in the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firefighting fiel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ffectively bring fires under control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ost of such studies, however, focused on individual analyses of firefighting-related factors, but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vulnerability factors in fire control activities, a major part of firefighting activity, has yet to be done. This study sought to pinpoint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obstruct fire controlling, and to gather relevant data and create GIS-based databases. Based on such database, GIS-based overlay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duce a fire control vulnerability map.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enable a quantitative analysis of firefighting obstruction factors to assist the personnel engaging in firefighting in rational decision-making, such as in formulating a firefighting operation plan for securing golden time

      • KCI등재

        WebGIS 기반 소방취약지 관리개선 서비스의 모텔 개발

        송완영 ( Wan Young Song ),정운희 ( Woon Hee Jung ),조명흠 ( Myeong Heum Cho ),최갑용 ( Gap Yong Choi ),공하성 ( Ha Sung Kong ) 대한설비관리학회 2015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20 No.2

        Recently, new model for the disaster scene was proposed to take the advantage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 this investigation, WebGIS system for the prototype of fire vulnerable facilities was developed to identify the interfering facilities for the fire suppression activities and to share the information. Remembering and managing the fire vulnerable place require knowledge based know-how and local veteran, which necessary to avoid the mistake of initial response. The service function related with the fire vulnerable facilities was developed for effectively release the information with using the computer system of the information manager. Availability of the spatial information and online service developed using WebGIS for the improve and management of fire vulnerable facilities provide advanced important fire fighting information and greatly improve the fire fighting golden time. The fire fighting information provided by WebGIS improves the fire suppression activities and reduces the fire suppression time. Utiliz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directly affects the fire suppression golden time.

      •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의 현황분석

        김연진(Kim Yeon Jin),정연만(Jeong Yeon Man),조동욱(Cho Dong Uk),김태훈(Kim Tae Hun),박봉섭(Park Bong Seop),최갑용(Choi Gap Yong),김경배(Kim Gyoung Ba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소방청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국민의 안전과 소방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데이터 개방 공유 유통 거래 기반 플랫폼인 소방 안전 정보 빅데이터 허브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20년 9월부터 구축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의 성과 및 현황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 구축사업을 완료한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은 공공데이터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이용건수는 총합 3,136건, 월평균 314건으로 타 플랫폼에 비해 다소 낮지만 소방안전 플랫폼의 성격이 공공 데이터의 특성을 지닌 것을 고려하면 향후 상승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통거래 매출액과 데이터 이용기업수 등이 지속적으로 증하고 있어 향후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