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특수교육체제에 따른 통합교육 의미 탐색: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채희태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3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of Germany: In comparisons with the U.S. 독일은 전통적으로 장애아동 분리교육이 강한 국가로 알려져 있다. 통계학적 수치가 보여주듯 교육선진국이면서도 유럽과 북미의 통합교육 진행정도에 비해 현저히 낮은 통합교육 보급률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전통적 특수교육체계를 파악하고 독일에서 통합교육의 보급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한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일의 교육제도, 교사양성체계, 특수교육운영체계 등이 통합교육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비교척도로써 미국의 사례를 부분적으로 참고하였다. 결과적으로 독일의 특수교육 및 일반교육체계 전반이 통합교육 발전에 비효율적인 구조임과 동시에 특수교육적 접근방법이 아동의 교육적 요구 중심이 아닌 교육기관(특수학교)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특수교육대상아동의 비율, 분류체계, 통합교육 비율 및 교육과정 이수 비율 등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독일 특수교육이 안고 있는 체제변화에 대한 과제는 특수교육체제 변화를 꾀하는 한국에도 동일한 과제로 부여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주제어> 독일과 미국의 통합교육, 아동의 요구중심 특수교육, 기관중심 특수교육

      • 자폐범주성장애의 중재에 대한 증거기반 접근의 당위와 제한점

        채희태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10 지성과 창조 Vol.- No.13

        20세기 중반 Kanner가 자폐증을 보고한 이래 자폐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특히 1980년 이후 자폐범주성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s)에 대한 이론과 지식이 확장되면서 다양한 중재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심리학, 의학, 약학, 신경생물학 등의 연 구 분야에서는 장애의 원인에 대한 설명모델을 제시하고, 학업 및 사회 통합을 고민하는 교육 분야에서는 이들의 전인적 인간발달에 노력을 기 울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명모델과 중재방법들 중 과학적 증거에 기반을 둔 중재를 고찰하고 이러한 과학적 방법론의 당위성과 한계점 및 보완점을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야간근로자의 유형과 보호

        채희태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성균관법학 Vol.31 No.4

        야간근로는 신체적 피로와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건강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야간노동에 대한 개념과 누가 야간근로자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ILO와 유럽연합, 프랑스, 독일, 일본에서는 야간근로에 대한 특정 시간대를 정하고 있다. 그리고 야간근로자의 보호를 위한 여러 조치들을 마련해놓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근로기준법에서 야간근로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안전보건기술지침을 통해 야간근로자 보호에 대한 조치들을 마련해놓고 있다. 야간근로자의 수는 정확히 파악되고 있지 않으나, 2013년 고용노동부 조사에서는 야간근로자를 약 127만 명에서 134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8호 제2호에서는 야간작업을 유해인자로 보아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 통계에 의하면 약 182만 명 이상이 야간근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근로자는 완전 야간근로자, 부분 야간근로자, 임시 야간근로자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완전 야간근로자는 근로시간의 대부분이 야간근로시간대에 있는 근로자이다. 부분 야간근로자는 교대제 근무 등을 통해 근로시간의 일부가 야간근로시간대에 있는 근로자이다. 임시 야간근로자는 특정일이나 특정 주에 야간근로가 예정되어 있거나, 물량 또는 일감의 일시적인 증가로 야간근로를 하는 근로자이다. 야간근로자 보호에 대해 여러 조치들이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현행 야간근로자 보호에 관한 조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1. 완전 야간근로는 교대제근로를 활용하여 순환 야간근로제로 작업형태를 변경해야 한다. 2.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제도를 개선하여 실효성을 확보해야 한다. 3. 현행법 개정으로 야간 안전관리자를 확보하고 야간근로자를 위한 응급시설과 응급수송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Night work causes physical fatigue and stress, which can cause health problem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concept of night work and who is the night worker. ILO, EU, Japan, France and Germany set specific time zones for night work. In addition, various measures are in place to protect night workers. In Korea, the Labor Standards Act also stipulates night duty, and measures are in place to protect night workers through safety and health technology guidelines(KOSHA GUIDE). The number of night workers is not known exactly. A 2013 survey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estimates the number of night workers at about 1.27 million to 1.34 million. Regulation No. 98(2)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regards night work as a harmful factor and conduct a health examination for night work.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at night showed that more than 1.82 million people are working at night. Night workers can be classified as full night workers, partial night workers, or temporary night workers. Full night workers are workers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working at night. Partial night shift workers are workers in which part of the working time is in night shift through overtime shift. Temporary night workers are workers who are scheduled for night work on specific days or weeks, or who work at night due to temporary increases in supply or work. There are a number of measures to protect night workers, but they are lacking. The following actions are proposed for current actions on night worker protection. 1. Full night work should be shifted to rotational night work using shift work. 2.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system for night work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its effectiveness. 3. The revision of the current law should secure night safety managers and provide emergency facilities and emergency transport measures for night workers.

      • KCI등재

        학교폭력에 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채희태,옥정달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on school violence. [Method]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195 students were used to calcula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mpare the significance of the response difference per group.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hool violence as a social phenomenon was recognized as severe or very severe, and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er class year, as for gender, female students found it more severe. Second, with respect to awareness per school violence types were all recognized as severe or very severe, and while th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er class year, as for gender, some ques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er gender. Third, with respect to the concept awareness ,the respondents recognized all of them as school violence, and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er gender or class year, some ques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er gender. Fourth, with respect to the cause of school viol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er gender or class yea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er question. [Conclusion] With respect to the attitude (values) towards school violence, all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clear values towards violence, and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er class year, as for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a clearer (more positive) attitude. [목적] 예비특수교사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5명의 설문의 응답결과를 기초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 간 반응 차이의 유의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사회현상으로서 학교폭력을 전반적으로 심각 또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였고, 학년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으나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더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둘째, 학교폭력의 유형별 인식에서는 제시된 13개 학교폭력 유형에 대하여 심각 또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학년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으나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더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셋째, 15개의 행동유형이 학교폭력인지에 대한 개념 인식에서는 전체 응답자들은 학교폭력으로 인식했고 성별, 학년별로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일부 문항에 대하여는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하여 성별, 학년별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항목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폭력 게임, 교사의 무능, 동료의 무관심, 약한 처벌, 교사의 편애 등에 대하여는 여학생이, 교사와의 갈등, 성적 지상주의, 공격성, 사회적 무관심에 대하여는 고학년이 일관되게원인으로 더 인식하였다. [결론]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가치관)에서는 전체 응답자가 폭력에 대한 명확한 가치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으나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더 분명한(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문제해결로서 폭력을 사용하는 태도에서 유의하게 여학생이, 방관적 태도에 대하여는 고학년이 유의하게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폭력에 대한 특정 가치교육에서 성별, 학년별 적합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중차별 담론의 성찰적 고찰과 반차별 교육의 방법론 모색

        채희태 한독교육학회 2018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3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rge the transition of awareness about discrimination through discourse on multiple discrimination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to seek for new methods and contents of anti-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the expansion of awareness. To do so, this study examines socio-psychologically, ethnologically and sociologically how various factors constituting identity of individuals such as sex, ethnicity, body (disability), religion, language, class and sexual orientation act as reasons for discrimination in the middle of social power relations. The problem is posed based on the concept of multiple discrimination about epistemological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discrimination studies and the effectiveness of legal approach to discrimin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Furthermore, the method of handling this concept at education sites is discussed by analyzing the concept of multiple discrimination and the intersectionality theory of discrimination. The outcome of this study obtained from the literature is the discovery that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multiplicity and intersectionality of discrimination can become primary contents of anti-discrimination education. In other words, epistemological approach to intersectionality of discrimination is not only a meaningful tool to interpret various phenomena of discrimination but discourse that internalizes rich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how discrimination turned into a social structure in the midst of symbolic order, how this structure is structuralized (internalized) within the agent, and how symbolic discrimination intersects mutually. Based on this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n idea on the anti-discrimination education strategy by taking an intersectional approach. 이 연구는 교육학 분야에 다중차별 담론을 활성화함으로써 차별에 대한 기존의 인식에 전환을 촉구하고 인식의 확장에 기초한 반차별 및 인권 교육의 새로운 방법과 내용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즉 성별, 민족, 신체(장애), 종교, 언어, 계층, 성적지향 등이 사회적 권력관계 속에서 어떻게 차별의 이유로 작용하는지를 사회심리학적, 민족학적, 사회학적으로 고찰하고, 기존의 전통적 차별연구가 가진 인식론적 제한점과 현대 사회의 차별에 대한 법적 접근 방식의 실효성에 대하여 다중차별 개념을 기초로 문제를 제기한다. 나아가 다중차별 개념과 차별의 교차성 이론을 분석함으로써 이 개념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다룰 것인지 그 방법을 모색한다. 문헌연구로부터 얻게 된 이 연구의 성과는 무엇보다 차별의 다중성과 교차성에 대한 분석과정 자체가 반차별 교육의 주요한 컨텐츠가 될 수 있음에 대한 발견이다. 즉, 차별의 교차성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이 차별의 다양한 현상을 해석하는 의미있는 도구가 될뿐만 아니라 차별이 오늘날 상징질서 속에 편입되어 어떻게 사회의 구조가 되었는지, 이러한 구조가 어떻게 행위자의 내부에 구조화(내면화)되는지, 이 과정에서 상징차별은 어떻게 상호 교차되는지와 같은 풍부한 교육 컨텐츠가 다중차별 담론에 내재되어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결론 위에서 이 연구는 교차적 접근에 기초한 반차별 교육의 수업 전략을 아이디어 차원에서 제시한다.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보조공학서비스 지원을 위한 실태 및 요구조사

        채희태 한국직업재활학회 2011 職業再活硏究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improved policies relating to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hat is supported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data was gathered by way of individual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of 5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using the assistive devices. The major results from this research was as followings: 1) most of the subjects have a multiple problems of college living which is solved or helpful by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2) subjects used assistive devices more than 1.7 items per person and were satisfied with using devices, whereas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high cost and service delivery system. 3)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was focused on specific type of disabilities and assistive devices, so subjects expressed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several ways in order to impro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were suggested included set a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t the center and organization of the pool of assistive device. 이 연구는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장애대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보조공학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보조기기의 사용 실태와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서비스 지원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개발하여 면담 조사한 결과, 장애대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들 중에는 보조공학서비스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거나 도움이 될 내용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용하고 있는 보조기기는 평균 1인당 1.7개 이상으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고비용의 문제와 서비스 전달체계 상의 불만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서비스는 일부 장애 유형에게만 특정 보조기기를 대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전문가 배치, 인근대학과의 보조기기 풀 구성을 통한 상호활용 시스템 구축 등의 수요자 중심 보조공학서비스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