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의 친환경디자인 계획요소에 관한 비교연구

        채민정(Chae, Min-Jeong),박현옥(Park, Hyun-Ok)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2

        현대는 주거공간에서도 친환경 공간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건설사마다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으로 친환경 아파트들을 건설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친환경 정책과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주요 건설사 아파트의 친환경 계획요소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인터넷 상에 친환경 계획 요소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7개 건설사의 2011-13년 사이에 입주할 아파트 20개 단지를 대상으로 실내ㆍ외공간 친환경 계획요소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계획요소는 재료, 기술, 설계측면으로 추출되었으며 실내ㆍ외공간 모두에서 지속가능한 재료나 재활용 재료에 대한 사용이나 고려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실외 공간에서는 바람길 확보와 단지 내 녹화 등 설계부문과 실내공간에서 일괄 소등 스위치, 홈네트워크 시스템, 환기시스템 항목 등 기술부문과 설계 부분의 바람길 확보 부분이 모든 아파트에 적용되었다. 둘째, 조사 대상 건설사 아파트의 공간별로는 실내부분이 19개 항목, 실외부분이 11개 항목으로 실내공간에서 친환경 계획요소를 더 높게 반영하고 있었다. 부문별로는 실내외공간 모두 설계 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기술, 재료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브랜드 공동주택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사용 및 관리를 고려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로 고효율 친환경 공동주택이 건설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동시에 브랜드 차별화의 요소가 되며 소비자들은 보다 나은 친환경 디자인 브랜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concept of environment-friendly is on the rising in the field of every construction and industry.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green-design and eco-friendly planning in housing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elements in site plan, outdoor and interior spaces of apartment housing.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review of literature and internet homepage of 7 brandapartment. The sample is 20 apartment complex.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elements of eco-friendly housing planning are classified into material, technology and layout design. Second, there is no use sustainable, natural and recycling material and wind power generation in exterior space planning. Also, there is no use sustainable and recycling material in interior space planning. Third, all cases are applied wind-path, green planting, home-network system and wholesale turn off lights system. Finally, eco-friendly planning elements are showed more interior space than outdoor and in order to layout, technology and material. As a results, it is look for using the natural and sustainable material in housing construction.

      • KCI등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성역할 갈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채민정(Min-Jeong Chae),정효주(Hyo-Ju Ju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남자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성역할 갈등,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시와 J도에 위치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남자 간호대학생 527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Pearson corrle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를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성역할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성역할갈등은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모형의 설명력은 약 16%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 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학교와 학과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커리큘럼 개발노력과 지원이 필요하겠으며, 성역할 갈등에 대한 개별적 의식개선 노력과 더불어 학교차원에서도 간호의 양성적 측면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개선 및 비교과 활동을 개발하여 남자 간호대학생으로 하여금 적극 참여를 권장해야 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ing satisfaction in major, and gender role confli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527 male students in nursing colleg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le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role conflict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3.91, 3.04, and 2.40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role conflict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variables together explained 16%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male nursing students. Conclusion: In order to connect the satisfaction in major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chool and the department will need a lot of efforts and support for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eet the students level and interst, and practical training for clinical practic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CAD/CAM을 이용하여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지대치 보철물 제작 증례

        채민정,이청희,Chae, Min-Jeong,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4

        국소의치 장착자에서 2차 우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지대치 치료 후 크라운 재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기존 국소의치가 잘 기능하고 있고 환자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할 수 없을 경우에는 기존 국소의치에 맞도록 지대치 보철물을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고, 기공과정이 복잡하다. 국소의치를 지지하는 지대치에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의 원본 모형이 있고 참고점이 될 수 있는 다른 치아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CAD/CAM을 이용하여 retrofitting 보철물을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지대치의 포스트, 코어 및 보철물이 복합적으로 탈락하여 내원한 환자에서,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해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높은 적합도와 조정 과정의 최소화 등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butment teeth suppor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could be faced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If the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in clinically acceptable state and the patient does not want to replace the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n a new prosthesis for abutment teeth need to be made. The procedure of fabricating a new prosthesis of abutment teeth for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complicate and technically challenging. To fabricate the abutment crown, the original cast of patient obtained before any complication to the abutment teeth is required. The original cast should also contain teeth other than the abutment teeth as a reference point. Once the cast is prepared, CAD/CAM could be used to produce retrofitting prosthesis effortlessly and efficiently. This clinical report presents fabricating a crown to fit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CAD/CAM for a patient with post and core failure and dislodged prosthesis. The prosthesis had high stability with minimum adjustment yielding satisfying result.

      • KCI등재

        친환경 소재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민정(Min-Jeong Oh),염현지(Hyeon-Ji Yeom),정우(Jung-Woo Chae),이진영(Jin-Yo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3

        연구는 친환경 소재인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고,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유효성분들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에서 추출물 성분들의 상승작용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93.7%, 94%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40%, 27.5%, 43%의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들의 상승효과로 혼합 추출물의 높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각각 87.4%, 80.2%, 9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결과적으로 혼합 추출물은 길항작용을 통해 같은 농도에서도 100%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 추출물의 Western blot에 의한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53.9%, 64.8%, 67.3%, 56.1%로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RT-PCR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미백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54.4%, 64.9%, 66.6%, 63.1%로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1:1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혼합한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verifi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a Pinus koraiensis extract (PK) and a Hibiscus cannabinus L. extract (HC), and further evaluated the interaction of the extract ingredients when mixed at a 1:1 ratio (PKHC). The electron-donating and ABTS<SUP>+</SUP>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PKHC extract at 1,000 μg/ml concentration were 93.7% and 94%, respectively, indicating a higher efficacy than achieved with either extract alone. Measurements of the tyrosinase the activities in response to PK, HC, and PKHC extracts at 1,000 μg/ml concentrations showed inhibitions of 40%, 27.5%, and 43%, respectively, confirming a higher efficacy of the mixture due to the synergistic action of the ingredients. The cell toxicity values in melanoma cells treated with PK, HC, and PKHC at 1,000 μg/ml concentration were 87.4%, 80.2%, and 98%, confirming a higher viability in cells treated with the mixture due to antagonism. The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and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decreased by 53.9%, 64.8%, 67.3%, and 56.1%, respectively, when PKHC was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 PCR) results also showed that PKHC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mRNA by 54.4%, 64.9%, 66.6%, and 63.1%, respectively. Taken together, the data confirm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 of the PKHC extract and verified the possibility that this extract mixture has great potential as a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

        미백활성을 가진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써 연구

        민정(Min-Jeong Oh),염현지(Hyeon-Ji Yeom),정우(Jung-Woo Chae),이진영(Jin-Yo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6

        본 연구에서는 분비나무의 생리활성 및 미백 활성을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분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각각 1,000 μg/ml 농도에서 89.4%, 90.9%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SUP>+</SUP>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두 추출물 모두 1,000 μg/ml에서 약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은 1,000 μg/ml에서 각각 48.5%, 31.1%의 저해율을 나타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농도구간이 500 μg/ml 일 때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은 98.3%, 94.4%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세포 관련 실험을 세포의 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 μg/ml 농도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은 TRP-1과 tyrosinase,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MITF의 인자에서 대조군인 kojic acid 보다 단백질 발현 억제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16F10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mRNA 발현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은 tyrosinase의 인자에서 모든 농도구간이 대조군인 kojic acid 보다 mRNA 발현 억제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분비나무 추출물의 우수한 미백활성을 확인하였고, 기능성 활성이 우수하여 화장품 천연물 및 기능성 소재로써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conducted a study on the whitening activity of Abies nephrolepis MAX. extracts.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70% ethanol extracts from A. nephrolepis MAX. Stem (AN-S) and A. nephrolepis MAX. Leaf (AN-L) were found to be 89.4% and 90.9% at 1,0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ir ABTS<SUP>+</SUP>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were found to be 88.8% and 96% 5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ir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to be 48.5% and 31.1% at 5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Cell survival rates measured in B16F10 were examined with the AN-S and AN-L extracts. Results showed cell viabilities of 98.3% and 94.4% at 5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hibitory effects of AN-S and AN-L extract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and RT-PCR, respectively, at 25, 50 and 100 μg/ml concentrations. The results of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the AN-S extract at 100 μg/ml concentration decreased the TRP-1 protein expression rate by 46%. The results of Western blotting also showed that the AN-L extract at 100 μg/ml concentration decreased the MITF protein expression rate was by 54.6%. Consequently, in the case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the amount of mRNA expressed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increased. Our results suggested that A. nephrolepis MAX. extract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by confirming that they can be used as a whitening material.

      • KCI등재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설계 방법 탐색 및 인식 변화 연구: A 교육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서희정(Hee-Jeong Seo),채민정(Min Jung Chei),이종연(Jong-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설계의 최종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 예비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 교육대학원의 교직 수업에서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법에 관한 사전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후, 중간과제를 통해 각 교과에 적용 가능한 수업설계 방안을 탐색하고 성찰 문항을 통해 이러한 과정과 경험을 작성하게 한 후 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생성형 AI 도구의 선택과 사용을 통해 교육적 유용성을 인식하고, 교과 내용 전달의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생성형 AI의 한계를 경험하면서 테크놀로지의 신중한 통합과 교사의 디지털 및 AI 리터러시 함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의 반복적이고 실험적인 수업설계 시도가 문제해결력과 비판적사고력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에 생성형 AI 사용을 주저하던 예비교사들은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되면서 수업 설계에 더욱 폭넓게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넷째, 예비교사들은 생성형 AI와 TPACK의 요소를 효과적으로 통합하면서 각 교과에 적합한 새롭고 혁신적인 맞춤형 교육방법 및 교육전략을 개발하였으며, 동료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사례를 경험하면서 교육적 사고와 관점이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원양성기관의 전공 및 교직 수업에서 테크놀로지가 통합된 우수 수업 사례와 실습과정이 포함된 보다 실질적인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성형 AI를 활용할 때 직면할 수 있는 실제 문제들을 시뮬레이션하는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각 전공에 따라 생성형 AI의 체계적인 통합을 유도할 수 있는 맞춤형 전문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ual changes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as they derived the final products of lesson plans using generative AI, and to explor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i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Methods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training on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was conducted for 20 students in a teacher education course at A Education Graduate School in Seoul. Subsequently, the students explored applicable lesson design strategies for various subjects and reflected on these processes and experiences through mid-term assignments, which were then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TPACK framework. Results Firstly,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educational utility of selecting and using generative AI tools aligned with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firmed their potential as tools for delivering subject content. Secondly, through experiencing the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arefully integrating technology and cultivating digital and AI literacy among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ir repeated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o lesson design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ly,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initially hesitant to use generative AI developed a positive perception and showed a willingness to use it more extensively in lesson design. Lastly, they were able to effectively integrate elements of generative AI and TPACK, developing new and innovative customized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suitable for each subject, and expanded their educational thinking and perspectives by experiencing lesson design cases from fellow pre-service teachers. Conclusions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develop and operate more practical curricula that include excellent examples of technology-integrated classes and practical exercises. Additionally,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content that simulates real issues encountered while using generative AI, and develop customized professional courses that facilitate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generative AI according to each maj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