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대방송에서 나타난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

        차현희,윤승금,이광직,최성진,이선희,박구만,Cha, Hyun-Hee,Yoon, Seung-Keum,Lee, Kwang-Jik,Choi, Seong-Jin,Lee, Seon-Hee,Park, Goo-Man 한국ITS학회 200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현재 지상파 DMB의 방송자막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방송자막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시청 시 방송자막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글자 수의 최소화, 명료성을 높이는 글자체와 색상의 배열, 구성 요소의 재배치가 방송자막의 가독성을 높이는 주요 요소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실제 지상파 DMB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화질, 화면 구성, 색상 및 명암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낮았다. 또한 방송자막의 가독성, 정보의 전달, 자막 구성, 글자체, 글자 수 및 글자 크기 등의 평가에서는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방송자막 형태 및 구성, 정보량의 제한, 글자의 선명성 및 크기, 색상 배치 및 선명성 등에서 지상파 DMB 화면에 적합하고, 사용자의 편이성을 고려한 자막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providing the direction for future improvement of broadcast subtitle design by identifying the user perception on broadcast subtitles of Terrestrial DMB. First, we contemplated on the existing research about broadcast subtitle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broadcast subtitle plays an essential role when watching a program and that the minimization of letters, clear fonts and color arrangement, rearrangement of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main factors that increase readability. However, the terrestrial DMB user evaluation on image quality, composition, color and brightness was not that positive. In addition, the evaluation on the readability of broadcast subtitle, information transmission, subtitle composition, letter font, number and size of letter was more negative. Developing a subtitle design which considers user convenience and suits terrestrial DMB screens in aspects of broadcast subtitle form and composition, limit of information, clearness and size of the letter is required.

      • KCI등재

        만다라 명상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여성의 뇌파와 전두엽 관리기능에 미치는 효과 : 꼴라쥬 기법을 중심으로

        차현희,Cha, Hyun-Hee 한국예술치료학회 201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만다라 명상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여성의 뇌파와 전두엽 관리기능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B상담소에서 2011년 4월 한 달 동안 자신의 심리상태와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흥미를 갖고 있는 성인여성을 홍보를 통해 모집하고, 지원자 10명 중 연구에 즉시 참여가 가능한 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만다라 명상 집단미술치료) 4명과 비교집단(꼴라쥬 집단미술활동) 4명으로 구성하였다. 사전검사는 프로그램 실시하기 두달 전에 검사한다. 사전검사를 실시한 두 달 후의 프로그램은 주1회 110분간 8회기이며 두달간 참여한다. 프로그램이 종결된 두 달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도구는 뉴로피드백,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 명상 집단미술치료가 뇌의 기초율동지수에 효과가 있고, 둘째, 만다라 명상 집단미술치료가 뇌의 활성지수인 활성 상태 판단에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셋째, 만다라 명상 집단미술치료가 전두엽 관리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객관적 측정도구를 토대로 미술치료가 뇌 기능의 다양한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심리치료 방법의 한 분야임을 밝히는 초석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적극적명상을 활용한 만다라미술치료가 성인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차현희(Cha, HyunHee)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1 동서정신과학 Vol.24 No.1

        본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적극적명상(Active Imagination)을 활용한 만다라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 성인여성 8명으로 선정하였다. 적극적명상을 활용한 만다라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서울에 위치한 심리상담센터에서 주 2회 90분간 총 10회기에 걸쳐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천하고자, 객관적인 뇌파검사 도구인 BES-2000을 통해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뇌파측정을 통한 스트레스의 감소 변화를 확인하였다. 검사 측정 시기는 적극적명상 만다라미술치료 프로그램 2주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종결 2주 후에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적극적명상을 활용한 만다라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후에 참가자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객관적인 뇌파검사 검증방식을 통해 적극적명상을 활용한 만다라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대상자가 소수의 성인여성에 국한되어, 지역, 연령, 참여자 수 등의 한계로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적극적명상을 활용한 만다라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뇌의 긍정적인 기능(기억력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면 좋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Mandala Art Therapy using Active Imagination for adult women and to see if it is effective in reducing stress.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8 adult women exposed to stress environments. The Mandala Art Therapy Program using active meditation was conducted individually for a total of 10 sessions for 90 minutes twice a week at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stress was measured through BES-2000, an objective EEG test tool, and the change in stress reduction through EEG measurement was confirmed. As for the timing of the test, a pre-test was conducted two weeks before the active meditation mandala art treatment program,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two weeks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stress de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Mandala Art Therapy Program using active medi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verified that the Mandala Art Therapy program using active meditation had an effect on stress reduction through an objective EEG verification metho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y subjects a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adult women, and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generalize this study due to limitations such as region, age, and number of participants. In a follow-up study, it would be good to check whether the Mandala Art Therapy program using active meditation also affects the positive functions of the brain (memory, etc.).

      • KCI등재

        유아의 감사성향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인성의 매개효과

        차현희(Cha, Hyun-Hee),최윤지(Choi, Yoon-Ji),박인전(Park, In-Jeo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유아의 감사성향과 인성을 설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302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회복탄력성, 감사성향, 인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감사성향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유아의 인성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아의 감사성향은 유아의 인성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charact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resilience. To this end, 302 young children aged 5 years were surveyed using young children"s resilience, grateful disposition, and character as measures. For the data analysis,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frequency,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alidated using the AMOS 23.0 program to determine the casual relationship of the three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grateful disposition tended not to have a 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and young children’s charact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resilience. Second, young children’s grateful disposition tends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by mediating young children’s character,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s a result of valid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by the bootstrapping metho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휴대용 조립식 인형극장 장치와 디지털 구연동화 콘텐츠 출력매체의 접목에 관한 연구

        차현희 ( Hyun Hee Cha ),김성택 ( Seong Taek Kim ),손범룡 ( Bum Youig S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이동이 편리한 간이형 어린이 인형극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입체화와 디지털 구연동화 출력매체의 접목을 통하여 어린이들을 위한 시청각 교재로서의 흥미도 증진과 함께 인형극 내용의 반복 통일성을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 인형극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정이나 유아원 또는 유치원에서 손쉽게 인형극 세트를 설치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특징적인 효과를 가진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는 한정된 공간과 제한된 수요층을 대상으로 하던 기존의 인형극 무대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인형극을 대중에게 보급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장점들을 만들어 냈다. 향 후, 본 논문의 연구를 토대로 인형극의 무대장치, 인형, 배경, 음성 장치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다각적인 연구들이 이어져 어린이들은 물론 많은 대중들에게 조금 더 다양한 볼거리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인형극들이 많이 만들어지길 바란다. This thesis concerns a simple portable children`s puppet theater device. It intend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uppet play stage setting that: attracts more attention as an audio-visual material by combining the prefabricated puppet play setting made to be three-dimensional with digital storytelling output media; that easily maintains the puppet plays` consistency in repetition; and that is also portable. The study of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enhanced educational effects on children by enabling easy installation of puppet play stage setting in homes, nurseries, and kindergartens, regardless of the space. It has created many benefit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puppet play settings with limited space and audience group and to spread puppet plays to the public. This thesis henceforth can prompt multilateral studies in stage settings, puppets, backdrops, audio devices, etc. for puppet theaters to create more puppet plays which provide diverse spectacles for both children and the larger publi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