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학생 대상 웹기반 진단평가관리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휴리스틱스 개발 및 검증

        차현진,황윤자,Cha, Hyunjin,Hwang, YunJa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6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증거기반의 교육정책을 위해, 전국단위의 진단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국 단위 초 중생이 활용하고 있는 진단평가관리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도울 수 있는 휴리스틱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Nielsen의 기본 휴리스틱스를 비롯하여 교육적 목적에 종속적으로 개발된 휴리스틱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유사시스템인 진단 보정학습시스템의 사용성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휴리스틱스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는 델파이 방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에 의해 2회의 타당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정 보완되었고 최종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 맥락에서 사용성 평가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관계자(교사 등)와 학생들이 활용하는 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repa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ollect nationwide data has been implemented and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educational policy. This study aims to develop heuristics to help to improve usability of such systems, which are utilized by primary and middle school community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nationwide. To achieve the objectiv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euristics in the educational contexts as well as basic heuristics from Nielsen were reviewed, and usability problems of the web-based diagnostic-supplement system being currently utilized, as a sample system, were analyzed. Then, the first version of heuristic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heuristics were validated and revised through 2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with 15 expert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with preparing foundations on improving usability of such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utilized by school community at the nationwide in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초·중등 현직 교원의 스크래치 활용 교수자료 개발에 대한 경험 분석: ASSURE 모형 기반

        차현진,이경숙,Cha, Hyeon-Jin,Lee, Gyeong-Suk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현직 교원을 대상으로 ICT 활용 교수법의 일환으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한 후,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교수 매체 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현직 교사들이 자신의 교과에 프로그래밍을 활용하는 목적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 및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교과의 학습 목표와 방법에 따라 교수 설계를 시행하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크래치 활용 교수 매체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9년 2학기 K대학의 교육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초·중등 현직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직 교사 10명은 스크래치 교육 후 최종 과제로 수행된 ASSURE 모형 기반 교수 설계와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고,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 참여를 촉진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이끄는 데 스크래치 활용 수업 매체가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뿐 아니라 예비 교원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의 방향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ructional media by using Scratch for in-service teachers, after they participated in programming education with Scratch conducted as part of teaching methods using ICT.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service teachers' thoughts and experiences of the objectives and methods integrated the programming education into their subjects creatively and convergently. To achieve the objective, they conducted an instructional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ir subject's learning goals and methods on the framework of the ASSURE model. Then, they conducted a project to develop instructional media with Scratch as part of the instructional design. 10 in-service teachers who attend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eachers showed positive expectation that the use of media developed by Scratch could bring significant results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and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to lead learner-centered class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 on programming 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of prospective teachers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초·중등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의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검증

        차현진,황윤자,노은희,Cha, Hyunjin,Hwang, Yunja,Noh, eunhee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해외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에 대한 우수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NCIC와 고교학점제 사이트를 중심으로 74명의 모니터단 설문 조사를 통해 UX/UI 사용성 문제와 요구를 도출하였다. 해외사례 분석과 모니터단 설문 결과를 바탕을 도출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델파이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에 관련된 과업을 수행하는 온라인지원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함으로써,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시스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개발될 시스템의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guideline to provide user-friendly experience and convenience for the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curriculum at primary/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e objective, best practices of overseas on the online support system for curriculum as well as prior research were analyzed. In addition, UX/UI usability problems and needs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of 74 professionals and teachers who are monitoring NCIC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sites. Based on the analysis of best practices of overseas and survey results, the draft of the design guideline was derived, and Delphi method was conducted by experts to re- vise the design guidelines and evaluate their valid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ystem currently being serviced and the direction of the design of the syste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providing design guidelines that can be generally applied to online support systems that perform tasks related to the curriculum.

      • KCI등재

        보편적 학습 설계(UDL) 기반 차별화 교수 지원 도구인 PAL 툴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설계

        차현진 ( Hyun Jin Cha ),안미리 ( Mi Lee Ah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1

        학교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가장 큰 도전 중에 하나는 학급에 학생 개개인의 학습 진도, 스타일 등이 모두 다르고, 교사는 정해진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학생들의 요구를 지원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개의 학생들의 차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교수를 제공하는 차별화 교수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와 시도에도 불구하고, 차별화 교수가 교육에 있어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자원적 제한, 조직적 저항, 실행하기 쉬운 프레임워크의 부족으로 인하여, 실제 교실 환경에서 차별화된 교수를 실현하기에는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CAST에서는 차별화 교수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실용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보편적학습설계(UDL)의 원칙과 교수방법에 근거하여 설계된 PAL 툴을 제공함으로써, 차별화 교수에 대한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좀 더 실용 가능한 형태로 교사가 모든 학습자들을 위한 차별화 교수가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ST에서 제공하는 웹기반 PAL 툴을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좀 더 실용적인 툴로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용 PAL 툴을 설계하였다. 이는 웹기반 PAL 툴이 즉시적으로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거시적 차원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교사가 교실에서 원하는 순간에 정보를 얻고 갱신할 수 있도록 1차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1차 프로토타입은 전문가 평가를 통해, 교실에서 PAL 툴의 실천적 의의를 검증하고, 좀 더 효과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도모하기 위한 개선점을 탐색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최소로 권장하는 인원인 3명의 전문가로 이루어져, 다양한 관점에서의 개선점이 도출되었고, 이 평가로부터 교육용 툴(시스템) 평가에 대한 시사점도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스마트폰 버전 PAL 툴은 기존 차별화 교수가 가지는 특수 학생의 관점에서 통합 교육의 관점으로 확대하여, 모든 학생들의 요구 사항을 진단하고 충족시키기 위한 교수 전략을 제안하고, 스마트폰용 교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교사의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교수 지원 툴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CAST developed UDL, a practical framework, to guide the design of curriculum that is flexible and supportive of all students by using technology. Based on the UDL framework, CAST provides PAL toolkit to support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by analyzing students from cognitive, strategic, and affective perspectives. It is different from other differentiated instruction strategies which usually focuses on disabled students. In this study, the smart-phone version of PAL tool was designed to make it utilized in a more practical way in the context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To do so, first of all, the web version of PAL tool which is pro-actively used before or after teaching was analyzed, and some problems were founded. From this, improved information architects and interface designs on the smart-phone version were proposed. Furthermore, the smart-phone version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during the teaching as soon as a teacher finds new characteristics or good ideas about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a particular student. To evaluate the concept and effectiveness of the smart-phone version in the education context and the new information architect and interface design, expert review was conducted with 3 UDL experts. From the expert review, all of the experts agree with the effectiveness and feasible concept of the tool in the teaching context. Moreover, new design ideas and some points to be improved were founded. This study has also an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at an instructional smart-phone application was proposed to promote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setting of the general curriculum in a more practical and efficient way for all kinds of students as well as disabled students. For the future study, the prototype improved from the expert review will be developed and evaluated by teachers in a recursive wa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장애학생 대상 원격교육 지원을 위한 교사 및 학부모 요구 분석

        차현진(Hyunjin Cha),구정아(Jeong-Ah K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코로나의 확산처럼 국가 위기 상황에 원격교육이 혼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원격교육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원격교육에 대하여 교사 및 학부모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지원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특수교사 총 1,462명과 장애학생이 학교에 재학 중에 있는 총 2,393명 학부모를 대상으로 2021년 3월 말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사의 경우에는 원격수업 플랫폼 및 콘텐츠, 교수-학습 지원, 원격학습 관리 및 제도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조사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학부모의 경우에는 장애학생의 원격수업 플랫폼 사용의 어려움, 원격수업 과정에서의 어려움, 학부모 대상 지원 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데이터는 기술 통계 분석과 다중응답 빈도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학교급에 따라 특수교사들의 요구사항이 다르지만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친화적이고 접근가능한 플랫폼, 장애유형별 다양한 콘텐츠, 콘텐츠 저작 환경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또한, 장애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원격수업의 교수학습을 지원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북, 매뉴얼 및 우수사례 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교사 및 장애학생 모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연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부모가 생각하는 효과적인 원격수업 방법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상호 이해할 수 있는 우수 사례 발굴과 공유를 통한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학생의 원격수업을 위해 플랫폼, 콘텐츠,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지원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장애학생 학교급 및 학교유형별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차이에 따른 효과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지원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In the post-corona era, when distance education must be performed in a state of a national crisis like the spread of Covid-19,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eeds and suppor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distance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distance education conduc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462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and a total of 2,393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school.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eds for a friendly and accessible platfor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various contents by type of disability, and content authoring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lthough the requirem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ffer by school leve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ebooks, manuals and best practices that can support and evaluat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raining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raised. Finally, it is identified that best practices should be shared to make both teachers and parents understand each other, since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methods that teachers and parents think.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derived requirements for support in terms of platform,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for remote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reover, th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and school typ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effective distance learning according to these differences.

      • KCI등재

        스마트 교육환경에서의 개인정보 활용 이슈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차현진(Hyun Jin Cha),박태정(Tae Ju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는 스마트 교육환경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활용에 대한 이슈(사 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보안 등)를 다룬 국내 외 논문을 살펴보고 연구 동향을 분석 하고 반성적 검토를 통해 앞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과 선정 기준에 따라 국외 논문 44편과 국내 논문 13 편을 최종적으로 수집하였고, 분석 준거로는 영역, 출판연도, 연구방법, 스마트교육 관련 ICT 트렌드, 연구결과, 교육맥락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연구 영역, 목적, 그리고 결과 측면에서 분석된 동향을 종 합적으로 해석한 결과 주로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는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 수 행되었으며, 교육 분야의 연구는 현저히 부족하였고 그나마 교육공학에서 연구가 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국내연구는 국외연구에 비해 양적인 수에서도 부족 했지만, 교육공학적 연구의 주제가 국외에서는 원리, 전략 또는 지침개발, 연구동향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 다양한 것에 반하여 국내는 윤리적 이슈를 다룬 교육 프로 그램 설계 및 교수설계 과정(안) 개발에 치우쳐져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는 국내에서 스마트 교육환경에서의 최신 ICT 트렌드를 반영한 개인정보 활용 및 보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고, 향후 스마트 교육환경과 국내 정책에 맞춤화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최신 트렌드에 서의 차별화된 특성을 반영한 윤리적 이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시사한 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reviewed the research trends by looking at th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 papers dealing with issues in using personal information in a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these analyses and reviews, this study aims to propose desirable research agenda of the related fields. To achieve this objective, 44 foreign papers and 13 domestic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area,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s, smart ICT trends, research results, and level of school.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ost of research on ethical issues had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computer science. Related stud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and the majority of educational field research was conduced in the educational technology. In particular, domestic research is small in number compared to foreign research, and moreover, in terms of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domestics are heavily weighted in favour of designing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lesson plans on ethics whereas foreign journals are varied such as developing principles, strategies, or guidelines, analyzing research trends, and analyzing correlation. In conclusion, domestically, research should to be conducted on ethical issues reflecting the state-of-the-art trends in a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guidelines considering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policies.

      • KCI등재
      • 신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촉진 및 방해 요인 분석

        차현진(Cha, Hyun-Jin),계보경(Kye, Bo-Kyung),박태정(Park, Tae-Jung)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NMC 는 매년 교육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신기술 및 트랜드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3 가지의 시간적 카테고리로 나누어 향후 1 년 이내, 향후 2-3 년내, 그리고 4-5 년 이내에 도입될 신기술로 분류하여 Horizon report 로 출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4 년내에 Horizon reports 에서 논의되고 있는 신기술과 국내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교육에 향후 2-3 년 이내 도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신기술을 총 21 가지를 선정하여 각각 기술 또는 기술적 트랜드별로 교육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촉진 요인과 방해요인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 총 27 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는 각 전문가들이 신기술 또는 트랜드별로 제시한 촉진 및 방해요인을 목록화하여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개카테고리로 유목화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향후 2-3 년내 향후 신기술 및 트랜드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신 기술을 설계-개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시스템으로 교육적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 윤리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및 실행 가치 요인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기술이 교육적으로 활용하는데 좀 더 사용자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단계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장애학생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 개발 연구

        차현진(Cha, Hyunjin),손지영(Son, Jiyoung)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1

        교육부는 2018년부터 초·중학교에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도입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개별화 학습 콘텐츠와 활동을 제공하고자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통합학급 환경에서 장애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이론을 기반으로 통합학급 환경에서 장애학생들이 활용 가능한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비장애학생과 함께 장애학생도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개발된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 초안을 바탕으로 현직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또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도출된 제작 지침을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4가지 장애유형에 따라 디지털교과서 활용 맥락을 보여주는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편적 학습설계가 반영된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은 장애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정책 수립을 촉진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adopted an educational policy about digital textbooks at K-12 schools since 2018,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individualize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However, digital textbooks has been yet prepared and deliver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guidelines on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recognizing the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textbook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K-12 inclusive classrooms for diverse students. In this respect, guidelines on digital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ases. The first draft of guidelines were reviewed with two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with special teachers. In addi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representing the rich educational contexts with digital textbooks applying the guidelines in a practical way for students with 4 types of disabiliti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nvironments related to the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