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달배설물 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2012-2016) -부산신항만-

        차현기 ( Hyoun-gi Cha ),김지혜 ( Ji-hye Kim ),윤명희 ( Myung-hee Yoon ) 한국환경과학회 2017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6 No.4

        The extensive construction works of container terminals progressed since 2006 was converted to small scaled construction works or reclaiming works since 2012 in Busan New Port area. To investigate changes in activity of otters with the change of construction work scales, the linear densities of spraints at 15 localities of 5 areas (I-V) near the Busan New Port construction areas were surveyed during the period from 2012 to 2016. As the results, the average linear density of spraints has a tendency to increase since 2014. That is, the linear densities of spraints have increased at the area I, III and V where the reclaiming works have been progressed, although have decreased or unchanged in the areas , and where small scaled construction works have been progressed.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were habitats at the Honamdo in the area II and the Yeondo in the area IV, otters seemed to restore their activities around the habitats as the center regardless of the reclaiming works.

      • KCI등재

        등산객의 활동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 군집의 활동 패턴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황현수,차현기,김내영,서형수 한국환경생태학회 20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7 No.6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와 등산객의 일중 활동 주기의 비교를 통해 시간적 규모에 따른 포유류 군집의 잠재적 위험성 검증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백두대간보호지역의 능선부를 대상으로 무인센서카메라를 활용하여 등산객과 포유류의 활동 주기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담비와 다람쥐의 활동 주기는 연중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높게 중첩되었다. 또한, 노루와 고라니는 봄에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높게 중첩되며, 멧돼지는 겨울에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높게 중첩되었다. 삵과 너구리, 오소리의 일중 활동 주기는 전체기간동안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중첩되지 않았다. 포유류의 일중 활동 주기는 종 특이적 행동 패턴과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그에 따라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중첩에 차이를 보였다. 종 특이적 행동 특성과 계절에 따른 행동의 차이로 인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간섭에 대한 영향은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결과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의 종 특이적 행동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더불어 종과 계절에 따른 포유류 군집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관리 및 보전 방안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aily activity patterns overlap between hikers and mammals from 2015 to 2019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haviors between hikers and mammals, we set the camera traps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Daily activity patterns of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and Siberian chipmunk (Eutamias sibiricus) were highly overlapped with hiker total study periods. Moreover, daily activity patterns of Siberian roe deer (Caperohus pygargus) and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were highly overlapped with hikers only in spring. In winter, daily activity patterns of wild boar (Sus scrofa) were overlapped with hikers. However,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and Eurasian badger (Meles leucurus) did not significantly overlap with hikers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daily activity patterns of 8 mammals differed by species-specific behavior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verlap of daily activity patterns between mammals and hikers were differed in each season. Differences in daily activity pattern overlap between mammals and humans may lead to differences in human impact on mammal populations. Informa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hikers and mammals on species-specific and temporal-specific behavior could be basic ecological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mammal populations and their habitats.

      • KCI등재

        도서지역 관리체계 변경에 따른 동물자원의 변화(1998~2016) 연구 - 인천 9개 도서(각흘도, 부도, 어평도, 서만도, 소초지도, 뭉퉁도, 소통각흘도, 신도, 할미염)에 대하여

        김우열,신현철,송세규,차현기,최승세,박진영,차진열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is study surveys conducted on the same nine islands (1. Gagheuldo, 2. Budo, 3. Eopyeongdo, 4. Seomando, 5. Sochojido, 6. Mungtungdo, 7. Sotong-gagheuldo, 8. Sindo, 9. Halmiyeom) in the Incheon area (1st: 1998 and 2001, 2nd: 2007, 3rd: 2016) was studied using the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status of terrestrial vertebrates and to investigate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living resources pertaining to land animal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irradiation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protected area. As a result, a total of 37,488 birds of 100 species were recorded. As a result of thorough checking on each island, the areas with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were recorded. The highest number was 39 species on Budo, Eopyeongdo, and Seomando. The highest number of total population was 23,630 on Seomando. A total of 10 species of land vertebrates excluding birds were identified on 9 islands based on the 1st,2nd,and 3rd accumulative studie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number of black-tailed gulls by is land and survey order,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opulation calculation, the number of breeding black-tailed gulls was the highest on Seomando with 23,000 in 2016. Similarly, the largest increase was also seen there in the 2nd and 3rd stages compared to the first survey period. Black-tailed gulls on Eopyeongdo were not noted on the 1st .and then 4,000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the second. However, in the 3rd, 19 individuals were surveyed and thus a a sharp decrease was recorded. This may be due to a lack of specific investigations for the breeding population. A total of 5 species (3 mammals and 2 reptiles) were recorded in the 1st survey, 6 species (3 mammals and 3 reptiles) were recorded in the 2nd survey, and 6 species (3 mammals and 3 reptiles) in the 3rd survey.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identified in the study period were on Eopyeongdo (6 species), and rats were the prevalent species. In every survey, the larger the islands area, the higher the number of birds. In terms of the number of orders, it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the 2nd and 3rd (more than three fold) in a designated habitat protection area when compared to the 1st (less than twice) survey. Compared to the first, secondary and tertiary irradiation intensity can be thought of as a natural consequence. However,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es by each survey order,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among the orders of survey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 of island area seems to be a good effect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plan and the intensity of biological survey.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habitat conservation and protection policies disproves the increase in ecosystem stability that is beneficial to biodiversity and habitat stability, and is thought to have a positive synergistic effect. 본 연구는 인천권역에서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 되었다(1차: 1998년과 2001년, 2차: 2007년, 3차: 2016년). 연구는 동일한 도서지역 9개(1. 각흘도, 2. 부도, 3. 어평도, 4. 서만도, 5. 소초지도, 6. 뭉퉁도, 7. 소통각흘도, 8. 신도, 9. 할미염)에 대해 진행되었다. 육상동물의 현황을 알아보고 보호지역 설정에 따라 달라지는 조사 강도에 따라 육상 척추동물의 생물 자원 증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류는 총 100종 37,488개체수가 기록되었다. 도서 지역별로 확인한 결과 가장 많은 종수를 기록한 지역은 어평도와 서만도, 부도가 39종 같은 종수로 가장 높은 종수를 기록하였고 개체수는 서만도(23,630개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체수 산정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괭이갈매기 개체수를 섬별, 조사차수별 현황을 확인한 결과 서만도에서 2016년 기준 23,000개체로 가장 많은 괭이갈매기 집단 번식이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무인도서인 1차 조사시기에 비해 2차, 3차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으로 어평도는 1차에 괭이갈매기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2차에 4,000개체가 기록되었다. 그러나 3차에 19개체로 조사되어 급격한 감소를 기록하였다. 이는 번식개체군을 위한 특정 조사시기를 놓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를 제외한 육상동물은 전체 9개 섬에서 1, 2, 3차 누적 기준 총 10종이 확인되었다. 1차 조사 결과 총 5종의 서식(포유류 3종, 파충류 2종)이 기록되었고, 2차 조사의 경우 6종(포유류 3종과 파충류 3종)이 기록되었으며, 3차 조사의 경우 6종(포유류 3종과 파충류 3종)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전체 기간동안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된 도서는 어평도(6종)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도서에서 출현한 종은 집쥐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 차수에서 도서지역의 면적이 클수록 조류 종수가 높게 나타났다. 차수별로 보면 1차(2회 이하) 조사한 강도에 비해 서식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2차와 3차(3회 이상)에서 의미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1차에 비교해서 2차와 3차는 조사강도가 1회 또는 2회 이상 추가되어 당연한 결과로 생각될수 있다. 그러나 2차와 3차 조사 시기는 특정도서 지정된 이후의 정밀조사로서 동 년 내 조사횟수가 같거나 많음에도 불구하고 조사차수별 종수 증감의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생물조사 횟수와는 다른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 요인이 적용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도서지역의 보호지역 지정은 정책적으로 관리 방안과 생물조사의 강도가 강해질 수 있는 좋은 효과로 보이며 서식지 보전과 보호 정책 적용이 생물다양성과 서식지 안정에 유리한 생태계안정성 증가를 반증하는 결과이며 긍정적 상승효과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특정도서의 외래식물 분포 현황

        박영준,최동희,김다은,서형수,차현기,신현철 (사)지오에이아이데이터학회 2024 GEO DATA Vol.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lien species to the specificislands monitor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South Korea, based on the National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of Islands from 2006 to 2020. In the study area, atotal 54 taxa, consisting of 17 family, 45 genera, 53 species, one variety, were found. Among them, two species classified as Ecosystem-disturbing species, Humulusjaponicus (H. japonicus) Siebold & Zucc. and Ambrosia artemisiifolia (A. artemisiifolia)Linnaeus were found.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on 127 islands (49.4%), H. japonicus were found on 27 and A. artemisiifolia on six specific islands. The spatialstatus of alien flora on the specific islands monitor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our data can be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of plant species diversity on the isl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