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용의 질서와 연관

        진태원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철학논집 Vol.22 No.-

        이 논문은 상상계 개념을 스피노자 인간학의 핵심 개념으로 제시하면서 그것이 지닌 기본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스피노자는 상상에 대해 비판적인 합리주의 철학자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사실은 상상계는 스피노자 인간학 및 정치학의 기초 범주 중 하나다. 스피노자에게 상상은 자연과 구분되는 인간의 고유한 삶의 영역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규범적 실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해준다. 그러나 상상의 이러한 실정성은 상상이 지닌 부정적 측면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인간은 "국가 속의 국가(imperium in imperio)"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상상은 그것이 지닌 투사의 힘에 의해 인간의 사고와 행위를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목적론과 미신이라는 인간의 예속을 낳는 조건이 된다. 이처럼 상상은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원초적 조건을 이루고 있지만, 동시에 인간의 수동성과 예속이 강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상상의 양면성은 스피노자의 인간학과 실천철학 전체를 관통하는 근본 원리다.

      • KCI등재

        변용과 연관의 인과론―스피노자 인과 이론에 대한 한 가지 해석

        진태원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7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the Spinozist causality through the concepts of affectio and of connexio. The Spinozist causality has been understood as an immanent causality according to the proposition 18 of De Deo (“God is the immanent, not the transitive, cause of all things”). The problem of this interpretation is that the majority of the commentator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manent causality and transitive causality as a dual, or at least exterior relationship. But this interpretation make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implicit connection between Spinoza's philosophy and the modern physics established by Galilei and Newton, and also the ethical significance of the Spinozist conception of causality. In order to resolve this difficulty, we need to revisit the causality in the proposition 28 of the 1st part of the Ethics. It has been considered as an example of transitive or linear causality in opposition to the immanent causality in the proposition 18. I demonstrate that it is rather a causality which is relevant to the relativistic causality of modern physics, so it can be conceived as a non-linear, connective(or structural) causality. Contrary to the most interpretations which oppose the immanence to the transitivity, the connective causality could show that the immanent causality is not different to the exterior co-relations between singular things, and that the basis of radical anti-teleology of Spinoza's philosophy is to be found here. The second thesis of this paper is that with the concept of affection, we can understand that the essence of a singular thing is a product of the relations with the other singular things, so that the interiority of it is constituted by the exteriority.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avoid the confusion between the affection and the passivity, if we want to elucidate the ethical significance of the Spinozistic conception of causality. 이 논문은 스피노자의 인과론을 변용과 연관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피노자 인과론은 “신은 만물의 내재적 원인이지 타동적 원인이 아니다”라는 『윤리학』 1부 정리 18을 따라 내재적 인과론으로 이해되어 왔다. 문제는 대개의 주석가들이 내재적 원인과 타동적 원인의 관계를 이원적으로, 또는 적어도 상호 외재적인 것으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스피노자 철학이 갈릴레이와 뉴턴에 의해 성립한 근대 물리학과 맺고 있는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게 할뿐더러, 스피노자 인과론의 윤리적 함의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게 만든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은 첫째, 흔히 타동적 인과관계의 전형으로 해석되는 『윤리학』 1부 정리 28의 인과론은 근대 물리학의 상대론적 인과론과 합치하는 것이며, 연관의 인과성(또는 구조적 인과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입증한다. 연관의 인과성은 내재성과 타동성을 추상적으로 대립시키는 기존의 해석들과 달리, 스피노자의 내재적 인과론은 독특한 실재들의 외재적 상호 연관과 다르지 않으며, 스피노자 철학의 근원적인 반목적론적 성격은 여기에 기초를 둔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스피노자의 변용 개념은 독특한 실재들의 본질은 다른 실재들과의 관계, 따라서 외재성의 산물이라는 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스피노자 인과론의 윤리적 함의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변용과 수동성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국민이라는 노예? 전체주의적 국민국가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진태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民族文化硏究 Vol.51 No.-

        이 글은 최근 국내 역사학계 및 국문학계에서 논의되는 전체주의적 국민국가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국민국가는 그 자체로 전체주의적 괴물이며, 국민이 된다는 것은 전체주의 국가의 노예로 살아간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비판은 과도한 민족주의 비판으로서는 의미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국민국가에 대한 설득력 있는 비판과 대안을 모색하는 데 오히려 장애가 된다. 첫째, 이것은 국민국가를 예속과 배제의 체계로만 간주한다. 둘째, 이러한 비판은 권력에 대한 추상적 관점을 함축한다. 셋째, 이러한 입장에 따르면 국민국가에는 주체화는 존재하지 않고 예속화만 존재할 뿐이다. 넷째, 이들은 국민국가의 역사에 대한 인식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들에 따르면 국민국가는 그 시작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똑같은 전체주의적 국가였을 뿐이다. 따라서 국민국가에 관한 좀더 정확한 비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이데올로기에서 대중의 존재론적 우위에 대한 인식 및 권력의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성격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국민국가의 모순들이라는 관점에서 국민국가의 역사에 내재적인 갈등과 모순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recent discussions of the Totalitarian Nation-State. Some scholars argue that nation-state as such is the totalitarian monster and that to be a national member is not different from to live as a slave. Although this critique has a merit to take a critical stance towards the excessive nationalism, ironically enough it makes difficult to produce an effective critique of the nation-state. First, it counts nation-state merely as a system of subjections and exclusions. Second, it shows an abstract conception of power. Third, according to this conception, there is no subjectivation but subjection in the nation-state. Fourth, it transforms all the nation-states into a totalitarian stat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democratic welfare state and the totalitarian one. It makes, therefore, impossible to study the history (or histories) of nation-state. My conclus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histories of the nation-state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tradictions of it, if we want to make a persuasive critique of the nation-state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i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