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좌심실 판막질환 수술 후 동반된 삼첨판패쇄부전증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웅,김환욱,이종호,권종범,조민섭,윤정섭,문석환,심성보,박건,김치경,조건현,왕영필,이선희,곽문섭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3

        Prognosis Factors of Tricuspid Regurgitation after the Operationfor Left-sided Valvular Heart DiseaseUng Jin, M.D.*, Hwan Wook Kim, M.D.*, Jong Ho Lee, M.D.*, Jong Bum Kweon, M.D.*Min Seop Jo, M.D.*, Jeong-Seob Yoon, M.D.*, Seok Whan Moon, M.D.*, Sung Bo Sim, M.D.*Kuhn Park, M.D.*, Chi Kyung Kim, M.D.*, Keon Hyun Cho, M.D.*, Young Pil Wang, M.D.*Sun He Lee, M.D.*, Moon Sub Kwack, M.D.* 배경: 좌심실 판막질환에 동반한 삼첨판패쇄부전증은 주 병소에 따른 2차적 병소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좌심실 주 병소의 성공적인 수술 이후에도 삼첨판패쇄부전증이 호전되지 않고, 심기능 부전의 원인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현재까지 좌심실 판막질환에 2차적으로 발생한 삼첨판패쇄부전증의 경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수술 적응증 또한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폐동맥압과 좌심실구출률, 삼첨판륜성형술이 삼첨판패쇄부전증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좌심실 판막질환의 수술 시 동반한 삼첨판패쇄부전증의 정확한 수술 적응증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삼첨판패쇄부전증을 동반한 좌심실 판막질환으로 수술을 받았던 환자들 중 1년 이상 심초음파 검사로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던 114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모든 증례는 심초음파 소견으로 삼첨판패쇄부전증 정도, 폐동맥압, 좌심실구출률을 구하였으며, 각 결과를 수술 전과 최종 추적관찰 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14예의 환자중 삼첨판륜성형술을 시행하였던 43예에서는 삼첨판패쇄부전증의 정도가 호전된 경우가 42예(97.7%)였으나, 삼첨판패쇄부전증에 대한 시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71명의 환자에서는 호전이 29예(41%), 변화없음이 32예(45%), 악화가 10예(14%)로 두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p<0.05). 삼첨판패쇄부전증에 대한 수술을 하지 않았던 군에서 삼첨판패쇄부전증이 악화된 환자들과 악화되지 않았던 환자들간의 폐동맥압과 좌심실구출률의 차이는 없었다. 폐동맥압과 좌심실구출률의 수술 전후 변화량은 삼첨판패쇄부전증의 호전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폐동맥고혈압과 좌심실구출률로 좌심실 판막질환과 동반된 삼첨판패쇄부전증의 경과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하며, 삼첨판륜성형술을 시행한 경우 삼첨판패쇄부전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좌심실 판막질환으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삼첨판패쇄부전증이 발견되면 그 정도와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삼첨판륜성형술을 시행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중증의 삼첨판패쇄부전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신장이식환자의 관상동맥우회로술 -2례 보고-

        진웅,윤정섭,조건현,곽문섭,김세화,Jin, Ung,Yoon, Jeong-Seob,Jo, Keon-Hyon,Kwack, Moon-Sub,Kim, Se-W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7 No.1

        Doing CABG in patient with renal transplantation requires special concern to keep and preserve renal function safely during and after operation.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ABG for treatment of myocardial ischemia. who underwent renal transplantation 2 and 3 years ago respectively. The first patient received single reversed saphenous vein graft at LAD and second one received double saphenous vein graft at LAD and OMI. Peri & postoperative urinary volume and renal function test were comparable with preoperative status in both cases. Although abnormal lipid metabolism due to long term use of immunosuppressive regimen act a causative role in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oronary artherosclerosis in renal transplantation patient, CABG can be done safely with some precaution including maintenance of adequate mean blood pressure and blood level of immunosupressive regimen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SCOPUSKCI등재

        영아에서 발생한 식도열공탈장 수술치험 -1례 보고-

        진웅,이선희,김우찬,박재길,곽문섭,김세화,Jin, Ung,Lee, Sun-Hee,Kim, Woo-Chan,Park, Jae-Kil,Kwack, Moon-Sub,Kim, Se-W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7 No.1

        The esophageal hiatal hernia is a rare disease in Korea especially in children and infant. We experienced a case of type III esophageal hiatal hernia in 9 months female. She had no specific past history and familial history except recurrent URI and postprandial habitual vomiting. The chest X-ray and Barium swallowing showed herniated stomach in Rt. thoracic cavity and posterior mediastinum. We performed modified Belsey Mark IV procedure with using the 3-0 and 4-0 Pledgeted Ticrons. In operative field, the stomach cardia portion was herniated into the Rt.thoracic cavity and posterior mediastinum with elevation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above the diaphragm. But there was no evidence of short esophagus and combined anomaly. The postoperative courses were uneventful and good without specific complication for about 5 months to this point.

      • SCOPUSKCI등재

        St.Jude 기계판막을 이용한 인공심장판막 치환의 외과적 고찰

        진웅,나석주,조규도,김치경,조건현,왕영필,이선희,곽문섭,김세화,이홍균,Jin, Ung,Rha, Suk-Joo,Cho, Kyu-Do,Kim, Chi-Kyung,Jo, Keon-Hyon,Wang, Young-Pil,Lee, Sun-Hee,Kwak, Moon-Sub,Kim, Se-Wha,Lee, Hong-Kyu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7 No.4

        Total 400 St.Jude Medical Bileaflet Valves were implanted in 336 pts from January 1983 to June 1993; 64 were aortic, 205 were mitral, 64 were double valve and 3 were tricuspid position. The follow up period extended from 6 months to 10 years[mean 24.3 months]. Male to female ratio was 1:1.7. There were total 27 deaths[cardiac related 20, cardiac non-related 7]. Overall mortality was 2.9%/pt-yr. There were 10 early deaths[3.0%] and 10 late cardiac related deaths [3.0%]. Prosthetic valve 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in 19 patients[5.7%] and among them, seven died; four died of thromboembolic events, two died of anticoagulants therapy related hemorrhagic complications and one died of bacterial endocarditis. NYHA class improved significantly especially in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double valve replacement. In AVR cases, the mean NYHA was 2.8 preoperatively and 1.3 postoperatively. And in DVR cases, 3.3 preoperatively and 2.2 postoperatively. The decision to employ a particular prosthesis was made according to the anticipated or known complications of the valve. The St.Jude Medical Valve retains all the hazards of other mechanical valves, most notably, thromboembolism. But the hemodynamic performance of St.Jude Medical Valve compared most favorably with other substitute valves in many reports. 0ur experience didn`t show any differences compared other authors in terms of valve related complication. So we concluded St. Jude Medical Valve can be primarily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artificial valve except in the patients when the usage of anticoagulant therapy is contraindica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흰쥐에서 RGDS tetrapeptide가 소 심낭 이식절편의 피하이식 석회화에 미치는 영향

        진웅,이주현,김치경,이선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2

        =The Effects of RGDS Tetrapeptide on the Calcification of the Bovine Pericardium Transplanted Subcutaneously in Rats 배경: 모든 조직판막은 면역학적인 불활성화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하여 이식 전 처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조직 판막은 이식 후 점차적인 석회화 과정을 보이며, 결국 판막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최근 석회화 과정의 병리기전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식된 조직판막의 석회화 부위에서 정상 골성석회화에 관련하는 결합단백이 검출되기에 이르렀다. 본 실험은 이러한 결합단백의 공통 결합부인 RGD(Arg-Gly-Asp)를 갖는 RGDS tetrapeptide를 이식 전 조직에 처치하여 이식 후 숙주의 골성석회화 관련 결합단백의 결합을 억제하는 것이 석회화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대상 및 방법: 실험은 소 심낭을 0.6% 글루타알데하이드에 처치한 후 이를 작은 절편으로 나누어 1군은 생리식염수에서 60분간 처리, 2 군은 RGDS와 같은 분자량을 갖는 0.5% GRSD tetrapeptide에서 60분간 처리, 3군은 0.5% RGDS에서 30분간 처리, 4군은 0.5% RGDS에서 60분간 처리, 5군은 0.5% RGDS에서 120분간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소 심낭절편을 흰쥐의 복부 피하에 이식하였으며, 30일 후 채취하여 방사선 검사와 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이식절편의 석회화 정도를 판정하였다. 결과: 이식절편을 방사선 촬영 후, 측정한 음영도는 3, 4, 5군에서 48.00±3.57, 43.67±2.31, 42.58±2.47로 1, 2군의 68.42±3.06, 64.25±5.58과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1군과 2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5). 생화학적 검사에서 이식절편의 칼슘 총량은 1군 33.09±6.59mg, 2군 28.12±5.50mg, 3군 25.42±7.67mg, 4군 20.51±5.11mg, 5군 15.43±4.25mg을 보여, 5군이 1, 2, 3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석회화 정도가 감소되어 있었다(p<0.05). 1군과 2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88).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1, 2군에서 현저한 칼슘의 침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 4군은 적은 양의 칼슘침착을 보여주는 반면, 5군에서는 뚜렷한 칼슘 침착 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이식 전 RGDS tetrapeptide를 처치하는 것이 흰쥐의 복부 피하에 이식된 소 심낭절편의 석회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흉부식도 파열에 대한 외과적 치험 - 4례 보고 -

        진웅,박재길,이선희,곽문섭,Jin, Ung,Park, Jae-Kil,Lee, Sun-Hee,Kwack, Moon-Sub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9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5 No.1

        Perforating injury of the thoracic esophagus leads to an almost Immediate exposure of the mediastinum to both oral secretions and refluxed gastric contents. And necrotizing inflammatory response developed inevitably. So, without proper managements, mediastinitis results in severe dehydration or septic conditions, and consequently the life of the patient can be threaten. We experienced recently 4 cases of esophageal perforation. Three cases were Boerhaave's syndromes and the other one was instrumental perforation in patient with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Curative surgical procedures were done in 3 cases and the drainage procedure was only possible in the other one due to hepatic failure. And the patient with the drainage management was dead.

      • SCOPUSKCI등재

        중증 폐기종 환자에서의 폐용적 감축술, 7례

        진웅,이선희,김시훈,왕영필,조규도,박재길,곽문섭,김세화,Jin, Ung,Lee, Sun-Hee,Kim, Si-Hoon,Wang, Young-Pil,Cho, Kyu-Do,Park, Jae-Kil,Kwak, Moon-Sub,Kim, Se-W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6

        배경: 폐용적 감축술은 말기 폐기종환자의 치료에 폐장이식의 대치술 혹은 전단계 시술로 최근 이용되고 있는 술식이다. 또한 심한 폐기종환자에서 종양이 동반되는 경우, 종양절제술과 동반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폐종양 절제술을 동시 시행한 2례를 포함하여 7례의 폐용적 감축술후 평균 21개월간의 추적 관찰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흉부외과에서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6월까지 수술당시 폐 종양이 의심되었던 환자 2례를 포함하여 만성폐기종환자 7명에서 폐용적 감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검사는 3개월, 6개월, 1년, 2년에 각각 시행하였으며 현재까지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후 사망은 술후 13개월에 뇌 전이를 동반한 평편상피암이 좌상엽에서 발견된 환자 1례에서 있었다. 나머지 6례의 환자는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 중으로 현재까지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결론: 폐용적 감축술은 심한 폐기종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며 앞으로 적절한 적응증이 확인되고 장기성적이 보고되는 등의 계속적인 연구 결과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폐 기능의 여유가 없는 폐기종환자의 초기 폐종양치료에 술후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하여 종양절제술과 동시에 폐용적 감축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se days, lung volume reduction surgery (LVRS) is used as an alternative or a bridge operation to lung transplantation in treating patients with severe emphysema. The procedure can be used in patients with pulmonary nodules combined with severe emphysema. We report the results of 21 months follow up after lung volume reduction surgery in 7 cases including 2 cases of concurrent resection of pulmonary nodules. Material and Method: Seven patients with emphysema, including 2 cases of preoperatively suspected lung cancer were operated with LVRS technique between July 1996 and June 1997. Result: Postoperative mortality was observed in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LUL with brain metastasis, detected at postoperative 13months. Average of 21months(19-25months) follow up was done for other cases without specific events. Conclusion: LVRS is a useful operatio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evere emphysema, but further evaluation should be done about the long term results and precise criteria for patient selection. Simultaneous LVRS and tumor resection could be done in patients with emphysema with marginal reserve in the hope of maximizing postoperative lung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