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주거용 건물의 특성에 따른 단위면적당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지창윤(Ji, Chang-Yoon),신성은(Shin, Sung-Eun),최민석(Choi, Min-Seok),박차현(Park, Cha-Hyun)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2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intensity (GEI) of residential buildings (detached houses, row house, multiplex house, and apartment complex) in Seoul.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s data on GHG emissions and characteristics(type, scale, construction year, and heating type) of 245,833 cases ana complements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R.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more recent the buildings were constructed, the smaller the GEI is. In particular, the most dramatic decline of GEI was observed in single-family homes. Nevertheless, the GEI of single-family houses was higher than that of apartment complexes. In the case of apartment complex, the GEI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floor area. In addition, the GEI of the apartment complex using city gas heating was lower than those using district heating. The results show the validity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y for large buildings. In addition, it is also expected to help establish new policies.

      • KCI우수등재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DB 기반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지창윤(Ji, Chang-Yoon),최민석(Choi, Min-Seok),권오인(Gwon, Oh-In),정하림(Jung, Ha-Rim),신성은(Shin, Sung-Eun) 대한건축학회 202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6 No.4

        This study analyzes in detail greenhouse gas emissions in building sector. To this end, this study used data on build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building type, region, and construction year) and monthly energy consumptions (including electricity, city gas, and district heat) for all buildings from 2015 to 2018.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Building Energy Database and the energy consumptions were converted in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The total amount of GHG emissions from the building sector has increased steadily from 2015 (118.1MtCO2eq.) to 2018 (132.6MtCO2eq.). On the other hand, the more recently constructed buildings had lower GHG intensities. This result shows that strengthening building design criteria wa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s in buildings, and that the increased buildings contributed to increasing GHG emissions of the building sector. In addition, sales facilities are thought to have the largest reduction potential as they had the highest amount of GHG emissions and GHG intens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new policies for GHG reduction in building sector as well 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isting policies.

      • KCI등재

        국가건물에너지 통합DB의 데이터 신뢰성 검증 방법 개발 및 적용

        지창윤(Ji, Chang Yoon),최민석(Choi, Min Seok),신성은(Shin, Sung Eun),오승엽(Oh, Seung Youb) 한국부동산원 2017 부동산분석 Vol.3 No.2

        에너지성능이 우수하거나 열등한 건물을 규정하거나 건물 에너지사용량 감축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등 건물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와 정책 수립을 목적으로,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DB는 구축되었다. 통합DB를 이용한 분석의 결과가 신뢰성을 확보하고 정책 수립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통합DB의 신뢰성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확성, 완전성, 유효성 측면에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여줄 수 있는 4단계의 데이터 검증방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두 번째 단계는 오차율을 바탕으로 수집 · 구축되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한다. 세 번째 단계와 네 번째 단계는 각각 매칭률과 유효율을 바탕으로 구축된 데이터의 완전성과 유효성을 보여준다. 사례분석으로 2015년 1월 데이터를 제시한 검증방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의 수집 및 통합과정에서는 오류가 없었다(1, 2단계). 최종적으로 건물,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의 데이터 유효율은 각각 89.6%, 76.6%, 91.7%, 92.3%으로 산출되었다. 검증방법은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보(오차율, 매칭률, 유효율)는 물론, 구축 및 분석 과정에 개선이 필요한 사항까지도 보여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검증방법은 통합DB의 신뢰성 확보와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National Building Energy Integrated Database (NBEIDB) is used for determining buildings with high or low energy performance 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for reduc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analysis results based on NBEIDB and to use the results in policy making,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data reliability in NBEIDB. This study presents a data validation method consisting of four steps. Steps 1-2 validate the accuracy of collected and integrated data, based on the error rate. Step 3 shows the completeness of data in NBEIDB in terms of matching rate. Finally, Step 4 shows data validity based on valid rate.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using January 2015 data, there was no error found in the processes of data collection and integration (Steps 1 and 2). Finally, the valid rates for building, electricity, city gas, and district heating data were calculated as 89.6%, 76.6%, 91.7%, and 92.3%, respectively. The validation method can show not only information for ensuring data reliability (error rate, matching rate, and valid rate), but also improvements required to be made in the processes of data analysis and integ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for valida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ecuring the reliability of NBEIDB and utilizing the integrated database.

      • KCI등재

        전과정평가(LCA) 방법을 이용한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 방법

        홍태훈,지창윤,정광복,Hong, Tae-Hoon,Ji, Chang-Yoon,Jeong, Kwang-B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5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함께 건설산업에서도 건축물로 인한 환경영향을 저감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이산화탄소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지구온난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영향이 존재하며, 해외에서는 이러한 환경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로 인한 환경영향을 보다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6가지의 환경영향 범주를 정의하였다. 즉,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자원고갈,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산화를 환경영향 범주로 정의하고, 평가 기준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영향 범주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가지 비교 설계안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행한 결과, 지구온난화만을 평가한 것과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지구온난화 지수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2안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6가지 영향범주 모두를 평가한 결과에서는 1안이 우수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지구온난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영향을 포함하여 평가하는 것이 보다 타당한 결과 도출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6가지 환경영향 범주를 사용한다면, 보다 타당한 결과의 도출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Most of the studies on reduction of buildings' environmental burde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been focused on carbon dioxide emiss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lobal warming, acidification, and etc. which are considered by many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and suggested six impact categories and the principles to assess each impact for the assessment of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mpacts of buildings. The six impact categories are abiotic depletion, global warming, ozone layer depletion,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and photochemical oxidation. A case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wo structural design alternative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assessing the six impact categories. That is, the results of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the six impacts propos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only global warming potential, the second design alternative using 24MPa concrete was chosen as a better alternative, while the first design alternative using 21MPa concrete was resulted as a better alternative when six impact categorie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mean that the assessment of various environmental impacts is an appropriate and reasonable approach and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fers more reliable results of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강도에 따른 구조용 강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 구축

        홍태훈,지창윤,장민호,Hong, Tae-Hoon,Ji, Chang-Yoon,Jang, Min-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4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는 탄소배출량을 2020년까지 BAU 대비 3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산업 분야에서는 건축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감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건축물에 대한 정확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를 위해서는 건축자재에 대한 상세한 수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현재까지는 대표적인 자재의 데이터만 제시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시공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인 철근과 H형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강도 및 규격에 따라 상세한 수준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하는 산업연관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강도 및 규격에 따른 구조용 강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활용하면, 다양한 구조설계안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long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policies and regulations to reduc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es, targeting a 30% reduction of $CO_2$ compared to business-as-usual levels by 2020. Thu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construction field to control and reduce the amount of $CO_2$ emitted from buildings. $CO_2$ emission from the building construction could be obtained by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LCA) methodology. In LCA, it is essential to have life cycle inventory(LCI) data of construction materials consisting of $CO_2$ emission data that have been defined and examined in a detailed way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and detailed $CO_2$ emission of buildings. To date, however, the LCI data have been acquired only for the representative material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propose detailed $CO_2$ emission data for steel rebar and H-beam, which are the essential structural steel materials, by strength and type.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is study used Input-Output LCA methodology which is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 It is believed that the $CO_2$ emission data of steel materials acquired from this study would allow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CO_2$ emission for diverse structural design alternatives.

      • SCOPUSKCI등재

        큐어링 후 저장에 따른 고구마 저장뿌리 단백질체의 비교분석

        신호용,지창윤,김호수,정정성,최성환,곽상수,김윤희,이증주,Ho Yong Shin,Chang Yoon Ji,Ho Soo Kim,Jung-Sung Chung,Sung Hwan Choi,Sang-Soo Kwak,Yun-Hee Kim,Jeung Joo Lee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23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50 No.1

        고구마(Ipomoea batatas L. Lam)는 영양소, 가공 식품, 동물 사료 및 색소 재료의 유용한 공급원으로 이용 가능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대표적인 뿌리 작물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의 저장 뿌리는 수확 후 저장 기간 동안 다양한 미생물과 질병에 의한 부패에 노출되기 쉽다. 수확 후 큐어링은 저장기간 동안 상처를 치유하고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큐어링과 연관된 분자적 기작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확인하기 위해, 큐어링 처리 후 저장기간 동안 단백질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33℃ (큐어링) 및 15℃ (대조군)에서 3일 동안 처리하고 8주의 저장 기간이 지난 후 2D 전기영동 분석을 통해 단백질 spot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31개 단백질 spot의 발현량이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15개의 단백질 spot을 동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동정된 단백질 중 alphaamylase (spot 1)는 큐어링 처리구에서만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probable aldo-keto reductase 2-like (spot 3) 및 hypothetical protein CHGG_01724 (spot 4)는 큐어링 및 대조구에서 동시에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나, sporamin A (spot 10)는 큐어링 및 대조구에서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한편, 대조구에서 enolase (spot 14)는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나, chain A of actinidin-E-64 complex+ (spot 19), ascorbate peroxidase (spot 22) 및 여러 sporamin 단백질들(spot 20, 21, 23, 24, 27, 29, 30 및 31)은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구마 저장 뿌리에서 큐어링 처리와 관련된 단백질의 동정 및 수확 후 저장 기간동안 병 저항성과 관련된 기작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향후 저온 저장 능력이 향상된 신품종 개발을 위한 후보 유전자의 도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root crop and a valuable source of nutrients, processed foods, animal feeds, and pigment materials. However, during post-harvest storage, storage roots of sweet potatoes are susceptible to decay caused by various microorganisms and diseases. Post-harvest curing i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healing wounds and preventing spoilage by microorganisms during storage.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proteins involved in the molecular mechanisms related to curing and study proteomic changes during the post-curing storage period. For this purpose, changes in protein spots were analyzed through 2D-electrophoresis after treatment at 33℃ (curing) and 15℃ (control) for three days, followed by a storage period of eight weeks. As a result, we observed 31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 spots between curing and control groups, among which 15 were identified. Among the identified proteins, the expression level of 'alpha-amylase (spot 1)' increased only after the curing treatment, whereas the expression levels of 'probable aldo-keto reductase 2-like (spot 3)' and 'hypothetical protein CHGG_01724 (spot 4)' increased in both the curing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 expression level of 'sporamin A (spot 10)' decreased in both the curing and control treatments. In the control treatment, the expression level of 'enolase (spot 14)' increased, but the expression levels of 'chain A of actinidin-E-64 complex+ (spot 19)', 'ascorbate peroxidase (spot 22)', and several 'sporamin proteins (spot 20, 21, 23, 24, 27, 29, 30, and 31)' decreas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identify proteins related to the curing process in sweet potato storage roots, understand the mechanisms related to disease resistance during post-harvest storage, and derive candidate genes to develop new varietie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storage capabil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