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부동산원의 법적 기능과 향후 입법과제

        허강무 한국부동산원 2020 부동산분석 Vol.6 No.2

        2016년 한국감정원법이 제정되면서 한국감정원은 감정평가업계와 경쟁관계에 놓여 있던 감정평가 수주 업무를 중단하였으며, 이후에는 부동산 가격 공시와 통계, 조사 등 공적 사무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기관 명칭이 감정평가의약칭인 ‘감정’이라는 용어가 포함되어 감정평가시장의 혼란을 초래한다는 감정평가업계의 지속적인 문제제기에 따라개정의 필요성이 증폭되어 왔다. 이에 국회는 2020년 5월 20일 본회의를 개최하고, 한국감정원법을 한국부동산원법으로 개정하였다. 향후 한국부동산원의 출범은 부동산시장과 산업정책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논문에서는 한국부동산원법의 입법경위 등과 한국부동산원의 주요 법적 기능을 살펴보고, 2021년 한국부동산원출범을 앞두고 향후 검토되어야 할 입법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With the enactment of the Korea Appraisal Board Act in 2016, the Korea Appraisal Board stopped appraisal work, which had been in competition with the appraisal industry, and focused on public affairs such as real estate price announcement, statistics, and surveys. However, as the industry continued to raise an issue with the Board’s name, claiming that the term “appraisal” still caused confusion in the appraisal market, the need for revision increased. In response,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Korea Real Estate Board Act, which replaced the Korea Appraisal Board Act, in a plenary session on May 20, 2020. Accordingly, the launch of the Korea Real Estate Board (tentative name) is expected to mark a turning point for the policy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Korea Real Estate Board Act and the major legal functions of the Korea Real Estate Board, and suggests the legislative policy tasks to be reviewed ahead of the launch of the Korea Real Estate Board in 2021.

      • KCI등재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비중과 거주목적 대출용도가 연체에 미치는 영향 - 소득계층별 분석 -

        박천규(Park, Chun Gyu),김근용(Kim, Geun Yong),권건우(Kwon, Geon Woo),김태환(Kim, Tae Hwan) 한국부동산원 2018 부동산분석 Vol.4 No.1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가계부채는 1,450조 원에 육박하고 있다. 이에 한국은 금융시장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에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FRB)의 기준 금리가 상승하고 있고 이는 한국의 기준 금리 인상 압력에도 주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가계부채 수준이 높아지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상승이 가계의 상환 부담을 가중시키고 또한 가구의 연체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계 연체의 위험을 측정하고 적절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계 부채의 구성 및 목적이 부채의 연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 및 순자산이 증가하면 가계의 연체 가능성은 감소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득과 순자산의 효과는 저소득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금융 부채의 증가는 연체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담보대출은 신용대출에 비해 연체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거주목적의 경우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지원 프로그램의 시행 시 이러한 가계부채의 구성과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 South Korea’s household debt approached 1,450 trillion won. Maintaining the prudentiality of financial market is becoming a major challenge in Korea. The US Federal Reserve benchmark interest rates have recently been on the rise, which is expected to be a key factor of upward pressure on Korea’s benchmark interest rates. If household debt levels rise, a rise in mortgage interest rate can increase households’ debt repayment burden and the likelihood of household debt delinquency. Therefore, it is crucial to measure the risk of household debt delinquency and to implement relevant proper policie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household debt composition and purpose on loan delinquency. The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of income or net asset decreases the likelihood of household debt delinquency. The effects of income and net asset are greater among low-income families. Second, the increase in financial deb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elinquency. Third, mortgage loans reduce the likelihood of delinquency, compared with credit loans, and in particular, these effects are greater in owner-occupied mortgage loans. In contrast, credit loans increase the likelihood of household debt delinquency. Therefore, in case of implementing mortgage supporting programs, the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debts.

      • KCI등재

        서울시 프라임 오피스 빌딩의 관리비 성격에 관한 연구

        류강민 ( Kang Min Ryu ) 한국부동산원 2022 부동산분석 Vol.8 No.3

        본 연구 목적은 국내 프라임 오피스 시장 내 비용과 수익의 복합적 측면에서 임대료와 함께 지불되고 있는 관리비 성격과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서울 소재 프라임 오피스 빌딩으로 2000년 1분기부터 2021년 2분기까지 86개 분기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며, 실증분석 방법론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ARDL) 모형과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Error-Correction Model(ARDL-ECM) 모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요약 ·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관리비와 소비자 물가 간에 장기 균형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임차인이 지불하는 관리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실제 관리비용이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둘째, ARDL-ECM의 결과에서는 실질임대료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공실률은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오피스 임대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적으로 관리비가 변동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렌트프리(무상임대)에 의한 임대료 할인율은 관리비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다른 변수보다 유의성이 가장 높은 핵심요인임을 알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국내 오피스 임대시장에서 관리비 성격을 파악하고, 향후 수익률 산정과 전망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for maintenance fees paid with rent from the complex perspective of costs and profits in domestic prime office rental markets. The analysis targeted prime office buildings in Seoul and dealt with 86 time-series data from 1Q 2000 to 2Q 2021 on a quarterly basis. In order to empirically testify, the methodology adopted both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and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Error- Correction Model (ARDL-ECM).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fees and consumer prices remains, which suggests that actual maintenance fees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fees paid by the tenant. Second, the results from ARDL-ECM model show that actual rental costs have a positive effect, while the vacancy rate have a negative one, which means that maintenance fees can fluctuate in light of office rental markets. Third, discount rates of rental costs by rent-free seem to be statistically verified as key factors than others because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maintenance fees. In conclusion, the findings can be useful to figure out the nature of maintenance fees and anticipate earnings of domestic office rental markets in the future.

      • KCI등재

        주거비부담과 주거불만족이 노인 주거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김진엽 한국부동산원 2023 부동산분석 Vol.9 No.1

        The study purposed to empirically analyze step-by-step determinants of housing behaviors for elderly homeowners in Daegu·Gyeongbuk who have ever moved their houses, determined housing tenure patterns or chosen housing types. Many experts told that Daegu·Gyeongbuk could see intensified aging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housing costs and dissatisfaction on housing behaviors of elderly homeowners. For this purpose, both the 2016~2020 Korean housing survey an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As a result, when elderly homeowners were burdened with housing costs, there were negative inclinations of intra-regional residential mobility and the choices of home ownership and apartments. The elderly usually moved from the suburban area to the downtown and selected Jeonse·monthly-rent, nursing facilities or the downsizing of their houses. In addition, when elderly homeowners were dissatisfied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were positive inclinations of migration villages, housing tenure and housing types. In other words, if the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would not meet the needs of daily life, elderly homeowners were expected to move to a new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they wanted regardless of the housing condition. This study suggested a policyimplication in terms of residential stability through aging in place (AIP) for elderly homeowners in Daegu-Gyeongbuk.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심화가 더욱 예상되는 대구·경북지역을 대상으로 노인 자가소유자의 주거 이동 여부, 주거점유 형태 결정, 주거유형 선택의 단계별 주거 행동 결정요인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주거비부담과 주거불만족이 노인 자가소유자의 주거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6~2020년 한국 주거실태조사 자료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노인 자가소유자가 주거관리비부담을 느낄 경우, 시도 내 이동에 음(‒)의 경향, 자가 선택에 음(‒)의 경향, 아파트 선택에 음(‒)의 경향을 보였다. 아마도, 주택소비를 통해 교외에서 도심지 내로 이주하며 다운사이징, 전·월세, 요양시설 등을 선택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노인 자가소유자가 주거불만족을 느낄 경우, 이동 지역, 주택점유 형태, 주택 유형의 모든 옵션에 대해 양(+)의 경향을 나타냈다. 즉, 현 주택의 주거환경이 일상생활 속 니즈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주거 조건에무관하게 주거환경이 유리한 곳으로 이동을 감행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 심화가 예상되는 대구·경북지역의 노인 자가소유자가 살던 곳에서 노후 맞이하기(aging in place, AIP)를 통한 주거 안정성 추구 측면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의 지역적 특성이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

        진장익(Jin, Jang Ik),이슬기(Lee, Seul Gi),김재승(Kim, Jae Seung),김정우(Kim, Jeong Woo) 한국부동산원 2018 부동산분석 Vol.4 No.1

        그동안 정부는 저소득층의 주거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해왔다. 하지만, 공공임대주택 정책은 양적확대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이나 공간적 특성이 크게 고려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공간적 특성이 거주민들의 주거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다층모형을 활용해, 서울시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공간적 특성은 공공임대주택 거주민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도시공원, 복지시설, 시장, 은행 등의 기반시설의 유무가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대기오염이나 유해시설은 주거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특성의 영향정도는 공공임대주택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공공임대주택을 계획하고 건설할 때 주거환경이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공공임대주택의 유형에 따라 거주자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유형에 따른 환경계획이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public rental housings to solve the problem of affordable housing shortage for low-income households. However, the relevant policy, which has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has failed to carefully consid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rental housing. In this study, we sought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rental housing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its residents. To do so, we conducted research on public rental housing across Seoul, using a multi-level model based on the data of Seoul Public Rental Housing Panel Survey in 2016. Our findings show that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housing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ts residents. For example, urban parks, welfare facilities, markets, and bank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dents’ satisfaction, while air pollution and harmful facilities are negatively related to residents’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he influence of spatial characteristic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when planning and constructing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future, its residential environment or spatial characteristics will need to be considered. In particular, different environment plans need to be applied to public rental housing of different types because residents’ characteristics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 KCI등재

        보행친화적 근린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주택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공영은,김은정 한국부동산원 2022 부동산분석 Vol.8 No.1

        본 연구는 대구시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보행친화적 근린환경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주택유형 간 차이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종속변수는 2020년 대구시에서 거래된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주택의 단지별 ㎡당 평균 실거래가이며, 독립변수는 건축특성과 보행환경특성(접근성, 쾌적성, 편의성 안전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을 위한 모형은 주택 가격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아파트는 지하철역까지 거리가 가깝고, 소규모 상업시설의 밀도가 낮고, 횡단보도 밀도가 높을수록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우,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까지 거리 그리고 고등학교까지 거리가 가깝고, 가로등 밀도가 높을수록 주택가격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택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보행친화적 환경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주택가격에도 반영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주택유형을 대상으로 보행친화적 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건전한 주택시장의 형성을 위해 주택유형의 다양화가 지속가능하도록 도모하는 정책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ich factors of pedestrian-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can affect housing prices on apartment complexes and low or multi-family housings in Daegu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between the two types. A dependent variable is the averageof actual market prices per ㎡ sold in Daegu, 2020 by each complex and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pedestrian environment (accessibility, comfortability, convenience and safety). The spatial regression model was used for analysis in terms of spatial relations for housing prices. As a result, the prices of apartments were likely to rise as they were close to a subway station or the density of small commercial facilties was low or the density of crosswalks was high. The prices of low or multi-family housings were possible to ascend as they were near to a subway or bus station or a high school or the density of streetlights was high.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that people preferred was different from housing types and heightened housing prices.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as it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on housing prices based on different housing typ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basic data of measures to create sound housing markets and promote sustainable diversification of housing types.

      • KCI등재

        소득 및 자산에 따른 주거면적별 주택점유형태 분석

        이준민,홍지훈,심승규 한국부동산원 2022 부동산분석 Vol.8 No.1

        Based on the Korean Housing Survey 2020, the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or without home-ownership in terms of wealth and income effects. In particular, it develops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by two stages to resolve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s between income and wealth.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income effect has a negative (-) value which is statistically relevant with no regard to space area of exclusive use on the condition that overlapping wealth with income is not limited for the chance of home-ownership. Furthermore, the likelihood of home-ownership for under (over) the applicable space area of exclusive use became lower (higher) as the standard of the dwelling area expanded from 40㎡ to 60㎡ and 84㎡.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two households with all conditions including assets but incomes a household with higher incomes is likely to have the ownership of a larger house. It means that a household with higher incomes prefers a large and comfortable residence to residential stability.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자가 가구와 차가 가구의 특성을 자산효과와 소득효과라는 측면에서 구분하고자 한다. 특히 자산과 소득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단계 다변량로짓회귀분석 모형을 추정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자가 확률에 대한 자산과 소득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순수한 소득효과는 전용면적 기준과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값을 갖는다는 점을 밝혔다. 더 나아가 전용면적 기준을 40㎡에서 60㎡로, 그리고 84㎡로 늘림에 따라, 해당 전용면적 기준 이하(초과) 주택에 자가로 거주하고 있을 확률은 크게 감소(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자산을 포함한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지만 소득만 다른 두 가구를 놓고 본다면, 소득이 높은 가구가 더 넓은 주택에 차가로 거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산이 동일하다면, 고소득 가구일수록 주거안정성보다는 넓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중시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주변 임대시세를 고려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임대료 편익 분석 - 개별가구를 중심으로 -

        김기중 한국부동산원 2023 부동산분석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rental benefits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by a household level and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This study numerically presented economic benefits produced by occupying the public rental housing in order to show implications for taking upcoming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ntal benefit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marked 19,500 won/㎡ per month, which was 29% of private rental market prices in the neighborhood. Second, the rental benefit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differed from regions. In particular, there was a clear regional difference between permanent and national rental housings. Third, the more expensive the rent was than the market prices in the neighborhood, the lower the rental benefits and the longer the resident period, the higher the rental benefits. Lastly,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improved model and the regional difference from influential factors. The results numerically showed that the rent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was very cheap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gional distribution for the public rental housing and of the rent connected to the market price.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 편익을 가구수준에서 측정하고, 지역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공임대주택 입주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수치적으로 제시하고, 향후 정책수립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요결과로 첫째,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 편익은 월 19,500원/㎡이며, 주변 민간임대 시세 대비 29% 수준이다. 둘째, 임대료 편익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영구임대와 국민임대의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다. 셋째, 주변시세 대비 임대료 비율이 높을수록 임대료 편익이 감소하고, 거주기간이 길수록 임대료 편익은 증가하였다. 넷째, 지리가중회귀모형 적용을 통하여 분석모형 개선효과와 지역별 영향요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공임대주택의 저렴한 임대료 수준을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결과이며, 공공임대주택의 지역적 배분, 시세 연동형 임대료 체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북한의 주택배정제도와 비공식 주택시장 발전의 제한성 - 김정은 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

        최봉대 한국부동산원 2022 부동산분석 Vol.8 No.2

        The housing policy under Kim Jong-un’s regime is characterized as a political project to stabilize and strengthen the personal dictatorship, due to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the housing allocation system composed of three special allocation modes (SAMs) and one general allocation mode (GAM) isarrang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 relative degree of political allegiance and functional necessity for the regime. SAMs serve to enhance the security of the regime. GAMs play roles as a social security apparatus. Second, public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in themselves are utilized as ‘political works’ to strengthen the social cohesion of the cadres-masses relations and enhance thecadres’ allegiance to the regime. Third, the regime uses the double strategy to control the unofficial housing market (IHM), The regime connives at the illegality of the private housing construction (PHC) in order to increase the housing provision while intervening IHM to suppress the potential threat tothe regime with several means, such as denial of property rights associated with a house traded through an unofficial housing market, control of PHC, supply of the public housing by the government and severe punishments of private housing developers. In view of these characteristics, it is said that Kim’s regime controls the housing provision system to induce the people's obedience and reward the regime’s core support groups for their loyalty. 2010년대 북한 김정은 정권의 주택배정제도 운영과 주택건설 ․ 공급사업은 유일지배체제의 안정적 존속을 목표로 하는 ‘정치적 사업’의 성격을 강하고 갖고 있다.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이를 알 수 있다. 첫째, 주택배정제도의 네가지 배정방식(선물집, 직무주택, 가족아파트, 일반 배정주택)은 지배체제 유지를 위한 정치적 충성도와 기능적 필요성을 기준으로 선물집에서 일반 배정주택까지 위계적으로 차등화되어 있다. 특별 배정주택들은 체제보위장치로서, 그리고 일반 배정주택은 사회보장장치로서 정치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둘째, 국가 주택건설사업은 그 자체가 체제 내적인 정치적 결속과 간부들의 충성심 제고 그리고 대중의 정치적 ․ 경제적 동원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정치사업’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국가는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개인 주택건설 ․ 공급의 불법성을 묵과하면서도 유일지배체제에 대한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비공식 주택시장에 개입하여 통제하는 이중적 전략을 취한다. 여기에는 비공식적 주택 재산권의 불인정, 개인 주택건설의 규제, 국가주택 공급, 개인 청부업자 제거 등과 같은 조치들이 포함된다. 이런 점들에 비춰볼 때 김정은 정권은 주택공급 통제권을 정권에 대한 주민 일반의 충성 유도와 중요한 국가정책 추진과체제안보 유지 수단으로, 그리고 핵심계층 위주의 정치적 보상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개입모형을 이용한 서울 아파트매매거래량 분석

        육태미(Youk, Tae Mi),이수민(Lee, Soo Min) 한국부동산원 2018 부동산분석 Vol.4 No.1

        시장 경제를 반영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은 외부의 상황에 따라 증가, 감소를 반복하는 시계열을 보인다. 이때 정책 변화나 뉴스 보도 등의 사건이 시계열자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 이를 개입(intervention)이라고 하며, 실제 자료 분석 시에는 이를 반영해 주는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하반기에 발표된 부동산 정책들의 변화가 서울 아파트매매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을 개입효과를 고려한 계절형 ARIMA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 6월 이후 3개월간 지속 발표된 부동산 대책은 순간적으로 서울 아파트매매거래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지만 그 지속 효과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보고서들에서 다루고 있는 정책 변화 전 · 후 차이의 단순 빈도 비교보다 좀 더 이론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시계열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구분하고 그로 인한 변화 정도를 추정하는 것은 향후 안정적인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Various indicators reflecting the market economy show a time series that repeatedly increases and decreases depending on external situation. If an event, such as policy change and news report, can affect time series data, it is called intervention, and in actual data analysis, a model that reflects it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ffect of real estate policies announced in the second half of 2017 on the change of Seoul apartment trading volume, using a seasonal ARIMA model that reflects intervention effects. The results show that real estate policies, which were announced consecutively for a period of three months from June 2017, reduced the Seoul apartment trading volume momentarily, but had no long-lasting effect.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allows a more theoretical approach than the simple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he change of policies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identification of variables affecting the time series and the estimation of the degrees of changes caused thereb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table polic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