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일인관련자 범위의 중심성지수 분석

        지인엽,최승재,이준형,박동규 법무부 202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103

        South Korea introduced the same person designation rule to curb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in the 1980s under which a natural person, most often the largest shareholder, is designated to be the actual controlling shareholder of a conglomerate group. Further,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designates a wide range of common shareholders including a certain members of family lineage, executives and other related parties as parties related to the same person. This rule imposes considerable onus on the designated parties such as periodic reporting of shareholding and criminal penalties for non-compliance. As the same person designation rule has been in force for more than forty years, we investigate whether the normative perception of the rule is still valid by using an algorithm analysis; that is, the centrality index.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hareholding of the parties related to the same person does not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ntrolling power of the same persons except that of the same persons’ spouses and close relatives, which we argue calls for a more realistic regulatory approach. We also suggest that the limited role of the parties related to the same person may have resulted from the Korean antitrust policy that has encouraged conglomerates to adopt a holding company system structure. 경제력집중 억제를 위해 도입한 동일인지정제도는 자연인을 지배구조 정점으로 보아, 기업집단 총수를 동일인으로 지정하고 그 주변인을 동일인관련자로 지정한다. 이 제도는 40여 개 법령에서 준용되는 만큼 제도가 갖는 중요성과 영향력이 크다. 이에 본고는 동일인지정제도를 법률적으로 검토하고, 중심성지수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 제도의 규범적 인식과 제도와 현 규제 환경 간 일치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배우자·혈족 1~4촌에 비해 인척·임원의 지분은 동일인의 지배구조 유지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척·임원의 지배구조 기여도는 2022년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으로 제외된 혈족 5~6촌의 그것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년간 정부가 지주회사 유도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상당수의 기업집단이 핵심기업을 중심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Half-life Bias Correction: A Further Note

        지인엽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This article compares several biased corrected half-life estimators; namely, the median unbiased estimator, recursive mean adjustment estimator and bias corrected bootstrap estimator with the highest density region. We find that the bias corrected bootstrap estimator with the highest density region method can be an alternative bias correction method.

      • KCI등재

        부동산 시장의 거품 생성 및 붕괴 시점 추정에 관한 연구

        지인엽(Ji, In Yeob)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최근에 발표된 Phillips, Shi and Yu (2015)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서울, 경기, 인천의 아파트 임대수익률이 발산근(거품)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서울과 인천에서 금융위기 직전에 거품이 발생하였고 이후 안정적인 조정과정을 거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울, 경기, 인천, 세 지역의 급격한 임대수익률 상승은 거품의 대리변수(proxy)인 시장기본요소 괴리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Korean housing markets experienced bubbles for the period of 2002 to 2016. Monthly price-to-rent ratio data for apartm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 applied to the PSY (Phillips, Shi and Yu, 2015) method which estimates multiple episodes of explosive behavior in time series. It is found that bubbles were present for Seoul and Incheon in the pre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and imploded gradually. However, the presence of bubbles did not lead to any serious negative macroeconomic consequences.

      • 외환·거시건전성 정책의 효과 분석

        지인엽 ( Philip Inyeob Ji ) 한국금융연구원 2023 금융연구 working paper Vol.2023 No.2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macroprudential policy in Korea. To this end, we first identify the international dollar financing structure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 the backdrop of the recent global capital flow. Also, the study describes capital inflow of emerging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which have been making policy efforts to manage the capital flow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GFC). In addition, background of macroprudential policy as stipulated in Basel III with respect to the developed and emerging countries have been described. Along with the Basel III, the history and the status of the Korean macroprudential policy, namely, foreign currency liquidity coverage ratio (LCR), forward exchange position (FX position) limit, and macroprudential levy, which are typical macroprudential regulations in emerging markets, have also been explained. In tandem with previous policy studies and extant literature on macroprudential policy, we employ Korean domestic and overseas macroprudential regula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stimate models for the behavior of both domestic banks and foreign banks branches. This approach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we employ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croprudential regulations in the model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FX position regulation has an effect on the behavior of both domestic banks and foreign bank branches. Given the limitation of lack of the maturity structure in foreign currency borrowing data, we therefore use short-term borrowing (country level) on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 (IIP) as an alternative variable for the total amount of short-term foreign currency borrowing demand in Korea. Using the short-term borrowing model, we find a limited but meaningful evidence that foreign currency LCR regulation and FX position limit regulation has effects on domestic short-term borrowing. Although little statistical significance is found in our results on macroprudential regulation on the behavior of banks in Korea, economic significance is demonstrated in the results consistent with economic intuition.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macroprudential regulations may be better examined by future research if highly informative data were made available.

      • KCI등재

        경제성장모형의 시계열 검정: 아시아 국가 사례

        지인엽 ( In Yeob Ji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솔로우 모형의 구조모수가 안정적 시계열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솔로우 모형의 비균제 상태를 묘사하는 간명한 선형 방정식을 도출하고 장기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솔로우 모형을 검정하였다.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의 자료를 활용한 결과, 기본모형에서는 모형의 함의와 자료사이에 상당한 일치성을 보이나, 인적자본이 변수로 포함된 경우에는 일치성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론 모형과 자료와의 괴리를 고려하기 위해 차분하여 추정한 결과 일치성은 유지되었고, 강건성 검정도 희망적인 결과를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provides results from testing the predictions of the Solow-Swan model using time series data. The primary aim of the paper is to develop empirical versions of the Solow-Swan model that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growth process of individual economies. A number of time series models derived from the Solow model are presented and then estimated using annual data for India, Indonesia and Japan. We find that the results are largely consistent with the model. However, data give limited support to the model when human capital is included.

      • KCI등재

        가상화폐와 인플레이션 헤지: 비트코인 사례

        지인엽 ( Inyeob Ji ),전광명 ( Kwang Myung Chun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6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3 No.3

        본고에서는 OECD 회원국 등 40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수익률과 인플레이션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점검해 보았다. 분석결과, 비트코인은 자국 통화와의 거래규모가 큰 일부 국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정도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국가에는 호주, 중국, 영국, 등이 포함 된다. 이러한 결과는 비트코인이 몇몇 국가들에 있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겠다. We examine whether Bitcoin returns have a relationship with inflation of 40 OECD countries. We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large positive relationships for several countries that provide major Bitcoin trading currencies, including Australia, China, and the United Kingdom. This suggests that Bitcoin may have the potential to be an inflation hedge in a limited group of countries.

      • KCI등재

        플랫폼 경제와 최근의 미국 내 반독점 관련 논의 : 뉴 브랜다이스(New Brandeis) 운동을 중심으로

        지인엽 ( Philip Inyeob Ji ),전주용 ( Jooyong Jun ) 한국산업조직학회 2021 産業組織硏究 Vol.29 No.4

        본고는 이른바 뉴브랜다이스 운동(the New Brandeis Movement)을 중심으로 최근 미국내의 반독점 관련 논의들을 정리하고 이후의 미국 정책 방향에 대하여 전망하고자 한다.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등 거대 글로벌 플랫폼의 독점적 위치가 최근 들어 더욱 공고해졌으며, 이러한 상황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미국 반독점 관련 법제가 거대 플랫폼에 대하여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해왔다는 불만도 증가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카고 학파의 원리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가진 법학자들을 중심으로 뉴브랜다이스 운동이 등장했다. 뉴브랜다이스 계열 연구자들은 소비자 후생 원리에 대한 대안으로 경쟁 보호(Protection of Competition)원리를 제안하며, 경쟁의 결과보다는 경쟁 과정 및 구조(process and structure)에 중심을 둔다. 이에 대해, 기존의 경쟁법 연구자들은 뉴브랜다이스 운동은 기본적으로 소비자 후생 기준 이전의 과거로 회귀하자는 것이며 소비자 후생이라는 일관된 기준에 따른 경제적 분석에 기초하여 사안별로 반경쟁성을 판단하는 현행 제도에 비해 오히려 후퇴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브랜다이스 운동에서 지적하는 거대플랫폼의 독점화 확산 경향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현행 반독점 관련 법제의 문제점들 및 보완 필요성은 미국 내에서도 널리 공감을 얻고 있다. 다만, 소비자 후생 원리를 고수하는 미 연방 대법원의 보수적 성향을 고려할 때, 판례보다는 입법적인 조치를 통하여 일부 행위에 대한 사전 규제 도입이나 당연 위법 부활 등을 구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We provide an overview of recent developments in the antitrust debate in the United States. Chief among the developments is the emergence of the New Brandeis Movement. It has been widely argued that global planforms such as Google, Amazon, Facebook and Apple gained substantial monopoly power, while it is equally arguable that the current Antitrust laws fall short of regulating the monopoly. In response, the New Brandeis Movement advocates contend that the traditional Antitrust framework centered around consumer welfare be abandoned. As an alternative they propose protection of competition that would mandate Antitrust authorities to adopt competition process and competitive structure as a regulatory framework. We outline merits of these competing arguments from both economists and legal scholars based on which we suggest that legislative attempts may be made to revive per se rules or preemptive regulations in the Antitrust arena.

      • KCI등재

        Half-life Bias Correction

        Ji, In Yeob(지인엽)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새로운 반감 추정법을 소개하고 계량 문헌에서 주목 받는 두 가지 시계열 자료의 반감 추정법과 비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Median Unbiased Estimator와 Recursive Mean Adjustment Estimator를 Highest Density Region Bias Corrected Bootstrap Estimator를 비교하기 위하여 세 추정법을 사용하여 주가 지수의 반감기를 측정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Highest Density Region Bias Corrected Bootstrap Estimator도 나머지 추정법에 비해 뒤지지 않는 결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compares several biased corrected half-life estimators; namely, the median unbiased estimator, recursive mean adjustment estimator and bias corrected bootstrap estimator with the highest density region. We find that the bias corrected bootstrap estimator with the highest density region method can be an alternative bias correction method.

      • KCI등재

        물적분할 후 기업공개 시 주주 권리 침해에 관한 법경제학적 고찰

        심승규,지인엽 금융감독원 2022 금융감독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물적분할 후 기업공개 과정을 모형화하여 그 과정에서의 주주 권리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보편적인 판단 준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분할상장이 진행되고, 주주 권리 침해가 발생할 각각의 필요충분조건을, ‘성장가능성’과 ‘투자효율성’ 두 가지 지표로 특정한다. 더 나아가 제시된 모형을 토대로, 주주 권리 보호 방안으로 거론되는 물적분할 대신 인적분할만 허용하는 방안, 기존 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하는 방안, 기존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배정하는 방안 모두 한계가 있음을 보인다. 개별 사안에 대한 보편적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제적, 일괄적 장치보다는, 일반 주주들의 사전적 보호를 담보하기 위한 소액주주가치보호의 명문화 등의 검토를 제안한다. This article derive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corporate division permitted by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and its resulting shareholder value change. These conditions are expressed by future profit gain and productivity gain; that is, the larger future profit gain is, given a level of productivity gain (or the large productivity gain is, given a level of future profit gain), the smaller harm to minority shareholder value becomes. Also, to empower minority shareholders, policy makers, practitioners and academics have proposed a complete ban of the division, appraisal right and share warrants. To this end, the article provides an evaluation of those proposals from which we suggest that derivative actions may be a more desirable alternative for shareholder value pro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