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ano 모델과 고객만족계수 기반 음악앱의 기능 및 서비스 개선 요구 분석

        주초,김태선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1

        최근 음악앱 시장의 경쟁이 높아지고 있다. 서비스 제공기업들은 기존 상품의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새로운 기능 개발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해야 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음악앱의 사용자 니즈 파악을 통해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음악앱의 기능/서비스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와 Kano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용자 요구 사항을 수집했다. 이후 음악앱에서 개선되어야 할 기능·서비스의 요구 사항에 대한 만족·불만족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Timko의 고객만족계수 분석을 사용했다. 총 15개의 음악앱 기능·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 사항을 5개의 매력적 품질, 3개의 무관심 품질, 3개의 당연적 품질, 5개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고 음악앱 사용자의 관점에서 음악앱 기능·서비스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Timko의 고객만족계수가 가장 높은 Better 지수는 공연 티켓 구매 서비스( .66) ,인터페이스 관리 및 맞춤 설정( .59),인터페이스 화면 밝기( .58),노래 차단 및 건너뛰기( .57)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Worse 지수는 상황에 맞는 노래 추천(- .65),노래 듣는 습관의 기록(- .62),인터페이스 화면 밝기(- .60),새로운 기능에 대한 업데이트 알림 표시(- .58)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경험 기반으로 음악앱 서비스를 개선·제공함은 물론 사용자 관점의 상품개발 프로세스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시니어 유저의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한 틱톡(TikTok) 앱의 융합적 인터페이스 전략에 관한 연구

        주초,김민수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Although the use of senior users in the short form video app market is increasing, senior users often cannot use the app in a way suitable for them due to problems such as poor manipulation ability and vis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convergent interface improvement plan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enior users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usability of short form video apps for the elderly. First of all, users interviews using a showcase for eight elderly people who have been conducted using the showcase, and the experience of the app,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of the app. Afterwards, in order to measure and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app, a post-inter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S survey.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are largely as follows. First, the user's cogni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interface UI. Specific names of functions that the elderly can also recognize should be used, and clear feedback notification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ddition, functional help in consideration of cognition, such as color change or sound notification, should be provided when selecting and clicking the app's function. Second, unnecessary interface information and error prevention should be improved. Information that can be burdensome for senior users to accept and recognize information should be minimized, and clear operational feedback on error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difficulty of functional manipulation should be reduced. Mistakes occur when the operation process is long or complicated, causing difficulties in 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process of use by function to improve the difficulty of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ser's cognition, improve the prevention of unnecessary information and errors, and improve the difficulty of function manipulation when designing a convergent interface considering the usability of senior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or design an app that considers senior users in the future. 숏폼 동영상 앱 시장에서 시니어 유저의 활용도가높아지고 있으나, 시니어 유저의 경우 조작 능력 및시력 저하 등의 문제로 이들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앱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숏폼 동영상 앱의 사용성을 평가·분석하여 시니어 유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융합적인터페이스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숏폼 동영상 앱을 사용해 본 고령자 8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여 앱 사용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틱톡 앱의 사용 경험이 적거나 향후 앱 사용을 희망하는 대상자 10명을대상으로 앱의 설계 및 평가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를실시하였다. 이후 앱의 사용성을 측정·평가하기 위해SUS 설문 실시 후 이를 분석하기 위한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크게 3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페이스 UI 설계 시 사용자의 인지성을 고려해야 한다. 노인들도 인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능의 명칭을 사용해야 하며,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해 명확한 피드백 알림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앱의 기능을 선택·클릭 시 색상의 변화나 소리 알림등 인지성을 고려한 기능적 도움이 제공되어야 한다. - 400 - 둘째, 불필요한 인터페이스 정보와 오류 방지에 대해개선되어야 한다. 시니어 유저가 정보를 받아들이고 인지하는 데 부담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최소화하고, 오류방지에 대한 명확한 작동 피드백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기능 조작의 어려움을 줄여야 한다. 조작 과정이 길거나 복잡할 시 실수가 발생하며, 사용상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기능별 사용 과정을 단순화시켜 사용상의 어려움을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니어 유저의 앱 사용성을 고려한 융합적 인터페이스 설계 시 사용자의 인지성 고려, 불필요한 정보와 오류 방지 개선, 기능 조작의 어려움을 개선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시니어 유저를 고려한 앱을 개발하거나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쇼핑 앱의 인터페이스 사용성 개선 방안 제안 - 티몰 앱, 징동 앱, 핀둬둬 앱 중심으로 -

        주초,박경진,김민수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2

        Background Currently, as many apps related to shopping apps are developed in China, functions and services are also diversifying. Meanwhile, Chinese shopping apps do not have a large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functions and services between apps, and the gap in user experience is narrowing due to similarity. In this respect, in order to have differentiated market competitivenes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user experience, and an interface design plan should be proposed considering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use of the app. Methods For 10 experts in that field of the field of those fields in the Chinese market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evaluation results. Result As a result of usabi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Mall app has the best usability, and in particular, among the evaluation items, consistency, efficiency, aesthetics, and usability scores were high. While the Jingdong app is excellent in aesthetics and consistency, it was found that the scores of efficiency and clarity, flexibility and autonomy, and help provision were poor. In the case of the Pindudu app, the usability was the lowest, and the scores of all indicators except visibility were low.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analyze and grasp the items that must be reflected and improved in the shopping app when designing the interface of the Chinese shopping ap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n interface that considers the usability of Chinese shopping apps in the future. 연구배경 현재 중국은 쇼핑 앱과 관련된 많은 앱이 개발되면서 기능·서비스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중국의 쇼핑 앱은 앱 간의 기능·서비스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으며, 이로 인한 유사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경험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차별화 된 시장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사용자 경험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앱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여 이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을 제안해야 한다. 연구방법 해당 분야의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은 세 가지 앱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와 사후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평가 결과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쇼핑 앱 유저의 사용성을 고려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성 분석 결과, 티몰 앱이 사용성이 가장 우수했으며, 특히, 평가 항목 중 일관성, 효율성, 심미성, 조작성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징동 앱은 심미성과 일관성이 뛰어난 반면, 효율성과 명확성, 유연성과 자율성, 도움말 제공의 점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핀둬둬 앱의 경우 사용성이 가장 떨어졌으며, 가시성을 제외한 모든 지표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쇼핑 앱의 인터페이스 설계 시 쇼핑 앱에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항목과 개선되어야 하는 항목을 분석·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국 쇼핑 앱의 사용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디추싱 택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 및 개선 전략 연구

        주초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1

        Excellent interface usability is essential for online taxi applications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 This study evaluated the Didi Chuxing application's interface design usability, which is a Chinese online taxi reservation platform, to develop improvement strategies. This study assessed the usability of the Didi Chushing application using user testing and heuristic evaluation techniques. The Didi Chuxing application maintained strong interface usability, however, there are still certain drawbacks.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conveyed by icons and text is inaccurate, there are too many functional options, and the placement of marketing pop-up windows is unreasonable.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unclear and there is a lack of user-required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uts forward the following improvement strategies. First, the interface's information accuracy has to be improved. Second, the consistency of the operating process must be maintained. Third, providing clear hints at crucial operation steps help improve user experience. Fourth, the amount of function options has to be reasonable. Finally, the positioning of the pop-up window needs to be enhanced.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guidance for improving the interface usability of Didi Chuxing application. 좋은 인터페이스 사용성은 택시 애플리케이션이 양질의 서비스 제공의 기반이다. 본 연구는 중국 택시 플랫폼 디디추싱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사용성을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테스트 및 휴리스틱 평가 기법에 따른 사용성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디디추싱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디디추싱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는 양호한 인터페이스 사용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아이콘과 텍스트로 전달되는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기능 옵션의 수가 너무 많으며, 마케팅 팝업 창의 배치가 불합리하고, 위치정보가 명확하지 않으며, 사용자 중심의 정보가 부족하다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개선 전략을 제안한다. 인터페이스의 정보 정확성을 높이고, 조작 프로세스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주요 조작 단계에서 명확한 힌트를 제공하고, 기능 옵션 수를 합리적으로 설정하며, 팝업 창 위치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디추싱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사용성 개선에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영화 <굿윌헌팅>에 나타난 트라우마 치료 대화법 분석

        양우동,사동훼,주초,권순희 한국화법학회 2022 화법연구 Vol.- No.56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tagonists in the movie Good Will Hunting, to explore a possible therapeutic method based on the conversations depicted therein. In the movie, Will faces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rooted in the childhood trauma he has experienced, and receives conversation-based trauma therapy from his counselor Sean. This paper illustrates the consistency between the process of trauma therapy and the stages of 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AEDP). The study divided Sean and Will's conversations into sections based on the four stages of AEDP, to determine the possible conversation strategy within each stage and analyze them for trauma therapy using the conversation method. In conclusion, the paper presents educational suggestions based on the conversation strategies that emerged in the dynamic psychotherapy process. These suggestions can be applied not only to trauma therapy, but also to conversations with strangers or hostile person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