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국어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의 혁신 사례연구 ― 학생의 배움과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마중물 ―

        이지선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다가올 미래는 4차 산업혁명의 시기이다. 기술로 인한 사회적 격차는 지금보다 더 심해질 것이다. 교육은 기술로 인해 벌어진 사회적 격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일을 해야 한다. 하여 교육기관의 ‘변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직 교사의 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사의 역할과 역량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독서토론논술교육’교육과정과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아동문학과 문해력전공’교육과정 사례를 통해 미래 사회 대비 교사재교육 교육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한국교육개발원 OECD Education2030 프로젝트 참여연구 결과 보고서와 2019년 광주교육대학교 정책연구 보고서에 기반하여 본고를 정리하였으며, 실제 대학원에 진학중인 동료교사의 생각을 조사했다.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국어교육” 전공은 “독서토론논술교육”으로 전공명을 변경하면서 교육과정의 재구성까지 함께 이루어냈다.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아동문학과 초기문해력” 전공은 대학원교육과정과 교사연수를 기획하는 교육기관과의 협력관계를 맺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두 교사 재교육 기관의 변혁은 대학원이 당면한 과제 해결을 모색한 결과다. 본고에서 제시한 과제 해결의 과정을 공유하여 더 나은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김재혁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初等敎育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2014년 3, 4학년부터 실시될 예정인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과 교과서가 아직 출판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서 이 연구는 현재 시행중인 2008 개정 교육과정의 정책 연구학교 운영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이 정책 연구학교 운영은 2009-2010 기간에 수행되었는데, 본 연구자가 참여한 이 연구는 매우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서 교실 수업 적용의 측면에서 일부 내용을 선정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실 2008,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기본 틀을 공유하고 있다. 이 두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시수, 평가 등에서 핵심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2008 개정 교육과정 운영으로부터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초등학교에서 교사 307명, 학부모 1,916명, 학생 2,087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및 면담 분석으로부터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주제어: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영어

      • 제7차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효율적인 교실수업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 3·4학년을 중심으로

        김영현,조초희,김재혁,선규수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

        This study has dual aims: one is to explore some theories 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or 3rd and 4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other is to develop efficient materials for teaching English to them depending on the 7t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EFL classroom. The former includes (1) the understanding of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children's language acquisition processes, (2) some problems of elementary English language teaching according to applying the 7th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to the classroom, an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spoken language, (3) the models of teaching English to 3rd and 4th grader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and some strategies for planning English lessons and teaching based on them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classroom. The latter contains some effectiv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can help the teacher to teach English to 3rd and 4th graders, especially, using the target language, so-called,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인성교육

        박상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남 M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했다. 본 연구의 효과성 및 참여자의 주관적 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KEDI 인성 검사지 및 참여 학생 주관적 반응설문지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기는 학생들의 독해력과 공감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그림책 읽고 쓰기를 통해 참여 학생들의 감정과 행동 표현이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독서력 및 독서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책은 유아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에게도 유용한 교육 도구이다. 인간의 삶이나 사회 현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을 통한 인성교육은 학생들의 다양한 언어적·정서적 경험을 자극하고, 바람직한 독서 태도와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뿐만 아니라 사회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므로 인성의 주요 덕목을 주제로 한 그림책을 적절하게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림책 활용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교사의 연구학교 참여가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선하,고재천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初等敎育硏究 Vol.28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연구학교 참여와 전문성 발달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교사의 연구학교 참여가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광주, 전남 지역 초등학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이 연구에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학교 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연구학교 운영 중 의사소통이 중요하다. 둘째,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해서는 교사 배경 요인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연구학교 참여는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상관관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 교사의 연구학교 참여가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사들은 연구학교 참여가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 연구학교 운영이 본래의 목적에 맞게 개선되어야 하며, 학교 관리자도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하여 연구학교 참여를 독려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초등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의 국어자료 분석 :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해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에 제시된 국어자료를 매체의 종류와 언어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매체교육의 이해제고와 필요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현재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6학년 교과서를 범위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6학년 국어교과서의 매체단원을 선정하여 국어자료를 두 가지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국어 자료 본래의 매체나 혹은 자료를 제공하는 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여 국어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자료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학습자의 흥미유발이나 이해력 제고를 위해 영상자료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새로운 정보검색매체로‘스마트 폰’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이나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발표하기 위한 매체를 탐색하고 발표하는 활동에서는 글과 그림, 사진 뿐 아니라 영상, 프레젠테이션 등의 점차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제공되었다. 또 언어 사용 목적의 기준으로 국어자료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매체 단원의 국어 자료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나 담화, 영상, 그림, 사진이 전부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다양한 언어 사용 목적(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표현)이 나타남은 물론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한 주제의 국어자료가 제공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 속 매체 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 향후 국어교과서에 매체 관련 국어자료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어휘력 신장을 위한 국어사전 단원 재구성

        양유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에서 국어사전과 관련된 단원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그 실태를 파악하여 국어사전 관련 단원을 재구성하는 활동을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중점으로 구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인터넷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학년 군 간 또는 학교 급 간 위계화를 통해 국어사전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예시 단어들의 필요성과 어휘력과 관련된 학습 활동, 사전의 종류에 따른 특성과 상황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 활동 등의 추가 그리고 타 교과와 국어사전의 연계 경험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국어사전을 활용한 현장의 실제적인 학습활동을 정리하였다. 국어사전 일러두기 학습, 국어사전 활용 학습장, 나만의 국어 사전 만들기, 국어사전 활용대회 운영, 국어사전 활용 감성 프로그램, 국어사전을 활용한 독서 낱말 카드 만들기, 국어사전 활용을 위한 학급 누리집 활동 등 연구자가 실제로 적용해 보았거나 구안한 활동 중심으로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하고 이를 국어 수업시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3, 4학년 교과서 활동과 위에서 분석한 학습자의 요구와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3학년 1~10차시 내용과, 초등학교 4학년 1~9차시 내용에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내용을 실제적으로 추후 교실에서 적용하여 연구를 보충할 계획이다. 연구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국어사전 관련이 어휘력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국어사전활용 단원의 교수학습에 구체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실과 전담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용익,박행모,방기혁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初等敎育硏究 Vol.1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justify the need of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an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need of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was could be justified in the aspect of social specified trend, special character of practical arts, and use of machine and equipment facilities. 2)Natural disposition needed for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was identified as possession of firm belief toward practical arts' philosophy and ideology, enough understanding and competence of practical arts, and complete knowledge and skill of instructional method. 3)The main problems of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was identified as the absences of educational goals in program, an unbalance among discipline parts, and the low degree of satisfaction toward teacher education program. 4)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goals of program clearly, to coordinate the discipline parts proportionately, an to recommend and experimentation & practice in teach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 교육실습지도의 제 관점 및 재구성을 위한 과제

        오정란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spectives on coaching student teaching and identify the tasks for its reconstruction. Positivisim, inquiry, and critical theory were reviewed in terms of shedding light on the problems as well as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urr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Although they gave us some specific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they have not suggested alternatives which adequately apply to various kinds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s faced by cooperating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Reflective perspective was introduced as bases for transformation of the curr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On the basis of reflective perspective, three strategies for reconstruction of the coaching student teaching were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reconstruction of the coaching student teaching should be based on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equal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teacher; second, it should be built upon equal role and relationships between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teacher; lastly, it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dialogue and conscious ref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