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주월랑 한국작문학회 2022 작문연구 Vol.- No.55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elf-introduction writing class model for each stage for foreign students and present the actuality of the self-introduction writing class process. To this end, self-introduction writing classes were conducted for foreign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college. Then, a learner evaluation was conducted on self-reflection and Korean writing efficacy. The results of class evaluation showed that self-introduction writing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flection and writing efficacy for foreign students. Moreover, self-reflection and the writing efficacy of self-introduction writing showed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se results show that writing efficacy, which is an affective factor, can be improved even when foreign students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explore.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the writing efficacy of self-introduction writing, along with the case of self-introduction writing clas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actual educational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 대상 단계별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 과정의 실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저학년 외국인 유학생 대상으로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였고, 그 이후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학습자 평가는 주로 자기소개 글쓰기 이후의 자아성찰에 대한 것과 한국어 쓰기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수업 평가 결과, 외국인 유학생 대상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은 자아성찰과 쓰기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기소개 글쓰기의 자아성찰과 쓰기효능감은 서로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스스로를 되돌아보면서 탐색하는 시간이 주어질 때도 정의적 요인인 쓰기 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유학생 대상 자기소개 쓰기 수업 사례와 함께, 자기소개 글쓰기의 자아성찰과 쓰기 효능감 간의 상관성을 밝혀 실제적인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효능감 연구

        주월랑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pects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hree weeks in March 2023 targeting foreign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measured using SPSS Ver.22.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according to foreign students' characteristics, that is, learner factors, which included: gender, school yea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schools, and whether participating in Korean listening comprehension classes. Learner factors affecting listening efficacy were ident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stening efficac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stening efficacy. Thus, as other learner factor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stening efficacy, proficiency should be raised to improve affective factors related to listening.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듣기 효능감 양상을 살피고, 학습자요인들이 한국어 듣기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학습자요인(학년별, 한국어 숙달도별, 한국어 어학원 경험, 한국어 듣기 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요인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요인과 듣기 효능감 간의 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한국어 숙달도가 듣기 효능감과 양(+)의 상관성을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한국어 숙달도가 듣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듣기 효능감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어숙달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듣기 관련 정의적 요인 향상에는 한국어 숙달도를 높이는 것이 우선적으로 되어야 한다.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 연구 동향 분석 연구

        주월랑,민진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es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analyzing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target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each year, each type of theses, each research method, and each research theme.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year, the number of researches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tended to be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method,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primary research, secondary research, and mixed method. Especially, most of the primary researches were conducted through interview and survey. This is the result of having discussions focusing on what would be needed for the learning/teaching environment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theme, it was mostly shown in the order of teaching method, others(policy, adjustment, and etc.), and content knowledge. Many research themes in the category of teaching method eventually show that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of education design/measures based on needs surveys on increas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Last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word cloud analysis shown in research titles, scientific journals showed the high-frequency of ‘academic’, ‘Korean language’, and ‘analysis’ while theses showed the high-frequency of ‘Korean language’, ‘writing’, and ‘measures’. This means that the researches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are not performed in various academic worlds, but performed mostly focusing o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must be a transition period of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what is needed to increase their academic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in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ctive discussions related to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의 국내 연구 동향을 연도별, 논문 유형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도별 분석 결과, 외국인 대학원생 연구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는 1차 연구, 2차 연구, 혼합 연구방법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1차 연구에서는 면담과 설문 조사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업 및 교수 환경에 어떠한 것이 필요한지에 초점을두고 논의가 이루어진 결과이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주로 교수학, 기타(정책, 적응 등), 내용학 순으로 나타났는데, 교수학 범주의 연구 주제가 많다는 것은 결국 증가하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 설계 및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들제목에서 나타나는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술지에서는 ‘학술적’, ‘한국어’, ‘분석’이 나타났고, 학위 논문에서는 ‘한국어’, ‘쓰기’, ‘방안’이 고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외국인 대학원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학계에서 이루어지기보다는 주로 한국어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이들의 학술적 소양을높이는 데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는 과도기라고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연구 동향 분석의 결과를 볼 때,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인 대학원생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말하기 전 쓰기 활동이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주월랑 반교어문학회 2022 泮橋語文硏究 Vol.- No.61

        본 연구는 말하기 전 쓰기 활동이 외국인 유학생의 말하기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S대학 외국인 유학생을대상으로 약 8주간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토론 전 입론문 쓰기를 3차례 진행한 후 말하기 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사후 검사인대응표본 t-검정에서 입론문 쓰기 활동이 외국인 유학생의 말하기 효능감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술형 문항에서도 외국인 유학생들은 토론 입론문을 쓴 후에말하는 것이 자신감 및 말하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하기 전 쓰기 활동이 말하기 능력만이 아니라, 정의적 요인인말하기 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

      •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 -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

        주월랑 시학과언어학회 2013 시학과 언어학 Vol.0 No.24

        본 연구는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구어에서 연결어미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연결어미 목록 및 빈도수를 살펴보았다. 그 후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실제 구어를 들을 수 있는 TV 프로그램인 <러브인아시아>를 전사하여 문장 내에서 사용된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에서 사용된 연결어미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구어 중 종결어미에서 사용된 연결어미는 대부분 종결보조사 ‘-요’가 탈락되어 사용되었다. 이는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종결어미에서 연결어미가 종결보조사 ‘-요’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래서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종결보조사 ‘-요’와 함께 연결어미가 종결어미에서도 사용 가능함을 교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문장 내에서 사용된 연결어미에 대해서 ‘대치오류, 첨가오류, 형태오류, 누락오류’의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방송자막에서는 오류로 판단하였으나 구어의 특성을 볼 때 오류라기 판단하기 어려운 것은 ‘기타’로 분류하였다. 연결어미 오류 결과, 대치오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연결어미에 대한 정확한 사용을 알지 못하는 것을 보여준다. 즉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의 문법 요소인 연결어미는 일상생활에서 저절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의 과정을 거쳐야 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에만 한정하여 살펴보았기 때문에 다양한 국가에서 온 여성결혼이민자들과의 연결어미를 비교·분석은 차후의 연구로 남겨둔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을 중심으로-

        주월랑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ual basis of necessities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lasting for a long time.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married immigrant women’s use of connective endings focusing on the length of residence and length of learning. Especially, using the SPSS Ver.21, this study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length of residence, and length of learning. The results show that among 45 connective endings, there were total 22 kinds of connective endings produced by immigrants. Especially, most of the connective endings produced by immigrants were in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coordinate clause and adverbial clause. Moreover, there were lots of connective endings in positive relation with the length of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length of learning is a variable having a stronger correlation with the immigrants’ acquisition of connective ending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vide the grammar education for a long tim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Lastly,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the immigrants with Vietnamese nationality, and this study did not discuss the use of grammar other than connective endings,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을 살피고, SPSS Ver.21를 활용하여 연결어미 사용과 거주기간 및 학습기간 간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45개의 연결어미 중에서 이민자가 산출한 연결어미의 종류는 총 22개로 조사되었다. 특히 이민자가 산출한 연결어미의 목록을 보면, 대부분 초급과 중급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성 분석 결과, 대등절과 부사절에서 모두 학습기간에서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특히 학습기간과의 양(+)의 관계가 있는 연결어미 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이민자의 연결어미 습득에 학습기간이라는 변인이 연결어미 습득에 더 강한 상관성을 지닌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베트남 국적에 한정되어 있고, 연결어미가 아닌 다른 문법 사용에 대한 논의는 하지 못하였다는 데 한계가 있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변용과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주월랑 한국사회언어학회 2023 사회언어학 Vol.31 No.4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of marriage-immigrant women. To this end, this researcher applied cluster analysis to a total of 90 questionnaires based on Berry’s Acculturation Model (BAM), using SPSS to verify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by type of acculturation. The cluster analysis of accultura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Marginalization, Segregation,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except for the ideal self group, which had high Marginalization and Segregation but low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types of acculturation change from Marginalization and Segregation to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Korean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related to the ideal self can decrease.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is change in the motivation to learn Korean. The current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limited to the roles of mothers and wives at home; that is, it reduces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to an instrumental motivation for performing their roles at home, rather than for their personal development. This study revealed that marriage-immigrant women’s motivation to learn Korean can change depending on their type of acculturation. However, the analysis of only quantitative research data is a limitation of the study.

      • KCI등재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요구조사

        주월랑,양명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학 Vol.8 No.1

        Ju, Woal-rang & Yang, Myung-hee. 2011. A Study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needs of the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8-1. 175-203. There has been a great increase in the number of marriage between Korean men and immigrant women, due to the Korean Wave and Korea’s economic growth. According to research, married immigrant women learn Korean mainly in order to adjust to Korean culture, to communicate freely with their Korean families, and to help their children’s education. However, the most crucial purpose for learning Korean is to adapt to Korean culture. This infers that it is essential for immigrant women to not only acquire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to settle down well in Korea. Hence, this study suggests the cultural contents necessary for alleviating culture shock that immigrant women experience in Korea. In addition, we assumed that they would ask for different cultural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variable. So as to do this, we carried out a needs analysis to immigrant women about necessary cont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native country, age, Korean proficiency, period of residence, and region. Also,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Korean textbooks for immigrant women,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09. As a result, this paper claim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 or Korean culture textbook that covers necessary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learner's variables.(Dongduk women's university)

      • KCI등재

        문화어휘 ‘우리’의 사용 양상과‘우리+명사’ 구조의 의미 인식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주월랑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2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어휘 ‘우리’의 사용 양상을 비롯한 ‘우리’에 담겨져 있는 문화적인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서 ‘우리+명사’ 구조와 한국어 교재에서 문화어휘 ‘우리’의 의미는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급 교재에서 ‘우리’가 제시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교재에서는 문화어휘 ‘우리’의 문화적 의미는 한국인의 공동체 의식에 대해서만 언급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어휘 ‘우리’의 문화적인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와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에서 학습하고 있는 응답자들은 중국에서 학습하는 학습자들보다 ‘우리+명사’ 구조에서 ‘우리 나라’에 대해서만 공동체 의식을 더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학습 환경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습 기간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학습 기간이 길어질수록 응답자들은 ‘우리 나라’에서만 공동체 의식과 친밀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는 ‘우리 나라’에서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들의 특유한 집단성, 즉 한국인들의 집단주의를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문화어휘 ‘우리’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의미를 교수할 때에는 단순히 공동체 의식만이 아니라, 친밀감이라는 의미도 내재되어 있음을 교수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using a cultural vocabulary ‘우리’ and how they are recognizing its cultural mean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looked into how ‘우리+noun’ structure and meaning of a cultural vocabulary ‘우리’ were explained in Korean textbook.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우리’ was presented in a beginning-level textbook, and cultural meaning of a cultural vocabulary, ‘우리’ was mostly mentioned only on a community spirit of Koreans in textbooks. Meanwhile, this study examined how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understanding and using the cultural meaning of ‘우리’ through survey. The result verified that the respondents who are learning in Korea are sensing a greater level of communal spirit only on ‘우리나라’ in ‘우리+noun’ structure than the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China, and this is believed to be influenced by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eriod of studying also signified that the longer period of studying intensified the communal spirit and increased sense of closeness of respondents only on ‘우리나라’ and this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sensing peculiar collectivity of Koreans, meaning the groupism of Koreans. The result signifi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not just the communal spirit when teaching the implicit cultural meaning of ‘우리’ to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but also the meaning of closenes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