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수용:충돌 대응 알고리즘과 자동차 용도의 영향

        주연경,김반야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1

        A wider adoption of automated vehicles (AVs) has been facing challenges due to ethical issues involving AVs, such as collision algorithms and public perception of the ethical aspects of AVs. Furthermore,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investigated whether the types of AVs can affect one’s attitudes toward the AVs. By implementing an online experimen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ision algorithms (selfish/utilitarian) and the type of AVs (taxis/private vehicles) on individuals’ ethical evaluation of the AVs. Also,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evaluation and personal acceptance of AVs, including individuals’ intention to use the AVs and their willingness to pay more for the vehic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what individuals considered ethically desirable and what they would use or pay a premium for. Selfish collision algorithms degraded the ethical evaluation of the AVs in which the algorithms were embedded but increased one’s intention to use or pay more for the AVs. Also, autonomous taxis were found to decrease individuals’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urthermore, ethical evalu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use the AVs and willingness to pay more,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the collision algorithms and the type of AV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자율주행차의 대중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collision algorithms)을 둘러싼 윤리적인 쟁점들은 자율주행차가 대중화되는 것에 있어 커다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과 함께 자가용이나 택시 같은 자율주행차의 용도 역시 대중들이 자율주행차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기반하여, 이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탑승자 우선/보행자 우선)과 자율주행차 용도(자가용/택시)가 사람들의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와 더불어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가 자율주행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 및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했다. 연구 결과, 자율주행자가 탑승자 우선 알고리즘에 따라 탑승자만의 안전을 보장했을 때, 사람들은 해당 자율주행차가 덜 윤리적이라고 평가한 반면, 해당 자동차를 사용하거나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는 더 높다고 밝혔다. 자율주행차 용도의 경우, 자율주행 자가용에 비해 자율주행 택시를 이용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하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는, 충돌 대응 알고리즘과 용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자율주행차의 이용 의도 및 추가 금액 지불 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율주행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하나의 태도로 일원화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자율주행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보다 다각적으로 살펴보아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율주행차 사고 시 보상책임에 대한 인식- 사고에 대한 통제 소재를 중심으로 -

        주연경,양수정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2

        Collisions of autonomous vehicles (AV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vehicles with respect to the responsibility of drivers since autonomous driving systems take over the control of the vehicles. However, the current law system does not allow distributing liability of collisions to manufacturers, and liability of collisions lies only with AV users. As this liability system is not consistent with public percep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the Autonomous Vehicle Accident Investigation Committee. In this context, it is useful to examine how ordinary people perceive liability for autonomous vehicle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how individuals perceive liability regarding collisions of AVs. By conducting an online experimen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ehicle types (AVs vs. traditional vehicles) and the locus of control (internal locus vs. external locus) affect individuals& perceived liability of a collision. After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read a scenario where either an AV or a traditional car was engaged in a collision. The collision was attributed to either the AV or the driver (internal locus) or to external circumstances (external locus). Then,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present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extent of liability held by the driver, the car manufacturer, and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drivers of traditional vehicles were perceived to be more liable than drivers of AVs. Especially, when an AV caused a collision due to its own fault (internal locus), the driver&s liability decreased to a greater degree. Furthermore, the liability of the car manufacturer or the government was perceived to be higher when the collision involved an AV than when the collision concerned a traditional vehicle. Particularly, the perceived liability of the manufacturer increased to a greater degree when the collision was caused by an AV at fault. However, the perceived liability of the government did not increase even if an AV is responsible for the collision. The present study expands upon previous research on responsibility attribution regarding collisions of AVs, providing empirical data that individuals perceive and assign liability differently to AV collisions compared to collisions involving traditional vehicles. These findings hold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concerning AVs. 자율주행차의 교통사고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을 전담하기 때문에, 사고에 대한 운행자의 과실 정도가 일반 자동차 운전에 비해 작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제도에서는 사고에 대한 보상책임은 자율주행차 운행자에게 전적으로 부과되었다. 최근 들어, 자율주행차 사고 조사위원회가 만들어져, 보상책임을 운행자에게 주로 부과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생기고 있지만 여전히 운행자의 보상책임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통 사람들이 자율주행차 사고 시 보상책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다룬 자료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연구를 통해 자율주행차 사고의 보상책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 유형(자율주행차 vs. 일반 자동차)과 사고의 통제 소재(내적 소재 vs. 외적 소재)에 따라 사람들이 자율주행차 사고의 보상책임을 일반 자동차와 어떻게 다르게 인식하는지를 탐구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실험 조건에 따라 자율주행차나 일반 자동차가 자차 실수로 사고를 낸 시나리오(내적 과실 소재)와 외부 상황 때문에 사고를 낸 시나리오(외적 과실 소재)를 읽고, 해당 사고에 대해 운행자, 자동차 제조사, 정부의 보상책임의 정도에 대해 응답하였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자율주행차 사고일 때보다 일반 자동차 사고일 때 운행자에게 더 큰 보상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일반 자동차 사고보다 자율주행차가 자차 과실(내적 소재)로 사고를 냈을 때, 운행자의 보상책임은 더 감소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일반 자동차 사고보다 자율주행차 사고에서 자동차 제조사나 정부의 보상책임이 더 크게 인식되었으며, 특히 내적 소재로 인한 사고일 때, 자율주행차 제조사의 보상책임이 높게 인식되었다. 그러나 정부의 보상책임은 자율주행차 사고의 통제 소재에 따라 변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자율주행차에 대한 보상책임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실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었던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 책임이 어떻게 서로 다른 행위자의 보상책임으로 연결되는지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 법제화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과 이용 의도 : 자율주행차에 대한 신뢰와 품질 인식의 매개효과

        주연경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6

        사고 발생 시 자율주행차의 행동을 결정하는 충돌 대응 알고리즘은 자율주행차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율주행차가 사고 시, 더 많은 사람들의 안전을 우선시할 것인지, 아니면 탑승자의 안전을 우선시 할 것인지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의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탑승자 우선 vs. 보행자 우선)이 해당 자율주행차에 대한 이용 의도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신뢰와 품질 인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집단 간 실험 방식을 사용 한 온라인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우선, 탑승자 우선 충돌 대응 알고리즘은 보행자 우선 알 고리즘에 비해 사람들의 자율주행차 이용 의도를 증가시켰으며, 자율주행차에 대한 신뢰와 품질 인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율주행차에 대한 신뢰와 품질 인식은 자율주행차를 사용하려는 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신뢰와 품질 인식은 자율주행차의 충돌 알고리즘과 이용 의도의 매개 변인으로 작용했다. Collision algorithms that decide the behavior of autonomous vehicles(AV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s' attitudes towards the AVs. This study utilized an online experiment to investigate whether collision algorithms (selfish vs. utilitarian) can affect individuals' intentions to use autonomous vehicles (AVs), and to examine possible mediators, trust and perceived qua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selfish collision algorithms, when compared to utilitarian algorithms, increased users' intentions to use AVs, and positively influenced trust and perceived quality of the AVs. Furthermore, trust and perceived quality of the AV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dividuals' intentions to use AVs. Finally, trust and perceived quality were identified as mediators between the collision algorithms and individuals' intentions to use AVs.

      • KCI등재

        알고리즘 혐오와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 대중의 인식 : 통제가능성, 불안도, 사고에 대한 책임을 중심으로

        주연경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8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mere exposure to an AV accident can lead to negative perception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employing a 2(car type: autonomous vehicle vs. traditional car) x 2(cause of accident: system’s or driver’s error vs. external factors) factorial design.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fter reading an accident scenario.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posure to an AV accident triggered algorithmic aversion, a preference for human agents over artificial intelligence. Participants in the AV condition perceived lower controllability and reported higher anxiety than those in the traditional vehicle condition. Furthermore, such AV accidents, regardless of the cause, were interpreted as uncontrollable and triggering anxiety. Also,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was perceived as more responsible for the accident than their human counterpar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lgorithm aversion can manifest in the context of autonomous driving.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 단순 정보를 접하는 것이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으로이어질 수 있는지를 온라인 실험을 통해 탐구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차의 유형(자율주행차 vs. 일반 자동차)와사고 원인(시스템 혹은 운전자 실수 vs. 외부 요인)이 다른 네 개의 사고 시나리오를 읽고, 사고 상황에 대한 통제가능성, 유사 사고에 대한 불안도, 주행자의 사고에 대한 책임 정도에 대해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자율주행차사고에 대한 정보를 접한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의 통제가능성은 낮게 평가되고 유사 사고에 대한 불안도는 높아졌다. 또한 사고에 대한 책임 역시 자율주행 시스템이 인간 운전자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이러한 비판적인 경향은 사고의 원인이 자율주행차에 있지 않더라도 크게 감소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 단순 정보가 자율주행차 기술에 대한 부정적 편견으로 직결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방탄소년단 세계관 콘텐츠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생성요건 연구

        주연경 ( Yeongyeong Joo ),조혜정 ( Hyejung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BTS)의 앨범 ‘러브 유어셀프’ 시리즈를 중심으로 BTS 유니버스(BU) 관련 콘텐츠들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BTS 유니버스를 반영한 3장의 앨범, 7개의 영상, 1편의 소설, 1편의 웹툰을 각각 음악, 영상, 출판, 웹툰 분야로 구분하였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방탄소년단의 BU 콘텐츠는 멀티플랫폼의 활용, 콘텐츠의 퍼즐화, 세계관의 공유라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생성요건을 충족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대중음악 분야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활용 가능성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참여로서 방탄소년단의 경우 팬덤 아미의 참여가 주효했음을 발견하였다. BU 콘텐츠는 음악을 단순히 듣고 보고 느끼는 것을 넘어 아티스트의 음악세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단계에서부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다면 팬들의 결집과 함께 음악세계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K-pop boy band BTS’s Love Yourself series to analyze whether BTS Universe (BU) content meets the requiremen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For analysis, we selected three music albums, seven music videos, a novel, and a webtoon as BU content, classifying it as music, video, publication, and webtoon, respectively.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extracted the elements for analysis. Our study showed that the BU content met the requiremen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such as the use of multi-platforms, transformation of the content into puzzles, and sharing of worldviews, thus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e domain of domestically popular music and leading to the discovery of its key factor―to engage the audience. As for BTS, the involvement of its fandom called ARMY was found to be effectual. Thus, the BU conten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mobilize fans and expand the scope of the music world when transmedia storytelling is used from the planning phase, allowing fans to participate the world of music by moving beyond simple fan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watching, and feeling the music.

      • KCI등재

        가상 상대방(agent)의 프로필 외모 유사성 효과 연구

        주연경(Yeon Kyoung Joo),김경보(Kyungbo Kim),장지은(Jieun Jang),장지호(Jiho Jang),심효주(Hyoju Shim),제갈성경(Sunggyung Jegal),허재원(Jaewon Hur)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2

        사람들이 자신과 유사한 존재에 대해 본질적으로 호감을 느낀다는 것은 잘 알려진 심리학적 사실이다. 이렇듯 비슷한 상대방에게 끌린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사성 효과라고 부른다. 유사성 효과는 대인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의 맥락에서도 종종 관찰된다. 사용자들이 자신과 유사한 가상 상대방에게 더 호감을 느끼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런 유사성 효과는 사용자와 가상 상대방이 갈등 관계에 놓인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유사성 효과가 가상 상대방과의 갈등 경험 후에도 계속 이어질 수 있는지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본 연구는 갈등 상황 시, 가상 상대방과 사용자간의 개인 정보 프로필의 유사성과 외모 유사성이 갈등적 상황에서의 경쟁 전략 선택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80여명의 실험 참가자가 가상 상대방과 온라인으로 최후통첩게임이라는 경쟁적인 협상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각각 자신과 유사하거나 유사하지 않은 가상 사용자와 함께 상호작용을 하였다. 이를 위해 2(프로필 유사도: 유사 혹은 상이)x 2(외모 유사도: 유사 혹은 상이)요인 설계가 제공되었다.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우선, 사용자들은 초기에는 자신과 프로필이나 외모가 유사한 가상 상대방에게 호감을 보였다. 그러나 경쟁적 게임이 시작되자, 실험 참가자들은 오히려 자신과 유사한 상대방에게 이기적인 전략을 취하였다. 특히 게임이 반복됨에 따라 외모가 유사한 상대방에게 이기적인 전략을 취하는 태도가 도드라졌다. 게임이 끝나고 이어진 경험 평가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다른 외모를 가진 상대방과 갈등적 상황에 놓인 경험보다 외모가 유사한 상대방과 갈등적 상황에 놓인 경험을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와 관련된 시사점 및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It is well known that people are likely to be prone to similar others. This phenomenon is referred to as similarity effect. Similarity effect has been found in a variety of domains, including both humanhuman interaction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Recent studies showed that users are likely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when they are interacting with agents or avatars that are similar to the users. The current study explored if this positive experience based on similarity between users and agents can last even after users’ performing a series of competitive tasks against the similar agent.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profile/face similarity of the agent would influence users’ strategies at the competitive tasks. We recruited 80 participants and randomly assigned them 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based on a 2(agent’s profile: similar/ dissimilar) x 2(agent’s face: similar/dissimilar) factorial design. Participants played a series of competitive economic games, the ultimatum game, with a similar or dissimilar virtual agent.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both profile similarity and face similarity were effective to formulate positive first impression about the agent. However, similarity was found to lead to selfishness at the game; participants took more selfish strategies when they were interacting with the agents that were similar to them, compared to the agents that were dissimilar. Moreover,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felt more negative when they were interacting with the agent with a similar fa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