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상대방(agent)의 프로필 외모 유사성 효과 연구

        주연경(Yeon Kyoung Joo),김경보(Kyungbo Kim),장지은(Jieun Jang),장지호(Jiho Jang),심효주(Hyoju Shim),제갈성경(Sunggyung Jegal),허재원(Jaewon Hur)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2

        사람들이 자신과 유사한 존재에 대해 본질적으로 호감을 느낀다는 것은 잘 알려진 심리학적 사실이다. 이렇듯 비슷한 상대방에게 끌린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사성 효과라고 부른다. 유사성 효과는 대인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의 맥락에서도 종종 관찰된다. 사용자들이 자신과 유사한 가상 상대방에게 더 호감을 느끼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런 유사성 효과는 사용자와 가상 상대방이 갈등 관계에 놓인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유사성 효과가 가상 상대방과의 갈등 경험 후에도 계속 이어질 수 있는지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본 연구는 갈등 상황 시, 가상 상대방과 사용자간의 개인 정보 프로필의 유사성과 외모 유사성이 갈등적 상황에서의 경쟁 전략 선택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80여명의 실험 참가자가 가상 상대방과 온라인으로 최후통첩게임이라는 경쟁적인 협상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각각 자신과 유사하거나 유사하지 않은 가상 사용자와 함께 상호작용을 하였다. 이를 위해 2(프로필 유사도: 유사 혹은 상이)x 2(외모 유사도: 유사 혹은 상이)요인 설계가 제공되었다.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우선, 사용자들은 초기에는 자신과 프로필이나 외모가 유사한 가상 상대방에게 호감을 보였다. 그러나 경쟁적 게임이 시작되자, 실험 참가자들은 오히려 자신과 유사한 상대방에게 이기적인 전략을 취하였다. 특히 게임이 반복됨에 따라 외모가 유사한 상대방에게 이기적인 전략을 취하는 태도가 도드라졌다. 게임이 끝나고 이어진 경험 평가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다른 외모를 가진 상대방과 갈등적 상황에 놓인 경험보다 외모가 유사한 상대방과 갈등적 상황에 놓인 경험을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와 관련된 시사점 및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It is well known that people are likely to be prone to similar others. This phenomenon is referred to as similarity effect. Similarity effect has been found in a variety of domains, including both humanhuman interaction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Recent studies showed that users are likely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when they are interacting with agents or avatars that are similar to the users. The current study explored if this positive experience based on similarity between users and agents can last even after users’ performing a series of competitive tasks against the similar agent.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profile/face similarity of the agent would influence users’ strategies at the competitive tasks. We recruited 80 participants and randomly assigned them 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based on a 2(agent’s profile: similar/ dissimilar) x 2(agent’s face: similar/dissimilar) factorial design. Participants played a series of competitive economic games, the ultimatum game, with a similar or dissimilar virtual agent.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both profile similarity and face similarity were effective to formulate positive first impression about the agent. However, similarity was found to lead to selfishness at the game; participants took more selfish strategies when they were interacting with the agents that were similar to them, compared to the agents that were dissimilar. Moreover,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felt more negative when they were interacting with the agent with a similar fa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운전 중 음성 에이전트의 설득 효과

        주연경(Yeon Kyoung Joo),박아현(Ah Hyu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3

        스마트카(smart-car)와 맥락 인지(context aware computing) 기술의 발달로 차량 내 음성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차량 내 음성 에이전트는 운전자의 즉각적인 행동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효과적인 설득의 도구로 진화할 것이라 기대된다. 기존의 미디어가 전달하던 설득 메시지와는 달리 차량 내 음성 에이전트는 상황에 맞는 ‘실시간(just-in-time)’ 설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차량 내 음성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에코 드라이빙에 대한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는 실험을 통해 실시간 설득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총 76명의 대학생을 상대로 에코 드라이빙에 대한 이익 프레이밍 메시지와 손실 프레이밍 메시지, 설득 프레이밍을 제시하지 않은 통제 그룹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아무런 설득 메시지가 주어지지 않은 통제 그룹에 비해 설득 메시지가 주어진 두 개의 실험 그룹들의 평균 가속도가 더 낮게 나타나 설득 메시지가 주어졌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에코 드라이빙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익 프레이밍에 기반한 메시지를 전달받은 그룹의 경우 손실 프레이밍 메시지를 전달받은 그룹이나 통제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지 푯말 위반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주업무인 안전 운전 수행의 관점에서 손실 프레이밍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익 및 손실 기반 프레이밍의 경우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조절 변수와의 상호작용을 보다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With advances in persuasive technology based on voice interfaces and context‐aware computing, in‐vehicle voice agents are expected to provide a new persuasive opportunity: just‐in‐time persuasion. We explored how just‐in‐time persuasive messages to promote eco‐driving can affect drivers’ behavior by conducting a lab study. Specifically, we tested how drivers’ behavior in a simulated driving course was affected by persuasive messages with gain or loss framing, or no persuasive messages (the control group).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ho heard persuasive messages (regardless of message framing) at the moment of driving drove in a more eco‐friendly way than those who heard no persuasive messages along with the directions for eco‐driving. Interestingly, when participants were exposed gain‐framed messages, they were more likely to violate stop signs compared to other group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