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혁신적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반응: 직렬이중매개모형을 중심으로

        주경희,박종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response to radical rebranding strategy. Regulatory focus tendency was proposed, and serial dual -mediation model was verified for the mechanism (resistance to change -> perceived novelty).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mood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brand attitud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people with a promotion-focu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 new brand that were completely inconsistent (different) with the existing brand name than those with a prevention-focu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erial dual mediation model using the bootstrapping technique, people with a promotion-focus showed low resistance to change for completely inconsistent new brand,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novelty perception, and this leads to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However, unlike this, people with a prevention-focus tendency showed high resistance to change, which led to a low novelty perception, and this negatively affects new brand attitude. In other words, resistance to change and perceived novelty ser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focus tendency and a new brand attitud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mood was foun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consumers' motivational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mechanism toward a radical rebranding for a successful brand management. 본 연구는 기존 브랜드명을 완전히 다르게 변화시키는 혁신적 리브랜딩 전략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대해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동기적 기질특성 변수인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을 제안하고, 이러한 효과가나타나는 메커니즘(변화에 대한 저항 → 지각된 참신성)에 대해 직렬이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더불어조절초점성향과 브랜드태도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무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향상초점성향을 지닌 소비자는 예방초점성향 소비자보다 브랜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의 메커니즘을 부스트래핑 기법을 이용하여 직렬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향상초점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완전 불일치한 새로운 브랜드에 대해, 변화에 대한 저항감이 낮게 나타나고, 이는 참신성 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예방초점성향을 지닌 소비자는 완전불일치한 브랜드명의 변화에 대한 저항감이 높게 나타나고, 이는 낮은 참신성 지각으로 연결되어, 브랜드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변화에 대한 저항감과 지각된 참신성이 연속적으로 조절초점성향과 브랜드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긍정적 무드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적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적 성향과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 성공적 브랜드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직・간접 폭력 피해경험과위험인식이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

        주경희,우수명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 andRisk Perceptions on Social Workers’ Psychosocial AftereffectKyonghee Ju & Sumyung Woo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direct and indirect violence and risk perception of clients affect psychosocial aftereffects. Using the data of Gyeonggi-do social worker safety survey data,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on the data of 435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direct or indirect violence of client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influence of direct violence experience on psychosocial aftereffect was considerable. In particular, it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order of verbal direct violence experience, physical direct violence experience, and medical direct violence exper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verbal indirect violence experience had effect on personal psychological after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the perception of emotional ris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social aftereffect among the perceptions of risks to work facilities. Based upon the results, the study concluded with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at would efficiently protect social workers’ safety and prevent social workers’ risk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Key Words: Social Worker,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 Risk Perception, Psychosocial Aftereffect, Safety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직・간접 폭력 피해경험과위험인식이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주 경 희**ㆍ우 수 명***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직간접 폭력 피해경험과 위험인식이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경기도 사회복지사 안전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직간접적 폭력 피해경험 있는 사회복지사 435명의 자료를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직접 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았다. 특히, 언어적 직접 폭력경험, 신체적 직접 폭력경험, 의료적 직접 폭력경험 순으로 큰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쳤다. 둘째, 언어적 간접 폭력 피해경험이 개인심리적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시설에 대한 위험인식 중 정서적 위험에 대한 인식만이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위험을 예방하고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사회복지사, 클라이언트의 직간접 폭력 피해경험, 위험인식, 심리사회적 후유증, 안전 □ 접수일: 2022년 9월 11일, 수정일: 2022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한신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주저자,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anshin Univ., Email: macoj2@hanmail.net)*** 교신저자, 중앙대 사회복지학부 강사(Corresponding Author, Lecturer, Chung-Ang Univ., Email: varamhana@daum.net )

      • KCI등재
      • KCI등재

        언어 유희적 기능의 개념 정립의 필요성

        주경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7 텍스트언어학 Vol.23 No.-

        Chu, Kyung-Hee. 2007. A Study of function of pun focused on teaching for effective education. Textlinguistics 23. The function of pun of language is  the clever or humorous use of a word that has more than one meaning, or of words that have different meanings but sound the same. This function of fun of language is different from wordplay. Wordplay making jokes by using words in a clever or amusing way, especially by using a word that has two meanings, or different words that sound the same. is the upper concept above language fun. The reason why we teach function of fun is that they are the basic linguistic method to make laughter. But some people emphasize education about these functions in view point of fragmentary knowledge or play because of unclear concept. This seems to come from the result short of scharlarly knowledge about these. The reason is that schalarly knowledge is the basis of didactical transposition. Thus I reviewed about development of materials, content of goal, activity and strategy goaling function of language fun.

      • KCI등재

        브랜드 리네이밍 전략에 대한 소비자 반응 차이

        주경희,이은영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6

        This current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brand renaming strateg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need for closure. We examine hypotheses using experiment. This research predicts that the impact of incongruity level in brand renaming strategy will be moderated by consumers' need for closure. Specifically, we predicts that people with low need for closure will show a better brand attitude toward extremely incongruent re-named new brand rather than congruent re-named new brand while people with high need for closure will show a better brand attitude toward congruent re-named new brand rather than extremely incongruent re-named new brand. This current study offers brand managers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of all, executing brand renaming strategy in the process of brand management can be a good strategy to get good brand images and better brand attitude from target customers. Next, considering the limited resources, corporate brand managers need to focus on people with the low cognitive need for closure for effective brand renaming execution. 브랜드 리네이밍이란 기업이 브랜드 관리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전략 중 하나로, 기존 브랜드 명을 새롭게 변경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 브랜드명을 어떻게 변경하는지, 즉 기존 브랜드명과 신규브랜드명 간의 불일치 수준(모순 수준)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보고자 한다. 체계적인 실험 방법론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인 인지적 종결욕구를 새롭게 제안하여, 종결욕구가 리네이밍의 불일치 수준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함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분석결과, 종결욕구가 낮은 사람들은 기존 브랜드 명과 신규브랜드명 간의 불일치 수준이 ‘불일치’ 조건인 경우, ‘일치’ 조건보다 더 호의적인 브랜드 태도를 보였다. 이에 비해 종결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기존 브랜드 명과 신규브랜드명 간의 불일치 수준이 ‘일치’ 조건인 경우, ‘불일치’ 조건보다 더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종결욕구가 리네이밍 시 기존 브랜드명과 신규브랜드명 간의 불일치 수준과 신규브랜드 태도 간 관계에서 조절적 역할을 함을 보임으로써, 브랜드 리네이밍 전략 관련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브랜드 관리 매니저에게 브랜드 리네이밍 전략이 보다 더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목표 고객의 인지적 개인 특성을 파악하여 적합한 전략을 구상하는 것이 보다 더 중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른 리브랜딩 효과 차이 연구

        주경희,이은영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2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branding according to mind-set and regulatory focus. Rebranding strategy is an essential one of corporate brand management. Far too little attention has been still paid to rebranding although the number of rebranding cases increases for various reasons in various industries in recent years.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fill this gap by examining the effect of personal disposition of consumers which affect rebranding effect.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branding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consumer's mind-set and regulatory focu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consumers with abstract mind-set and promotion-focused consumers, there is no difference in brand attitude between the modera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and the comple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whereas consumers with concrete mind-set and prevention-focused consumers prefer the modera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to the comple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and develop rebranding strategy by identifying the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re target customers of the brand. 본 연구는 기존 브랜드명을 불일치한(중간 불일치, 완전 불일치) 새로운 브랜드명으로 바꾸는 경우, 즉 불일치한 리브랜딩의 효과가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리브랜딩 사례가 최근에는 다양한 업종에서 다양한 이유로 증가하면서, 리브랜딩에 관한 학계의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브랜딩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성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라 리브랜딩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상적 마인드 셋을 지닌 소비자와 향상 초점의 소비자는 중간 불일치와 완전 불일치한 브랜드명에 대한 브랜드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구체적 마인드 셋을 가진 소비자와 예방초점의 소비자는 중간불일치한 브랜드명에 대한 브랜드 태도가 완전 불일치한 브랜드명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학계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는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의미 있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브랜드 마케터가 리브랜딩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자 할 때, 브랜드의 핵심 목표 고객들의 성향과 특성을 잘 파악하여, 브랜드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마트 상품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혁신 속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경희,왕용,박종철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2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IoT)의 등장으로 스마트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는 가운데, 스마트 상품에 대한 특성을 지각한 소비자들이 구매의향을 보이는 데 있어, 혁신 속성의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혁신 속성 중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스마트 상품 특성,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 그리고 구매의도를 측정한 후, 이들 변수들에 대한 구조적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스마트 상품 특성은 상대적 이점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상품 특성은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스마트 상품 특성은 복잡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혁신 속성과 소비자 구매의도 간의 효과를 고찰한 결과, 상대적 이점과 적합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과 다르게, 복잡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개효과 분석결과, ‘스마트 상품 특성 ⟶ 상대적 이점 ⟶ 구매의도’ 경로에서 상대적 이점에 대한 매개효과와 ‘스마트 상품 특성 ⟶ 적합성 ⟶ 구매의도’ 경로에서 적합성에 대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스마트 상품을 개발하는 데 있어 마케팅 관리자들에게 스마트 상품의 지능 속성 파악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는 신제품에 대한 혁신 속성 중 경쟁사와 비교하여 상대적 이점과 적합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