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통한 비영리법인 조세부담 변화의 추정: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조형태,차상권 한국세무학회 2023 세무와 회계저널 Vol.24 No.1

        In this study, we review the hypothetical additional tax burden to be borne by medical institutions when the current medical institution’s essential business reserve setting rate is lowered or the reserve system is abolished. We use data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f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stimated average effective tax rate, when analyzed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it was found that tertiary hospitals receive more tax benefits from the reserve system than secondary hospitals. The estimated average tax rates were found to increase by 17.02%p (setting rate:100%) and 14.78%p (setting rate:50%) respectively in the absence of the reserve system. In terms of establishment type, in the case of institutions with a 100% setting rate of reserves,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ed by education entities were found to receive higher tax benefits from the reserve system. In the absence of the reserve system, the estimated average effective tax rate was found to increase by 21.58%p. In the case of medical institutions with a 50% setting rate,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ed by foundations receive higher tax benefits from the reserve system. In the absence of the reserve system, it was found to increase by 17.94%p. Estimated average tax payable per medical institution was also found to be higher in those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Despite the potential tax revenue increased above from a government perspective, the following needs to be considered. First, given the Medical Service Act which disallows for-profit corporations to establish medical institutions, caution needs to be taken for taxation of non-profit medical institutions like for-profit corporations. Second,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dustry, such as the public interest and public welfare provided by he medical industry. If the current reserve setting rate is lowered or eliminated which leads to tax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like for-profit corporations, the medical institution can pass on the increased cost to the medical service consumer, which in turn increases the economic burden on the medical service consumer 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inances. Third, if the current medical institutions’ reserve system is required to be changed, tax benefits for medical institutions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alternative minimum tax system. Unlike the prior studies which focused on medical institutions’ profit reporting behavior through a reserve fund,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analyzes medical institutions’ tax burden change and how their tax burden would increase if the reserve setting rate was gradually lowered.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의료기관 회계정보 공시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의 의료기관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을 낮추거나,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를 폐지할 경우 의료기관에서 추가적으로 부담하는 세부담을 검토해 보았다. 추정 평균유효세율 관점에서, 의료기관의 종별로 분석하였을 때,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에 비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세제 혜택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가 없을 경우 이들의 추정 평균유효세율은 17.02%p(설정률:100%), 14.78%p(설정률:50%)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립 유형별로 보았을 때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 100%인 기관의 경우 학교법인이 설립한 의료기관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로 인한 세제 혜택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가 없을 경우 이들의 추정 평균유효세율은 21.58%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 50%인 기관의 경우 재단법인이 설립한 의료기관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로 인한 세제 혜택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가 없을 경우 이들의 추정 평균유효세율은 17.94%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기관당 추정 평균 부담세액 역시 동일한 종별, 설립 유형별 의료기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구조상 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설립할 수 없는 우리나라의 의료법 체계를 고려할 때, 영리법인과 같이 비영리법인 의료기관의 수익에 대해 과세하는 것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의료산업에서 요구되는 공익성과 국민의 후생 등 의료산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의료기관 세제에 대한 접근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의 의료기관의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을 낮추거나 영리법인과 동일하게 과세할 경우, 의료기관이 증가되는 비용을 의료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있고, 이는 다시 의료서비스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의 증가 또는 건강보험 재정의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어 세입 측면만 고려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셋째, 유형별로 다른 의료기관의 세부담을 조정한다는 관점에서 현재의 의료기관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를 변화시킨다면 의료기관에 대한 세제혜택을 최저한세 제도 등을 통해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 이전 이익과 이후 이익을 비교함으로써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통한 이익 보고 행태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종별, 설립유형별로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로 인한 세부담 절감 수준, 그리고 점진적으로 고유목적사업 준비금 설정률을 낮출 경우 이들의 조세부담이 어떻게 올라갈 것인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 KCI등재

        국민 삶의 질과 국가 결산보고서의 연계가능성에 대한 탐색 : 뉴질랜드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조형태 한국국제회계학회 2023 국제회계연구 Vol.- No.111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liminarily examine the role that accrual accounting information can play as a tool to provide insights into whether the current fiscal activities in South Korea are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its citizens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New Zealand governmental fiscal reporting case and Korean governmental fiscal reporting cases. New Zealand is a country that applies accrual-based double-entry accounting to both budget accounting and financial accounting, encompassing assets, liabilities, revenues, and expenses in all fiscal areas. It is the only country attempting to link the indicators of citizens' well-being with its financial reporting. [Findings]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s: First, there is an attempt to depart from conventional accounting standards in order to measure the contribution to the well-being of citizens by representing and measuring governmental assets and liabilities in various portfolios (social portfolio, financial portfolio, commercial portfolio). Second, it is evident that the New Zealand Ministry of Finance, responsible for government financial reporting, is proactive in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indicators related to citizens' well-being, such as the Living Standards Framework (LSF). Third, despite these efforts,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current New Zealand accountability reporting in fully integrating LSF and financial reporting. Fourth, presenting estimated data from an accrual accounting perspective regarding whether portfolios related to improving citizens' quality of life will continue to play their role in the future is also significant. Accordingly, if the current governmental fiscal reporting in South Korea were to be linked to quality of life, the following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is influenced by a wide range of factors, and the measurement of itself is challenging, given its subjectivity, variability, and complex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process of measuring quality of life and its reflection in accountability reporting to be organically connected. [Implications] Therefore,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a practical method to link citizens' well-being with accrual financial information appears to be the production of information through COFOG. At least, generating functionally classified information following accrual-based information standards like GFSM 2001 or later, along with generating related asset/liability information, and linking them with well-being indicators, would be a realistic approach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term, it seems necessary for indicators measuring citizens' quality of life to be established stably and integrated with accrual financial information. The process of measuring quality of life and its reflection in accountability reporting should be systematically connected, and there may be a need to restructure governance of indicator generation and national accountability-related tasks under a single organization to oversee this process. Additionally, the possibilities of measuring fiscal risks and preparing reports for long-term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우리나라 자본시장에서 장부가격 대비 시장가격 비율의 요인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조형태,박진하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2

        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of how the book-to-market ratio() improves estimates of expected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by breaking it into changes in the book value of shares, changes in the market price of shares, net issuance of shares and lagged book-to-market ratio, as suggested by Fama and French(2008).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It was found that coefficients of variables derived by breaking the book to market ratio, which were issuance of shares, change in the price of shares, change in the book value of equity and lagged book-to-market ratio, have significant value with different signs and absolute value. Also, a variable representing recent news has a more significant coefficient than other variables and a more lagged variable has a less significant coefficient. Changes in the book value of share have a more explanatory power during longer lagged periods than shorter lagged periods and that was found in both large firms and small firms. With respect to the explanatory power of net shares, a gener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urn of stock and the issuance has been found. However, the effect is more prominent for shares in small firms where the issuance/repurchase of shares in small firms is relatively frequent. Breaking into its components boosts the more explanatory power of expected stock returns than the original Fama and French 3 factor model by analyzing slopes of each variable. By finding different slopes of each variable, it was proven that the evolution of helps disentangle the information in the ratio about expected cashflows and expected returns. 본 연구는 Fama French 3요인 모형 중의 한 요인인 회계상 장부가격과 시장가격 비율을 시간간격을 둔 과거 시점의 동 비율, 시장가격의 변화, 회계상 장부가격의 변화 그리고 순발행주식수의 변화로 세분화하고 해당 변수의 회귀계수를 관찰하여 주식수익률의 설명력이 증가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회사의 1992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의 수익률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D 수익률을 초과하는 주식 수익률은 과거 시점의 장부가격과 시장가격 비율과는 양(+)의 관계, 시장가격의 변화와는 음(-)의 관계, 장부가격의 변화와는 양(+)의 관계가 나타났고, 이들 회귀계수의 절대값이 항상 같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전 기간의 순발행 주식수와는 음(-)의 관계가 있고, 과거의 장부가격 대비 시장가격 비율이 최근의 동 비율보다 주식 수익률과 상대적으로 관련성이 적은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대형주와 소형주를 구분하여 분석한 내용에서 대형주의 경우 시간간격이 짧을 때는 장부가격의 변화가 시장가격의 변화보다는 주식 설명력이 미미하였지만 장기간의 시간 차이에서는 장부가격의 변화가 시장가격만큼 유의한 설명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소형주 역시 시간간격이 짧을 때는 장부가격의 변화가 시장가격의 변화보다 주식 수익률 설명력에 유의성이 떨어졌지만 시간간격이 클수록 주식수익률 설명력이 높아졌으며, 시장가격의 변화보다 높은 유의 수준의 회귀계수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소형주 집단에서 주식 매입, 발행이 활발히 이뤄졌던 기간에 순발행 주식수와 주식 수익률 간의 관계가 뚜렷이 보였고, 시간간격 증가에 따른 설명력 감소 효과도 두드러졌다.

      • 미세먼지 및 원인물질 동시저감을 위한 마이크로버블 시스템 설계 및 적용

        조형태,김정환,송호준,정재억,박한신,임경필,김경동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현재 전 세계적으로 미세먼지 및 원인물질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면서 미세먼지(PM) 자체에 대한 제거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원인물질(SOx, NOx) 제거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 공정은 마이크로버블 이용하여 배기가스 내 미세먼지 및 원인물질 동시 제거공정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켜, 미세먼지 및 원인물질을 포집하는 새로운 방식의 습식 스크러버이다. 대상공정의 미세먼지 및 원인물질 제거율은 마이크로버블 시스템의 운전 조건 및 산화제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용화를 위해서는 최적의 운전조건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동분석을 위하여 실제 장치의 CFD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미지프로세싱을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사이즈 측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동시에 상업화를 위한 실증 테스트 결과 미세먼지와 SOx 제거율은 99% 이상, NOx 제거율은 93% 이상으로 높은 동시 제거율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강화에 따른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미세먼지 및 원인물질 동시제거 신기술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 KCI등재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비과세제도가 펀드 투자에 미치는 영향

        조형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8 회계정보연구 Vol.36 No.2

        Funds have become one of the leading financial investment asset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and this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fund balance and other financial products. However, in spite of quantitative growth, Korea 's fund tax system was relatively unstable, and detergent application was often disadvantageous compared to direct investors. For example,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its from th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 are classified as dividend income in spite of the nature of the collective investment property, and the assets that had benefits such as tax exemption at the time of direct investment are invested through th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 There was a criticism that it was not applicable and it became a problem of tax equality. For this reason, the impact of taxation on the investment of funds has been found empirically in several previous researches. In the present study, the tax exemption system for foreign investment invested in overseas stocks under Article 91 (1) .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fund micro level data, the net cash inflow of overseas equity fund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omestic equity fund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and the exchange rate and benchmark return rate, which were not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In particular, while net inflows to foreign equity fund investments, which are highly likely to receive tax benefits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increased, net inflows of domestic equity funds, which are not eligible for the tax benefits of the tax-free system,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 tendency to repurchase domestic equity-type funds and invest in overseas equity-type funds. It is possible to deduce that the present income tax system that classifies the investment income as the dividend income rather than the nature of the investment property to be invested is an impediment to the current inves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nalyzed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tax exemption tax on foreign equity investment only temporarily applied on the fund investment by using the micro data of the fund. 펀드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에 대표적인 금융투자자산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는 펀드 설정 잔액의 규모와 타 금융상품간의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펀드세제는 비교적 안정적이지 못하였고, 직접투자자에 비해 불리한 세제 적용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집합투자기구부터의 이익을 집합투자재산의 성격에도 불구하고 일괄적으로 배당소득으로 분류하고, 직접투자시에 과세 제외 등의 혜택이 있던 자산들이 집합투자기구를 통해서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그 적용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세제 변화가 펀드 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선행 연구에서 발견되었고, 본 연구에서 제도적 배경으로 삼은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 17 상의 해외주식투자전용집합투자기구 비과세 제도에서도 부분적으로 확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펀드 미시 수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한 결과 해당 제도의 도입으로 해외주식형 펀드의 현금순유입이 국내주식형 펀드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선행 연구에 활용되지 않았던 환율 및 벤치마크 수익률을 통제 변수로 사용하여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제도 시행 시점 전후로 조세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해외주식형 펀드 투자에 순유입현금흐름이 증가하였던 반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없는 국내주식형 펀드의 순유입현금흐름은 오히려 감소되어, 조세유인으로 인해 펀드투자자가 국내주식형 펀드를 환매하고, 해외주식형 펀드를 투자하는 현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집합투자재산의 성격을 고려치 아니하고 과세하는 현행 소득세 체계가 펀드투자자에게는 투자의 저해 요소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펀드의 미시자료를 활용하여 최근에 한시적으로 적용된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비과세 세제가 펀드 투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 재무총괄보고에 관한 연구 : 국가공기업 결산총평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형태 한국정부회계학회 2021 정부회계연구 Vol.19 No.2

        지방공기업의 재무결산에 대한 기준은 행정안전부에서 결정되는데, 이 결산기준은 각 지방공기업 재무제표의 통일성, 비교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기준으로 주로 각 기업정보의 취합 및 행정안전부가 수 행해야 할 표준공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개별 지방공기업은 이러한 기준에 따라 재무정보를 생산하고, 중앙주무부처는 이를 취합하여 일괄공시하기 때문에 재무정보가 정보제공자와 중앙부처의 필요에 의 한 방향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공기업의 결산총평과 유사하게 지방정부의 의회나 행정서비스를 받는 지역주민 등 지방정부 정보이용자 중심으로 지방정부 수준에서의 지방공기업 결산총평 자료를 작성할 것을 제안 한다. 지방정부 수준에서의 자기 검증 및 공기업 운영방안에 대한 자체 계획 설정, 지방의회 구성원과 지역주민의 총괄적인 공기업 재무정보 이해 증진, 지방 예산회계로의 환류, 지방공기업 직능에 대한 검 토를 위한 방향으로 지방공기업 군의 결산자료를 각 지방정부 수준에서 종합하여 분석하는 자료를 작 성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결산총평은 정보이용자의 이해를 위해 도표, 그래프 등의 인포그래픽 을 활용하고 쉬운 서술로 정보 해석에 도움을 주는 방법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공기업(준정 부기관)의 결산총평과는 다르게 동일 지방정부의 지방공기업에 대한 비교보다는 유사한 다른 지방정부 의 동일 기능을 가진 지방공기업을 비교하여 해당 지방공기업의 운영방안에 대해 스스로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의 재무보고와 국가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결산총평을 비교하여 지방정부 행 정서비스 수요자 중심의 지방공기업 결산총평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The standards for the financial settlement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re determin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hich focuses on the uniformity and compar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of each local public enterprise, and is a standard disclosure that must be perform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ocus on. Since individual local public enterprises produce financi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and the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 collects and discloses it collectively, financial information is likely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needs of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central departm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prepare the data for the general settlement of account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centering on information users, such as local government parliaments or local residents receiving administrative services, similar to the general settlement of accounts of public enterprises. Self-verification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self-assessment of SOE management plans, promotion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E financial information by members of local councils and local residents, return to local budget accounting, and review of local public enterprise functions. I think it is necessary to prepare data that analyzes the financial statements of public enterprises at the level of each local government. This general settlement review should be prepared in a way that uses infographic such as charts and graphs for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users and helps information interpretation through easy descriptions. In addition, unlike the general settlement of accounts of national public enterprises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rather than comparing local public enterprises of the same local government, they compare local public enterprises with the same functions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make their own direction for the operation plan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I think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catch it.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mpared the financial report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he general settlement of accounts of state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to propose a general settlement of account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service consumers.

      • 집합투자기구 투자증대를 위한 세제 개선방안 연구

        조형태 한국금융연구원 2018 금융연구 working paper Vol.2018 No.1

        펀드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대표적인 금융투자자산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는 펀드 설정 잔액의 규모와 타 금융상품 간의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펀드세제는 투자자에게 혼란을 주거나 직접투자자에 비해 불리한 세제 적용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집합투자기구로부터 받는 이익의 성격을 세무상 일괄적으로 배당소득으로 분류하고, 직접투자시에 과세 제외되는 자산들이 집합투자기구를 통해서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그 적용을 받지 못해 과세형평성에 문제가 되는 등의 비판이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세제 변화가 펀드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여러선행 연구에서도 실증적으로 발견되었고, 본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한 2016년 해외주식투자전용집합투자기구 비과세 제도에서도 확인되었다. 펀드 미시 수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해당 제도의 도입으로 해외주식형 펀드의 현금순유입이 국내주식형 펀드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선행연구에 활용되지 않았던 환율 및 벤치마크 수익률을 추가로 통제변수로 사용하여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국 집합투자기구 그리고 투자대상이 되는 집합투자재산의 성격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높은 세부담만을 일으키는 배당소득세의 과세가 현재 펀드투자자에게는 투자의 저해 요소인 것으로 이 분석을 통해 추론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집합투자기구 세제를 미국, 일본과 같은 수준으로 개선해야 할 것을 제안하며, 적어도 투자자가 펀드로부터 수취하는 자본이득에 대해서는 세법상 소득 분류에 대한 변경을 해야 하고, 해당 양도소득의 소득세 체계를 직접투자의 세제와 형평성이 맞게끔 정비할 것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펀드 매매, 환매로 인해 발생하는 소득은 현행 세제와 같이 배당소득으로 할것이 아니라 양도소득으로 세법상의 분류를 변경해야 하고, 그 양도소득에 대한 과세처리는 집합투자시의 과세처리와 형평에 맞게끔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현재 연 1회 강제로 분배되는 소득도 집합투자재산의 평가이익·매매이익과 같은 자본이득이 아닌 배당, 이자와 같은 수동적인 소득만 가능하도록 하여 강제적 분배로 인해 펀드 수준의 자본이득과 펀드 투자자 수준의 자본이득에 혼동이 없도록 하는 것이 납세자 조세순응도 제고 측면에서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제도적 제안은 현행 펀드 세제가 도관이론이 아닌 실체 이론에 보다 부합하고 있는 현재 실정, 집합투자기구로부터의 이익의 경제적 실질 그리고 펀드 투자의 활성화를 위한 고려에 기반한 것이다. 또한 펀드가 형식상 법인격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회사형 펀드 또는 신탁형 펀드)에 따라 달리 과세되는 점을 막아 펀드 투자에 대한 조세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언이기도 하다.

      • 발전용 회수보일러 실시간 최적화를 위한 지능화 모델 개발

        조형태,김정환,박한신,임경필,김경동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회수보일러는 크라프트펄프(표백화학펄프) 공법의 펄프공장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보일러로서 목재칩에서 생산되는 흑액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이다. 흑액이란 목재칩의 펄프화 공정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증해에 사용된 약품과 목재칩에서 분리된 리그닌 등이 함유 된 물질이다. 흑액을 연소하여 생산된 스팀과 전력은 펄프·제지 공정에 공급되며, 약품은 회수하여 증해 공정에 순환 사용하는 핵심 공정이다. 흑액 연소로 발생하는 ash가 보일러 열 교환 튜브 표면에 퇴적되어 열 교환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회수보일러에서 생산된 고압 스팀 일부를 수트블로워(sootblower)라는 설비를 통해 퇴적된 ash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수트블로워는 작업자 경험에 의존한 수동 운전으로 과도한 작동 횟수 및 높은 압력으로 tube 파손과 스팀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ash 퇴적량 및 위치에 따른 60개의 수트블로워의 적정한 운전 조건을 찾기 위하여 AI를 활용한 운전최적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후 지능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고 현장 제어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하여 실증화 기술을 완성 하고 초고압 스팀 생산량 증가를 통한 수익 창출 이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