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양교육 매체로서 우리말 해설 프로그램의 정체성과 발전 가능성

        조형일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8 대학교양교육연구 Vol.3 No.2

        교양교육 차원에서 볼 때 전문화된 지식을,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수준을 고려하여 얼마만큼 간단하고 쉽게 전달하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말 방송을 듣는 청취자의 교양 수준이 매우 넓게 분포되었다는 것을 파악하여 처음 접하는 사람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이미 아는 사람은 다시 한번 주목하여 자신의 지식을 견고하게 만들 수 있게 하고 제공되는 수준을 뛰어 넘는 교양을 갖춘 사람은 내용을 환기시켜 자신의 주변사람들에게 전파할 수 있도록 내용과 방식을 정치하게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말 해설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우리말 교양교육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이의 원리를 제안해 보고 이를 통한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1. 영위 층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의 활용 범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2. 지역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3. 방송 시점에서 합의된 것들의 논리를 구체적이면서도 단순하게 구성하여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4. 무엇보다 설명의 목적성을 분명히 해야 한다. From a liberal education standpoint, taking into account the level of the object in need of it, how simple and easy to transfer it is to communicate specialized knowledge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 level of sophistication of listeners who listen to Korean language broadcasts is very widely distributed so that people who are new to this can easily understand it and people who treats this knowledge with knowledge should make it worth noting once again. This should make his knowledge stronger. And those with a culture that goes beyond the level it is provided will have to be produced with consideration of content and methods so that they can be recalled and disseminated to the people around them.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broadcasting programs for libe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cluding the Korean language commentary program, was proposed in the following four ways and looked for potential development. 1.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diversity of the hierarchy and liberal availability of the program. 2. It has to Consider regional differences. 3.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communicate the logic of the agreements concretely and simply at the time of broadcasting. 4. First of all, the purpose of explanation should be clarified.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조형일,송지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3

        Recent studies on Korean writing have pointed out the limits of writing consistently and insist that a more practical and clear writing instruction is needed. However in comparison to the necessity there is a lack of practicality and specificity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authentic teaching methods about how to fundamentally write instruction and how to teach in classroom lessons. In this thesis, we tried to propose a method of ‘writing three sentences’ as a way to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in actual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when a learner produces a text, the learner starts by writing three sentences in a way that is prepared from the educational aspect, and based on this, we proposes a writing method that expands to three paragraphs. Through practical examples, it was shown that ‘three sentence writing’ methods considered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can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step by step. For this, in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he three sentences were set by the principles, and then examined its composition and significance.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writing education method concrete and clearly. 한국어 쓰기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쓰기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보다 실제적이고 분명한 쓰기 지도법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쓰기가 지향해야 할 방법, 구체적으로 교실 수업에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 교수법에 대한 논의는 그 필요성에 비해서 실제성과 구체성 부분에 있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세 문장 쓰기’라는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하나의 텍스트를 산출해 낼 때 교육적 측면에서 구안된 방식으로 학습자 스스로 세 문장을 작성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이를 기반으로 세 문단으로 확장 구성해 가는 쓰기 교수법을 제안했다. 실제 사례를 통해서 통사적, 의미적으로 고려된 세 문장 쓰기 교수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을 밝혔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세 문장 쓰기가 어떤 원리에 의해서 설정된 것인지 간단히 논의하고 이후 그 구성 방식과 유의성을 진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쓰기 교육 방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학문 목적 한국어 수업에서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보조 교사의 책무와 역할

        조형일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9 한어문교육 Vol.40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원어민 강사를 보조로 사용하는 원칙과 방법을 제안하여 학문적 목적을 위한 한국어 수업의 원활한 운영을 촉 진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교사(TA: Teaching Assistant)는, 학문적 목적 으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교실의 성격과 상황을 고려할 때, 교사와 같은 능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준전문가에서부터 학문목적 한국어교 육에 대한 매우 간단한 지식을 가진 자 그리고 지엽적인 측면에서 도움 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개념처럼 매우 폭넓게 이해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으로서 이들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해 보는 한편 이들이 자신이 속한 유형을 이해하고 그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교육받을 수 있어야 함을 주장했 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전반을 이해하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 질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보조교사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분 명하게 알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는 것과 전문가나 준전문가 단계의 역할을 하는 보조교사가 하위 단계에 있는 보조교사의 멘토 역할을 해 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 상세하게 논의했다. 이를 통해서 앞으로 학문적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 원어민인 학교 구성원의 자원을 적 극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그 운영의 원리와 방안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inciples and methods for using native speakers in schools as assistants to facilitate the smooth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Considering the nature and circumstances of the classroom where Korean language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are conducted, an Teaching Assistant(i.e. TA) has the same ability and experience as a teacher. And these are also people who has with very simple knowledge of the subject. It also includes those who can help in a very local way. TA can be understood very widely. This study summariz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Korean TA and argued that TA's need to be able to guide/educate so that they understand what type of person they belong to and have the capabilities of that type. This study suggested that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cannot actually be done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the more detailed the rules on what TA should do. And higher-level TA have revealed that they should be able to serve as mentors for all lower-level TA. It also said that there must be a communication window between assistant teacher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needs to actively and systematically utilize the resources of school members, who are native speakers of Korean.

      • KCI등재후보

        어휘의 뜻풀이 정교화를 통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조형일,진대연 서울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of foreign students through elaborating word definition. We took a position that brand-new teaching methods of writing are needed for specific learning groups, especially for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because they are supposed to develop and prove writing skills in order to perform their studies successfully. First, in chapter Ⅱ, we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in context of teaching tradition and made sure that practical methods of teaching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re still insufficient. Next, in chapter Ⅲ, we analyzed previous research results focused on word definition and found elaborating word definition useful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for tertiary level students. Finally, in chapter Ⅳ, we presented a practical teaching method for writing through elaborating word definition by showing the results which 15 foreign students (from China and Japan) produced while participating in writing class. In this paper, we introduced a new method for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related to word learning, and expect much more teaching methods of writing to be developed and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학교문법에서의 보어 범주 재고

        조형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8 국어교육연구 Vol.21 No.-

        This study shows that complement conception in Korean must have established through the new criteria for complements of school grammar. I already criticized the sentence has been set up to consider the nature of its exemplified part. So this study's purpose is based on that and prepared a new scheme of Korean complement conception. It is expected to establish new concept for school grammar by consideration fo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omplement in Korean. Changing point of view in sentence structure is very useful methods I thought. So I suggested that the four maxim of complement concepts on this study. ① Complement is a principal constituent of sentence ② If there is a sentence and it consists of principal constituent of sentence, the exception of three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sentence, which are predicate, subject, object, is complement. ③ Except those two case; nominative case and objective case, if there is used a postpositional word and some word is binding this case word, it is a complement.(adverbial NP complement) ④ A type of a verb which is combined the connection-ending ‘-게’ is a complement. (adverbial VP complement) 문장성분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 중에서 보어는 꽤나 논란거리가 되는 주제다. 보어를 인정하지 않는 견해와 부사어로 처리하는 견해, 그리고 보어를 인정하는 견해들 간의 입장 차이는 그리 쉽게 좁혀질 것 같지는 않다. 본 연구에서는 보어의 실현 과정에 대한 원리의 탐구가 아니라 작문, 담화 상황에서 실현되는 문장들을 학습자가 어떻게 인지하는지로부터 시작해서 자신이 의도한 문장을 합리적으로 구성해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학교문법에서의 학습목표로 보아 문장의 표면구조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논의되었던 보어에 대한 연구들을 몇 개의 모둠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고 이들에 대한 논자의 견해를 제시하여 보어 개념을 재고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 보어는 문장의 주성분의 하나이다. ② 어떤 문장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분 즉, 주성분 중에서 서술어, 주어, 목적어 외의 것은 모두 보어이다. ③ 주격, 목적격이 아닌 조사(기존 학교문법에서 부사격 조사로 보고 있는 -에, -에게, -와/과, -로 등)와 결합한 성분은 보어이다. (부사화 명사구 보어) ④ 동사(구)의 어간에 붙어서 그 아래에 오는 동사의 내용이나 정도를 제한하거나 어떤 목표나 행동이 미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게’와 결합한 형태는 보어이다. (부사화 동사구 보어)

      • 시의 언어, 그 어의(sense)에 대한 소고

        조형일 시학과 언어학회 2016 시학과 언어학 Vol.32 No.-

        이 연구에서는 단어나 말의 의미를 뜻하는 어의(語義)라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 시가 말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의미를 실현시키는 실체적 요소임을 진단하고 그 중요성과 원리를 밝혀 보고자 했다. 작가가 아닌 독자의 입장에서 시어가 갖는 ‘어의’에 대한 이해가 조금은 편리하게 가능 할 수 있는, 배경지식으로서의 프레임을 제안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시어를, 그 배경이 되는 표현들과 시인의 의식에 관계하는 표현 그리고 이미지나 감각을 담는 표현들의 자릿값으로 크게 나누어 보았다. 시를 구성하는 언어 표현들을 일차적으로 구분하는 데에는 <배경>과 맥락으로서의 <의식>, 초점이 되는 <이미지와 감각>이면 충분한 것으로 보고 이를 도식화하여 제안해 보았다. 이 영역에 해당하는 단어 표현들을 우선 구분하여 그 어의를 파악하는 것으로 시에 쓰인 언어의 해석은 일단 충분해질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초점화와 배경의 영역에 추가와 해체, 맥락 더하기와 탈맥락하기가 점진적으로 관계되면서 이들의 어의는 수식과 조응의 형태로 그 결속관계를 강화-약화하게 될 것으로 진단하고 이를 4개의 사분면으로 다시 설명해 보았다. In this thesis will diagnose the SENSE which means word and dialogues’s meanings is most basic and important authentic part of the Poem. So I would like to clarify the principle of the SENSE. It means that not a poet: creator but a reader: consumer’s sight of view the SENSE put a little bit convenient background knowledge in a reader. So because of this we will suggest sensible to the frame of background knowledge. For this, before everything I divided expression of the poem into background expression and expression which are concerned to a poet; writer, and position of image and sense. After then for distinguish expression of the constituent of poem fundamentally, it is fulfill that < background > and < consciousness: at a context >, < image & sense: at focused >. Furthermore, these three concept are suggested which are schemed. Finally, I explained focusing and overlapping, dismantling, additional context and decontextualized are related by degrees with quadrant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