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칙적인 수영 훈련이 L-NANE 유발 고혈압 흰쥐 좌심실의 제1형 Collagen 분포와 좌심실 비대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 ( Hyung Sook Cho ),안의수 ( Eue Soo An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Nitric Oxide 합성억제로 유도된 고혈압 흰쥐에 있어서 규칙적인 수영 훈련이 좌심실의 제1형 Collagen 섬유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항고혈압 및 좌심실의 병적 비대를 막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Sprague- Dawley Rat(n=40)을 통제집단(Con, n=10), 고혈압 통제집단(L-Con, n=10), 고혈압 운동집단(L-Ex, n=10), 수영 훈련 집단(Ex, n=10) 등 총 4집단으로 분류하고, 고혈압은 Nω-nitro-L-argine methyl ester(L-NANE, 50 mg ㆍ kg-1 day-1)를 복강 내 주사하여 유발시켰다. 수영 훈련 기간은 8주동안 주당 5일, 하루에 30분씩 실시하였다. 몸무게, 수축기 혈압, 심박수는 실험 기간동안 매주 1회 측정 하였으며, 8주 후에 희생시켜 심장을 적출하여 좌심실의 제Ⅰ형 Collagen 분포와 좌심실 비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축기 혈압과 심박수는 고혈압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떨어졌고(p<.001), 좌심실의 제Ⅰ형 Collagen 분포는 고혈압 통제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고혈압 운동집단에서는 유의한 차는 없었지만 통제집단 보다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좌심실 벽 두께도 고혈압 통제집단이 모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두꺼웠으며(p<.001), 운동 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좌심실 벽 두께가 유의하게 얇았다(p<.05). 또한, 고혈압 운동집단은 유의한 차는 없었지만 통제군 보다 얇았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수영 훈련은 L-NANE 유발 고혈압 흰쥐에 혈관 확장과 제Ⅰ형 Collagen 섬유 생성을 줄임으로써 좌심실 비대를 막는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수영훈련은 항고혈압 및 심근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swimming training assessing left ventricular type Ⅰcollagen volume &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induced hypertensive rats. This study forty Sprague-Dawley rats aged 8weeks old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Con: n=10), control+L-NAME group (L-Con: n=10), L-NAME+swimming group(L-Ex: n=10) and swimming group (Ex n=10). Hypertension was induced by injection (I.P) of, Nω-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50 mgㆍkg-1day-1). Animals in swimming groups were subjected to swimming training, 5 day/week with duration of 30 minutes for 8 weeks. Blood pressure, body weight and heart rate were monitored during the session experimental period.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the last day of the 8 weeks thickness of the left ventricular wall and left ventricular type Ⅰcollagen volume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duced in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Exe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1).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L-Con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Left ventricular type Ⅰcollagen volume (p<.001). The thickness of the left ventricular wall was decreased in the L-Ex and the Ex groups than in the L-Con group (p<.001) and the Con groups (p<.05). The current finding of the suggest that regular swimming have vasodilatory capacity of the artery and decreased type Ⅰ collagen volume, resulting in prevente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L-NAME induced hypertensive rats. In conclusion, swimming training effects by antihypertensive and increased myocardium func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인지조절능력, 과학교수효능감, 과학불안의 관계

        조형숙(Hyung Sook Cho),양수영(Su Young 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과학교육 실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교사교육의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고자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인지조절능력, 과학교수효능감, 과학불안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직유아교사 10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설문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인지조절능력과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인지조절능력 중 인지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인지전략을 고려한 교사교육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o make science education more activ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varied relationships amo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education, cognitive regulation ability, science-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nxie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nts consisted of 102 in-service teachers, who answered a questionnaire. The data thus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ve regulation ability and science-teaching efficac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was verified to be the cognitive strategy of cognitive regulation ability. The study then discusses teacher educational directions considering the cognitive strategy of cognitive regulation ability.

      • KCI등재

        탐구중심 수·조작영역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조형숙(Hyung-Sook Cho),이명옥(Myeong-Ok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중심 수․조작영역 활동을 구성하여 적용했을 때 이와 같은 경험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K유치원 만5세 유아(A반 26명 실험집단, B반 26명 비교집단 임의 배정)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처치는 총 8주 동안 유치원 매일의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이루어졌다. 사전․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인 분류, 패턴, 수, 측정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수학에 대한 태도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태도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탐구중심 수․조작영역 활동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center activity based upon inquiry on the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attitude.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52 five-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 classroom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a variety of mathematical explorations and inquiry involving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used materials individually or sometimes two children played with dice following a procedure that had been explained to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computer program and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classification, pattern, number, measurem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pe and statistics.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 KCI등재

        생활발명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 ( Hyung Sook Cho ),김정숙 ( Jung Suk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생활발명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위치한 2개 어린이집의 만 5세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배정하였으며, 총 유아 37묭 중 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9명으로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6주 동안 총 17회에 걸쳐 생활발명 활동을 처치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발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창의성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가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the premise that everyday life invention opportunities occur in all of our lives, including our very young lives and that such invention requires a disposition to recognize problems and a belief that one can find ways to solve them. These are also key requisite abilities in creativity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and attitude. Subjects were thirty-seven 5 year-old children from two day centers in Seoul. Eighteen 5yaer-old children from Y invention activities 17times for 6 weeks while nineteen 5-year-old children from D child care center in the same district served as the control group and engaged in regular day car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s of creativ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nd attitudes of the two groups reveal: 1) the everyday life inven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creativity: 2) the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skills: 3) and the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In sum, by confirming the integrative connectivity of everyday life invention activities to creativity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and attitudes, these findings provide a powerful rational for using such inventive thinking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국악교육의 의미와 어려움

        조형숙(Cho, Hyung-Sook),조은지(Cho, Eu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교육을 경험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국악교육의 의미와 어려움의 실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 중 국악교육 경험이 있는 전·현직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면담은 모두 개인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국악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에게 유아국악교육은 한국적 흥과 신명을 끌어내고 즐기게 하는 국악, 유아 간 함께 흥을 즐기며 사회적 연결을 이어주는 국악, 유아와 교사관계 간 소통의 장이되는 국악, 신체활동의 대안으로서 유아의 스트레스 해소 기능을 하는 국악, 타 교과와 통합매체로서의 활용성이 높은 국악, 일과 및 연계활동에서의 활용성이 높은 국악으로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국악교육에서 교사가 갖는 어려움에는 국악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이해 부족, 국악교육에 필요한 ‘흥’이 부족한 교사의 특성, 국악기 연주 기능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전문성 부족, 국악교육을 위해 필요한 여건 조성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국악교육의 전문적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측면에서의 방안 모색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meaning and difficulty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this study five former and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 and all interviews were individual interviews. According to the result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many meaningsto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mean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draws Heung-Pleasure and merriment- and Shinmyeong-exhilaration-, facilitates social connections between children by enjoying Heung, relieves stress of children as an alternative to physical activity, used as media that could be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s, and has high availability in daily routines and connected activities.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ack of teacher s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lack of Heung,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need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the difficulty in creating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meaningful data for finding ways of teacher education for professional activation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연구방향 탐색

        조형숙 ( Hyung Sook Cho ),박은선 ( Eun Sun Par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스토리텔링 유아수학교육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국내 학위 · 학술지 논문 전체 중에서 초등을 대상으로 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39편을 대상으로 연구 시기,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내용, 교육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초등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는 2013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양적연구, 문헌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교사, 특수아동 순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이론·내용 분석, 효과 분석, 프로그램 개발, 실태·인식 순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토리텔링과 수학적 태도, 학업성취도와의 관계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 유아수학교육의 개념과 기존의 교수-학습 방법과의 차이점에 대한 문헌적 고찰은 물론 교사의 인식과 요구 등에 대한 기초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통한 효과 분석, 유아 발달에 적합한 스토리 검증, 수학교육 내용영역에 따른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의 적절성 검토, 지속적이고 상시적인 연수방법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 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early childhood storytelling math education by analyzing the storytelling math education studies in domestic primary schools. To this end, 39 previous storytellig math education in domestic primary schools were analyzed; study period, research method, object of study, research content,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storytelling math education studies in domestic primary schools rapidly increased from 2013. Second, research methods included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in that order. Third, objects of the study included normal children, teacher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at order. Fourth, research contents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effective analysis, theory.contents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status.recognition.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13 paper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we find the most studied factors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orytelling and mathematical attitudes, and between storytell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에 따른 자아상태 및 심리적 자세의 차이

        조형숙(Cho, Hyung-Sook),김명하(Kim, Myung-H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자아상태 및 심리적 자세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250명을 대상으로 자기분화, 자아상태, 심리적 자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어머니의 자기분화 점수를 빈도분석하여 상하위 두 그룹으로 나눈 후, 집단 별 자아상태와 심리적 자세 점수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에 따른 자아상태 및 심리적 자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go-state and life position on a mother’s self-differentiation. For the research, a survey on Korean Self-Differentiation Inventory, Ego-state Inventory, and Life-position Inventory were distributed to mothe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5). A total of 250 copie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 of ego-state and life position on a mother’s self-differentiation. First, in the difference of ego-state on a mother"s self-differentiation, the group of mothers with high level of self-differentiations had high scores on the adult ego-state and low scores on the adapted child ego-state. Second, in the difference of life-position on a mother"s self-differentiation, the group of mothers with a high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howed higher scores on the ‘I"m OK’, and ‘You"re OK’, and low scores on the ‘I"m not OK’, ‘You"re not OK’.

      • KCI등재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조형숙(Cho Hyung-Sook),김정숙(Kim Jung-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학부모와 일반인의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부모 312명, 일반인 312명 총 6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치원 교사 이미지를 ‘인성적 특성’, ‘외형적 특성’, ‘업무태도적 자질’, ‘전문가적 자질’, ‘직업적 위상’, ‘전문 직업의식’6개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전문가적 자질 이미지를 가장 높게 직업적 위상 이미지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모든 영역에서 학부모와 일반인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반인의 학력에 따라서 유치원 교사의 업무태도적 자질 이미지와 전문가적 자질 이미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s the gap between a social recognition of parents and the public on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Also,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ap between a social recognition of parents and the public on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along with their backgroun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the subjects of 312 kindergarten parents and 312 ordinary people in the 20 to 50 age range who don’t have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now. The Data analyze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t-test, ANOVA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nd the public recognized that the quality of the professional of kindergarten teachers is the highest and job status of kindergarten teacher is the lowest. Second, the recognition of parents and the public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image were with personality, apparence, qualities in the duty and attitude of work, qualities of professional, job status and professionalism. Third, the qualities in the duty and attitude of work and qualities of profession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rdinary people’s educational background. Accordingly, it seems necessary to study on building appropriate and realistic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in our society.

      • KCI등재후보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생활 보람에 관한 연구

        조형숙(Cho Hyung-Sook),김우진(Kim Woo-Jin),박성혜(Park Seong-Hy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직생활의 긍정적인 측면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보람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들의 직업유지 과정에 도움 주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사립학교 유치원 교사 면담 및 저널, 연구자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저조에도 불구하고 유아,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속에서 보람을 느끼고 있었으며, 성공적 수업과 행사, 전문성 개발과 같은 직무수행에서 보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전문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보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고자 하는 노력과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유치원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고, 현직교사에게는 유치원 교사로서의 자신을 다시 한 번 평가해 볼 수 있는 기회제공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kindergarten teachers' rewarded experiences and giving aid to them about their job maintenance process by making a surve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ffirmative aspects about their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heir storytell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teachers' journals, and researcher's journals and other documents for this aim.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s had fruitful experiences in good relationships with young children, peer teachers, and parents. Also, they felt fruitful feelings when they committed their job.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kindergarten teacher must correctly understand the merits and fruitful experience of his or her profession and then exert every effort to reborn as an expert by getting out of traditional frame. The investigator hopes that this study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 makes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positive image of their future occupation, and provide in-service teachers an opportunity to assess themselves through taking study findings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