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여성에서 조직 미네랄 농도에 따른 생리전증후군의 임상증상

        조현희 ( Hyun Hee Cho ),정인철 ( In Chul Jung ),정재은 ( Jae En Jung ),최세경 ( Sae Kyung Choi ),김수연 ( Su Yeun Kim ),김미란 ( Mee Ran Kim ),임용택 ( Yong Taek Lim ),김은중 ( En Jung Kim ),김진홍 ( Jin Ho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

        목적: 생리전증후군이란, 황체 후반기에 특정한 정신적, 육체적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며, 발생율은 80%에 이르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이 체내 미네랄의 균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리전증후군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프로게스테론의 감소와 에스트로겐이 우세 현상은 조직 내 미네랄의 균형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리전증후군의 여러 특이 증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저자는 환자의 조직 미네랄 검사를 통해,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환자에서 미네랄 수치와 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생리전증후군에 대한 모발검사 연구 지원자는 공고를 통해 모집된 여성을 대상으로 MMDQ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총점 10점 이상인 여성 120명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모발을 이용한 조직미네랄 검사는 최근 3주간 염색이나 파마를 하지 않고 3시간 이내에 세정이나 모발관련 제품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되었으며, 미국 TEI에 분석을 의뢰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14.0)를 사용하였다. 결과: 조직 내 마그네슘 농도가 정상인 군의 MMDQ 총점은 비정상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22.5±17.8 vs. 13.9±11.1), 나트륨 농도가 정상인군의 행동장애 점수는 비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2±1.7 vs. 3.4±2.2). 또한 구리 농도가 정상인군의 MMDQ 총점은 비정상인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15.7±11.9 vs. 24.9±16.9). 고찰: 조직 내 마그네슘과 구리의 농도에 따라 MMDQ 총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조직 내 나트륨 농도는 행동장애 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미네랄 불균형이 생리전증후군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Premenstrual syndrome (PMS) is a disease with specific psychologic and physical symptoms on luteal phase. Its incidence is variable in 20~80%, but its cause is not definitely proved. Because progesterone and estrogen affect the balance of the body mineral, the alteration of progestorone and estrogen in the patients with PMS may effect the imbalance of tissue mineral, that can induce the specific symptoms of PM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PMS and mineral count by tissue mineral test. Methods: Women who volunteered for the tissue mineral test completed MMDQ questionnaire and checked blood test for Ca, Mg, Na, K, Cu, Zn. The tissue mineral test used the hair not treated within 3 weeks and not washed within 3 hours. The hair was send to TEI for the analysis. We used SPSS (14.0)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MDQ score of the normal Mg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Mg group (22.5±17.8 vs. 13.9±11.1), and the behavioral disorder score of the normal Na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ow Na group (2.2±1.7 vs. 3.4±2.2). The MMDQ score of the normal Cu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than abnormal group (15.7±11.9 vs. 24.9±16.9). Conclusions: Total score of MMDQ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magnesium and copper concentrations in tissue, and scores of behavioral disorder was affected by sodium concentration of tissue. Additional study about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s required.

      • KCI등재

        터어키양 안장내 지주막 낭종에 의한 저성선자극호르몬성 저성선증

        조현희(Hyun Hee Jo),여경아(Kyeong A Yeo),김진홍(Jin Hong Kim),길기철(Ki Cheol Kil),최형주(Hyoung Ju Choi),류순원(Sun Won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Primary amenorrhea due to intrasella arachnoid cyst is a very rare disease and require careful and frequent evaluation because may produce intracranial hemorrhage, elevated intracranial pressure and rapid expansion. Surgical intervention is needed only when visual disturbance, hypopituitarism or enlarging lesion is shown. Thus, we present a case of primary amenorrhea due to intrasella arachnoid cyst which was resected through the transsphenoidal approach.

      • KCI등재

        유육종증의 초기에 발견된 동창루푸스

        박세영 ( Se Young Park ),조현희 ( Hyun Hee Cho ),염꽃보라 ( Bora Yeom ),최미라 ( Mi Ra Choi ),조성진 ( Seong Jin Jo ),조광현 ( Kwang Hyun Cho ) 대한피부과학회 2010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8 No.11

        Lupus pernio is the most characteristic cutaneous lesion of sarciodosis and this presents as an indurated red to blue-purple, swollen, shiny lesion that is often localized on the nose, cheeks, lips or ears of middle-aged female adults. It is a chronic malady that rarely shows spontaneous remission, and it sometimes causes deformity. It generally occurs as cutaneous lesions of sarcoidosis patients with a long duration of disease, and not as early cutaneous lesions of sarcoidosis. This case concerns a 43-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a 1 year history of firm erythematous and violaceous plaque with multiple erythematous and violaceous papules on the collumella and right nasal cavity. Skin biopsy showed noncaseasting granuloma. Herein, we report on a typical case of lupus pernio as the early cutaneous presentation of sarcoidosis, which has rarely been reported in the Korean literature. We suggest that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necessary to prevent deformity. (Korean J Dermatol 2010;48(11):1038∼1040)

      • KCI등재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따른 다문화교육 정책 및 실행 분석

        최진영 ( Jin Young Choi ),조현희 ( Hyun Hee Cho ),이선민 ( Sun Mi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Sleeter와 Grant(2008/2009)가 제시한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따라 다문화 교육정책을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정책이 단위학교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따라 먼저 교육부와 A시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을 분석하고, A시 소재 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했던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단위학교의 정책 실행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와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은 보수적 접근법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비판적 접근법을 반영하는 다문화교육정책의 비중은 매우 낮았다. 둘째, 교육부와 교육청 정책 간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교육부 정책은 대체적으로 교육청 정책으로 일관성 있게 구체화되었으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을 요구하는 정책들의 연계성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위학교에서 실행되는 다문화교육은 보수적 접근법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보수적 접근법을 반영하는 다문화교육은 표면적 수준에서 실행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청의 일부 다문화교육 정책은 학교 현장의 상황에 따라 축소되거나 실행되지 않았으며, 정책을 실행하는 데 있어 글로벌 선도학교와 일반학교에서 각각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정책 개발 및 단위학교의 정책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o understand how these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Theoretically, five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dentified by Sleeter and Grant(2008/2009) were used when analyzing a se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and an undisclosed office of education. We then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four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implementing these policies and programs at the school level. The central findings were as follows. Most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put a great emphasis on conservative approaches, but these were far from critical approaches. In most cas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delivered from the MOE were identifi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as coherent, while the policies requiring a long-term and systemic approach were not coherent. In regards to how closely policies and practice were in sync with each other, the policies delivered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o the schools were not often implemen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school’s varying conditions. In four schools, the conservative approach was pervasive but superficial and these schools experienced different types of difficulties when practic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developing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intended for ‘all’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인간 난소에서 생리 주기에 따른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와 그 수용체의 발현

        김장흡 ( Jang Heub Kim ),정서호 ( Seo Ho Chung ),최은주 ( Eun Joo Choi ),황성진 ( Hwang Seong Jin ),조현희 ( Hyun Hee Jo ),김미란 ( Mee Ran Kim ),김은중 ( Eun Jung Kim ),김진홍 ( Jin Hong Kim ),류기성 ( Ki Sun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9

        목적 :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 (MIS)의 주 생산 장기인 가임기 여성 난소에서 MIS와 MIS가 결합하는 MIS type II 수용체 (MISR II)의 정확한 발현위치와 월경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 생식생리에 미치는 역할을 밝히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월경주기와 난소기능이 정상이면서 난소종양이 없는 부인과 환자의 난소조직을 월경주기별 (난포기, 배란기, 황체기)로 구분하여 각각 7예씩 총 21예를 대상 In this study,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ing of function of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 (MIS) and the ontogeny of the production profile of biologically active MIS and MIS type II receptor (MISR II), the patterns of their localization according to

      • KCI등재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 시 기기 간의 골밀도 값 비교와 표준화

        정인철 ( In Cheul Jeung ),박윤경 ( Youn Kyung Park ),강영화 ( Young Hwa Kang ),곽현성 ( Hyun Sung Kwack ),김현정 ( Hyun Jung Kim ),최세경 ( Sae Kyung Choi ),조현희 ( Hyun Hee Jo ),김민정 ( Min Jung Kim ),황성진 ( Sung Jin Hwang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3

        연구목적: 현재 골다공증의 진단은 주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Dual energy X-ray densitometry, DXA)에 의존하고 있으며, 제조회사와 기종, 측정부위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GE Lunar Prodigy와 Hologic QDR-4500을 사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여 두 기종간의 골밀도의 차이를 평가하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변환공식의 검증과 그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연구 대상은 한국 여성 100예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GE Lunar Prodigy와 Hologic QDR-4500 두 가지 기종을 이용하여 각각 요추(L1-L4), 양측 대퇴골에서 골밀도를 평가했다. T-score, Z-score, Bone Mineral Density (BMD)를 통해 두 기기값의 관련성을 평가하고, WHO 진단 기준에 따른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으로 진단되는 비율을 비교해 GE Lunar Prodigy와 Hologic QDR-4500 기기간의 표준화 골밀도 값 (standardized Bone Mineral Density, sBMD)을 구하여 보고, 이를 한국 여성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을 시행, 새 변환식을 구하였다. 결과: 요추 및 대퇴골 경부의 평균 골밀도 및 T-score 값은 GE Lunar Prodigy로 측정한 경우 Hologic QDR- 4500로 측정한 경우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01). 두 기기로 측정 된 T-score값으로 WHO 진단기준에 따라 분류되는 환자의 수를 비교한 결과 요추의 경우 P<0.001, 대퇴골 경부의 경우 P<0.0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Hologic으로 측정한 경우 중증의 진단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unar 값과 Hologic 값 사이의 상관계수는 요추의 경우 0.97, 대퇴골 경부의 경우는 0.9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표준화 골밀도값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 요추의 계산값과 측정값이 paired t-test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대퇴골 경부의 계산값과 측정값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두 기기간의 변환식은 다음과 같다. 요추: Hologic=(0.844×Lunar)+0.006, 대퇴골 경부: Hologic=(0.886×Lunar) 0.05. DXA. 결론: 다른 기종의 DXA 기기로 환자의 골밀도 평가 및 추적 관찰 시에는 두 기기기간의 표준화를 거친 값을 사용하거나, 환자를 대상으로 두 기기를 측정하여 새로운 변환식을 만들어내 사용함으로서 이러한 진단의 불일치를 줄여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has different results in reported bone mineral density (BMD) among manufactures, system and measurement site, so called T-score discrepancy. In this study, the comparision and standardization between DXA systems was obtained. Consequently evaluation of the cross calibration formaula and Korean reference database was also obtained. Methods: A total of 100 Korean women were recruited and studied between September 2006 and February 2007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he BMD was measured in the lumbar vertebrae (L1-4) and the both femoral neck one the same day using a GE Lunar Prodigy and Hologic QDR-4500. We compared the BMD values, T-scores, Z-scores and patients` diagnoses based on WHO criteria between two systems. We calculated standardized BMD (sBMD) and compared Lunar to Hologic. This study evaluate and calculate new conversion formula between Lunar and Hologic DXA for Korean women. Results: Both the L-spine and the femur neck, the Lunar yielded consistently higher results than the Hologic (P<0.001). The BMD values measured by the two instruments were highly correlated (lumbar spine r=0.97, femur neck r=0.95 , P<0.01). The sBMD values by the conversion formula which were compared with BMD measured, had significant differnces in lumbar spine (P<0.01, paired t-test). New conversion formulas between two systems for Korean women are calculated. For the lumbar spine: Hologic=(0.844×Lunar)+0.006, for the femur neck: Hologic=(0.886×Lunar)-0.05. Conclusion: For correcting the discrepancy of different DXA systems, we can use sBMD, cross calibration, and furthermore calculate new conversion formula for the reference population.

      • KCI등재

        긴장성 요실금 여성에서 vaginal cone을 이용한 골반저 근육운동에 대한 평가

        김진홍(Jin Hong Kim),류순원(Sun Won Yoo),길기철(Ki Cheol Kil),천연희(Yeon Hee Cheon),최형주(Hyoung Ju Choi),이지은(Ji Eun Lee),조현희(Hyun Hee Jo),나종구(Jong Gu Rha),김수평(Soo Py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3

        N/A Defective or inadequate pelvic floor function is important etiologic factor for urinary stress incontinence and uterine prolapse.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s the mainstream of the nonoperative treatment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specially Vaginal cones have been known as a simple and practical means of improving both pelvic floor muscle strength and genuine stress incontinence using biofeedback mechanism. Forty adult women suffering from mild and moderate stress incontincnce were instructed to exercise their pelvic muscles using vaginal cones. They retained cones of increasing weight in the vagina by contracting pelvic floor muscles for 15 minutes twice a day for 4 weeks. The comparison of pelvic floor muscl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were assessed by the frequency of incontinence, vaginal digital palpation, vaginal pressure measurement and speculm lift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requency of incontin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exercise using vaginal cone (P<0.001). 2. Vaginal digital palpation score (strength of vaginal levator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using vaginal cone (P<0.001). 3. The vaginal pressure by perineomet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using vaginal cones (P<0.001). 4. The vaginal lumen during contraction was significantly narrower after the exercise using vaginal cones (P<0.001). 5. The maximal cone weight which patients could hold over 1 minu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using vaginal cones (P<0.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