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적 동일시의 유형과 소설교육

        조현일 ( Hyeon Il Jo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문학을 즐기는 문학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미적 동일시의 세 유형의 특성과 각각의 경우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적 기능을 밝히고 이에 기초하여 소설교육의 방안과 방향들을 규명하였다. 경탄적 동일시의 경우 경탄이라는 미적 감정 속에서 주인공을 수용하면서 본받기라는 소통적 기능을, 동정적 동일시의 경우 동정과 연민이라는 미적 감정 속에서 주인공을 수용하면서 타자와의 연대라는 소통적 기능을, 카타르시스적 동일시의 경우 주인공과 그로부터 야기된 감정들에 대한 거리두기 속에서 주인공을 수용하면서 미적 성찰이라는 소통적 기능을 수행한다. 미적 동일시의 세 유형을 교육할 때, 각각의 경우 완벽한 주인공, 불완전한 주인공, 다양한 주인공을 선택해야 하는데, 특히 경탄적 동일시의 경우 놀람이 아닌 경탄, 모방이 아닌 본받기를 유도해야 하며, 동정적 동일시의 경우 고통의 감상적 향유를 경계해야 하고, 카타르시스적 동일시의 경우 미적 판단과 윤리적 판단 중전자를 강조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세 가지 유형을 전체적인 차원에서 고려할 때 소설교육은 첫째,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을 유도해야 한다는 점, 둘째, 미적 동일시를 위한 소설교육의 내용을 경탄적 동일시, 동정적 동일시, 카타르시스적 동일시 순으로 위계화하되, 각 단계에서 다른 유형 또한 교육해야 한다는 점, 셋째, 이 세 유형을 내면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novel education should be joyful education. For this, characteristics of three types of aesthetic identification, communicative functions of each type, and methods and directions of novel education are identified. In case of admiring identification, it receives the protagonist in the aesthetic feelings such as admiration and performs communicative function such as emulation. In case of sympathetic identification, it receives the protagonist in the aesthetic feelings such as sympathy and pity and performs communicative function such as solidarity with others. In case of cathartic identification, it receives the protagonist in the detachment from the protagonist and the feelings resulted from the protagonist, and performs communicative function such as reflection. When educating three types of aesthetic identification, each type should select a perfect protagonist, an imperfect protagonist and diversified protagonists respectively. Especially, in admiring identification, it must induce admiration rather than astonishment, and emulation rather than imitation. In sympathetic identification, care must be taken not to enjoy pains sentimentally. In cathartic identification aesthetic judgment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moral judgment. When considering three types from holistic dimension, novel education should go to three directions. First, it must induce various responses of students. Second, there should be a hierarchy in the order of admiring identification, sympathetic identification and cathartic identification, while other types should be educated in each stage. Third, those three types should be utilized as concrete method of intern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동소설과 정념, 그리고 민주주의 -김한수, 방현석, 정화진의 소설을 중심으로

        조현일 ( Hyeon Il J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본고는 김한수, 방현석, 정화진으로 대변되는 1980년대 후반 노동소설에 대한 그간의 평가가 지나치게 부정적이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노동소설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노동소설을 지배하고 있는 정치적 정념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보고, 스피노자의 정념론을 원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1980년대 후반 노동소설은 거시적 차원에서 “절망/ 두려움→굴욕/ 분노→동지애”라는 정념의 사이클과 미시적 차원에서 “두려움(배신) →마음의 동요→동지애”라는 정념의 사이클을 보여준다. 김한수가 희망의 좌절에서 오는 ‘절망`과 정치체의 불의에서 오는 ‘분노`를, 방현석이 노동자의 정체성을 부정하는정치체에 대한 ‘분노`와 그 분노로부터 귀결되는 ‘동지애`를 표현하는 데 주력하여 일차적으로 전자의 사이클을 완성한다면, 정화진은 그 이후에도 또다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마음의동요`를 표현하는 데 주력하면서도 후자의 정념의 사이클을 미완의 상태로 남겨둔다. 이는1980년대 노동소설이 도달한 지점을 매우 솔직하게 그리고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더욱이각각이 보여주고 있는 고유의 정치적 정념들은 정의·공정함에 대한 열망, 따라서 매우 근원적인 차원에서 민주주의적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 이점에서 1980년대 후반의 노동소설은현재의 상황에 더욱 의미 있는 문학적 자산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dopts Spinoza`s passions to clarify the political passions in labor novels in the late 1980s for which Hansu Kim, Hyeonseok Bang, and Hwajin Jeong stood. The labor novels in the late 1980s showed the cycle of passions, dispair / fear → humiliation / anger → comradeship in the macroscopic dimension, and fear(betrayal) → vacillation → comradeship in the microscopic dimension. Hansu Kim and Hyeonseok Bang dedicated themselves to the former expressions while Hwajin Jeong to the latter. Hansu Kim expressed the `dispair` due to the frustration and the `anger` coming from the injustice of the regime, while Hyeonseok Bang the `anger` about the regime that negated the identity of laborers and the `comradeship` to which the anger reduced. And, Hwajin Jeong expressed the `vacillation` that was necessarily generated afterwards. While Kim and Bang primarily completed the first cycle of passions, Jeong left the second cycle incomplete. Their works showed the reach of the 80s`labor novels very earnestly and symbolically. Also, their respective inherent political passions expressed desires for justice and fairness and for radical democracy. In this respect, the 80s` labor novels can be evaluated as more significant literary assets in the current situations.

      • KCI등재

        비상사태기의 문학과 정치 -1970년대 전반기 민중문학을 중심으로-

        조현일 ( Hyeon Il J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신경림, 염무웅, 백낙청의 비평을 대상으로 하여 1970년대 전반기의 ``민중``, ``민중문학``의 정치성에 대해 규명하고 있다. ``민중``이란 1971년 비상사태 선언 후 유신체제를 주도한 ``권위주의의 결단하는 주체``에 맞서 저항세력이 상상하고 호명해낸 고유의 정치적 주체이다. 그리고 ``민중문학``이란 이러한 정치적 주체의 형상화에 핵심 있는데, 그 특성은 김정한과 황석영의 작품, 이에 대한 비평에서 매우 잘 드러난다. 김정한의 인물들은 박정희의 권위주의적 결단에 맞서는 70년대 고유의 민주주의적인 정치적 주체라고 할 수 있다. 황석영의 인물들은 ``몫 없는 자임을 선언하는 정치적 주체``로서의 민중에서 한 걸음 나가 있다. 그들은 믿음, 사랑, 희망을 실천하는 정치신학적 차원의 민중이다. 백낙청의 관점에 따를 때, 그들은 양심에 따라 자연스럽게 역사적 사명에 이르고 사명에 정진하는 주체이다. 사명(부름)에 정진하는 그들 고유의 역설적 삶은 ``기다림``의 자세와 시간을 본질로 한다. This paper purposed to explain the politicality of ``people(Minjung)`` and ``people(Minjung) litera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1970s, focusing on the criticisms of Shin Gyeong rim, Yeom Moo woong, and Baek Nak cheong. ``people(Minjung)`` were political subjects that was imagined and called by the resistance power against ``the authoritarian resolute subject`` that had led the Yusin regime after the decision and declaration of emergency in 1971. In addition, the core of ``people(Minjung) literature`` consists in the configuration of such political subjects, and its characteristic is described well in the works of Kim Jeong han and Hwang Seok yeong and criticisms on these works. The characters in Kim Jeong han`s works are democratic political subjects specific to the 1970s who stood against Park Jeong hee`s authoritarian decision. Those in Hwang Seok yeong`s works are a step ahead of people as ``political subjects declaring to be one without share.`` They are political theological people who practice faith, love, and hope. According to Baek Nak cheong`s viewpoint, they are subjects who reach historical missions naturally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and live for the missions. In addition, the essence of their lives is in the attitude of waiting and being ruled by waiting time.

      • KCI등재
      • KCI등재

        고위험 자궁경부암의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Paclitaxel 과 Carboplatin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효능과 안전성

        조현일 ( Jo Hyeon Il ),김재원 ( Kim Jae Won ),박노현 ( Park No Hyeon ),송용상 ( Song Yong Sang ),강순범 ( Kang Sun Beom ),이효표 ( Lee Hyo Py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5

        목적 : 일차적 치료로 수술을 받은 고위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paclitaxel과 carboplatin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임상적 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진단받은 FIGO 병기 IB1-IIB 환자 중 2002년 2월부터 2002년 11월 사이의 기간동안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paclitaxel/carboplatin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받은 28명의 환자들이 후향적으로 조사되었다. 병리 소견상 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또는 림프혈관 전이, 자궁경부 전층 침범, 종양 직경 4cm 이상의 위험인자 중 2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를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대상으로 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4주 간격으로 2주기가 시행되었으며 paclitaxel 135 mg/m^2을 정주 후 carboplatin을 AUC 4.5의 용량으로 정주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항암화학요법 제 1일에 맞춰 시작되었다. 치료 효과는 부인과적 진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골반 전산화 단층촬영, 종양표지자 검사 (SCCA)를 통해 재발의 유무로 판정되었다. 치료에 의한 부작용은 NCI-CTC version 2.0에 따라 분류되었다. 결과 : 연구에 포함된 28명의 환자들에게 총 56주기의 paclitaxel/carboplatin 항암화학요법이 방사선치료와 함께 시행되었다. 치료를 받은 환자 중 6-33개월의 (평균 12.5개월) 추적관찰 기간 중 자궁경부암의 진행이나 재발의 예는 없었다. 가장 중요하고 흔한 부작용은 혈액학적 독성이었으며 grade 3, 4의 호중구 감소증이 15예 Grade 1,2의 말초 신경 독성이 8예 (14.3%) 관찰되었다. 결론 : 고위험 자궁경부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paclitaxel/carboplatin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국소 재발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혈액학적 부작용이 문제가 되지만 수용 가능한 정도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장기 무병 생존율에 관한 좀 더 대규모의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ncurrent chemotherap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with standard pelvic radiotherapy as adjuvant therapy after primary surgery in high-risk cervical cancer. Methods : Twenty-eight patients with FIGO stage IB1-IIB cervical cancer who received adjuva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paclitaxel and carboplatin from February 2000 to November 2001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Adjuvant chemoradiotherapy was done if there were lymph node involvement or at least 2 positive findings among following risk factor;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full-thichness involvement of cervix and tumor size larger than 4 cm in diameter. Two cycles of paclitaxel 135 mg/m^2, followed by carboplatin with AUC of 4.5 were administered intravenously with an interval of at least 4 weeks. The radiotherapy was initiated concurrently at the first day of chemotherapy. The therapeutic results were evaluated by pelvic examination, Pap smear, SCCA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and computed tomography (CT). The toxicities of the treatment were evaluated and graded by NCI-CTC version 2.0. Results : Total 56 cycles of paclitaxel/carboplatin chemotherapy with concomitant pelvic radiotherapy was delivered. None of the patients had a progressive or recurrent disease during the follow-up period ranging from 6 to 33 months (median: 12.5 months). Neutropenia was the most common and concerned toxicity. Fifteen cases of grade 3 and 4 neutropenia (26.8%) were observed. Non-hematologic toxicities were mild and mainly related to neurologic or gastrointestinal symptoms. Eight cases of grade 1 and 2 neurotoxicity were observed (14.3%). Conclusion : The adjuvant chemoradiotherapy with paclitaxel and carboplatin seems to be effective and well-tolerated for the treatment of high risk group cervical cancer after primary surgical therapy. But a large randomized study with longer duration of follow-up is needed to justify this conclusion.

      • KCI등재

        소설의 영화화에 대한 미학적 고찰

        조현일(Jo Hyeon Il)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현대소설연구 Vol.- No.21

        This Study forcusing on (Obaltan) and (Angae) examines the aesthetic conversion when fictions are transformed into the films and investigates the aesthetic foundation on which fiction and cinema meet positively Literature-cinema in 1960`s progressed the process of `the cinema into literature`. But in the case of aesthetics this process which is represented by Sin Sang-Ok`s movies impaired the aesthetic capabilities of the films in the first stage. Being opposed to Sin Sang-Ok`s movies, in (Obaltan) and (Angae) the montage on the basis of shock effect is made to become formal principle. This becomes apparent when we compare original fictions with (Obaltan) and (Angae). The principal formal apparatuses in (Obaltan) are montages within framing, montages which juxtapose the other sides of the city(Seou1) and the outsides. Being compared with (Obaltan), (Angae) intensifies shock-effect in the whole of the work. With rhythmic montages utilized, montages which juxtapose the past and the present in order to collide are editing method which is passing through the work. When modern fictions and the cinema were emergent, this was founded on the aesthetically radical conversion. In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montage as the form of shock is made to become the fundamental aesthetic form of the modern art and is oriented toward the modern allegory(the sublime). not toward the symbol(the beautiful). Sin Sang-Ok`s movies are the aesthetic degeneration and orient toward the symbol. (Obaltan) and (Angae) are founded on montages and orient ultimately toward the modern allegory. This aesthetic conversion in transforming the original fictions into the films is important in that it is the aesthetic foundation on the basis of which the modern fiction and the cinema are able to meet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