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설의 영화화에 대한 미학적 고찰

        조현일(Jo Hyeon Il)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현대소설연구 Vol.- No.21

        This Study forcusing on (Obaltan) and (Angae) examines the aesthetic conversion when fictions are transformed into the films and investigates the aesthetic foundation on which fiction and cinema meet positively Literature-cinema in 1960`s progressed the process of `the cinema into literature`. But in the case of aesthetics this process which is represented by Sin Sang-Ok`s movies impaired the aesthetic capabilities of the films in the first stage. Being opposed to Sin Sang-Ok`s movies, in (Obaltan) and (Angae) the montage on the basis of shock effect is made to become formal principle. This becomes apparent when we compare original fictions with (Obaltan) and (Angae). The principal formal apparatuses in (Obaltan) are montages within framing, montages which juxtapose the other sides of the city(Seou1) and the outsides. Being compared with (Obaltan), (Angae) intensifies shock-effect in the whole of the work. With rhythmic montages utilized, montages which juxtapose the past and the present in order to collide are editing method which is passing through the work. When modern fictions and the cinema were emergent, this was founded on the aesthetically radical conversion. In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montage as the form of shock is made to become the fundamental aesthetic form of the modern art and is oriented toward the modern allegory(the sublime). not toward the symbol(the beautiful). Sin Sang-Ok`s movies are the aesthetic degeneration and orient toward the symbol. (Obaltan) and (Angae) are founded on montages and orient ultimately toward the modern allegory. This aesthetic conversion in transforming the original fictions into the films is important in that it is the aesthetic foundation on the basis of which the modern fiction and the cinema are able to meet positively

      • KCI등재
      • KCI등재

        개별 논문 : 읽기 텍스트로서의 영화와 영화 읽기 교육

        조현일 ( Hyeon Il Jo ) 한국독서학회 2007 독서연구 Vol.0 No.18

        본고는 영화가 주요한 읽기 텍스트 중의 하나라고 보고 영화 텍스트의 읽기 방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보드웰의 영화 이론에 입각하여 이성구의 「메밀꽃 필 무렵」을 대상으로 영화 읽기의 범례를 제시한 후 이에 입각하여 영화 읽기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영화 매체 특성을 고려할 때 영화 읽기는 첫째, 영화양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영화가 상징이 아닌 알레고리를 지향하는 미학적 특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 속에서 영화양식 읽기라는 항목에서는 고전적 사실주의 영화를 읽는 방식과 장면화, 촬영, 편집, 음향 등의 양식적 장치를 읽어내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영화형식(스토리/플롯)읽기라는 항목에서는 플롯 분절화의 예를 보여주고 인물의 성격, 주제 파악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영화 읽기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에 기초하여 영화 읽기의 방법론으로 양식적 장치들의 기능을 전후 맥락 속에서 파악해야 하며 유사성과 반복의 원리를 파악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그리고 인물의 성격 파악을 위한 방법론으로 시점화면, 내적 내재 음향의 이해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regards cinema as an important reading text and explores the reading method of cinema. Being based on D. Bordwell` film theory, the exemplary of reading Lee, Sung-gu` <When flowers of buckwheats blooms> is suggested and the method of reading cinema is discussed. When we read cinema, we should focus our attention on film style and the aesthetic of allegory. Reading film style, we should take classic realism film and mise-en-scene, cinematographic properties, editing, sound as important elements. Reading film form(story/plot), we should focus our attention on the articulation of plot. From this articulation the character of hero and the theme of text are induced. The method of reading cinema is to grasp the functions of film styles in the context, and the principle of repetition/difference. The method of reading character in cinema is to grasp point of view shot and internal diegetic sound.

      • KCI등재

        권태와 혁명 : 4 · 19 공간의 이호철 소설 연구

        조현일(Jo Hyeon-il) 韓國批評文學會 2010 批評文學 Vol.- No.37

        The thesis discusses the political meaning of boredom and revolution, focusing Lee, Ho-Cheol’ works in the space of 4 · 19 revolution. He regarded the boredom as the mood of 1960 and established his political consciousness while investigating the moment of overcoming the mood in 4 · 19 revolution. Firstly, the boredom was overcome through awakening it and recovering the political. The boredom had the political power as the mood of expectation(「Yeul」) and the mood of making political resolution(「Yongamlyu」). Secondly, the positivity of democracy(positive freedom) was discovered from the 4 · 19 revolution and it was claimed that the boredom was overcome through regaining the politic. Though Lee, Ho-Cheol’ works asserted liberalism(negative freedom) and democracy(positive freedom) all at once, they put emphasis more on the former than the latter. His political consciousness was first expressed in 「Jinno」, developed into the affirmation of ‘the revolutionary’ and ‘the raw’ in 「Yongamlyu」, and expressed finally through stressing the difference between negative freedom and positive freedom in 「Panmunjem」. While Lee, Ho-Cheol expressed the liberal ethics through moral sentiments and tears in 1950’s, he expressed the political mood of boredom and the politics of liberal democracy in the space of 4 · 19 revolution. They were important energy that made Lee, Ho-Cheol’s works in 1960’s possib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동소설과 정념, 그리고 민주주의 -김한수, 방현석, 정화진의 소설을 중심으로

        조현일 ( Hyeon Il J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본고는 김한수, 방현석, 정화진으로 대변되는 1980년대 후반 노동소설에 대한 그간의 평가가 지나치게 부정적이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노동소설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노동소설을 지배하고 있는 정치적 정념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보고, 스피노자의 정념론을 원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1980년대 후반 노동소설은 거시적 차원에서 “절망/ 두려움→굴욕/ 분노→동지애”라는 정념의 사이클과 미시적 차원에서 “두려움(배신) →마음의 동요→동지애”라는 정념의 사이클을 보여준다. 김한수가 희망의 좌절에서 오는 ‘절망`과 정치체의 불의에서 오는 ‘분노`를, 방현석이 노동자의 정체성을 부정하는정치체에 대한 ‘분노`와 그 분노로부터 귀결되는 ‘동지애`를 표현하는 데 주력하여 일차적으로 전자의 사이클을 완성한다면, 정화진은 그 이후에도 또다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마음의동요`를 표현하는 데 주력하면서도 후자의 정념의 사이클을 미완의 상태로 남겨둔다. 이는1980년대 노동소설이 도달한 지점을 매우 솔직하게 그리고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더욱이각각이 보여주고 있는 고유의 정치적 정념들은 정의·공정함에 대한 열망, 따라서 매우 근원적인 차원에서 민주주의적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 이점에서 1980년대 후반의 노동소설은현재의 상황에 더욱 의미 있는 문학적 자산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dopts Spinoza`s passions to clarify the political passions in labor novels in the late 1980s for which Hansu Kim, Hyeonseok Bang, and Hwajin Jeong stood. The labor novels in the late 1980s showed the cycle of passions, dispair / fear → humiliation / anger → comradeship in the macroscopic dimension, and fear(betrayal) → vacillation → comradeship in the microscopic dimension. Hansu Kim and Hyeonseok Bang dedicated themselves to the former expressions while Hwajin Jeong to the latter. Hansu Kim expressed the `dispair` due to the frustration and the `anger` coming from the injustice of the regime, while Hyeonseok Bang the `anger` about the regime that negated the identity of laborers and the `comradeship` to which the anger reduced. And, Hwajin Jeong expressed the `vacillation` that was necessarily generated afterwards. While Kim and Bang primarily completed the first cycle of passions, Jeong left the second cycle incomplete. Their works showed the reach of the 80s`labor novels very earnestly and symbolically. Also, their respective inherent political passions expressed desires for justice and fairness and for radical democracy. In this respect, the 80s` labor novels can be evaluated as more significant literary assets in the current situ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