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가 측지망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최적 측지망 설계에 관한 연구

        조재영,윤홍식,위광재,Cho, Jae-Myoung,Yun, Hong-Sik,Wie, Gwang-Jae 한국측량학회 2010 한국측량학회지 Vol.28 No.6

        측지망은 측량작업과 조정계산의 기준으로써 그 구성이 측량성과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측지망 설계는 경험적 또는 단순한 기하학적 강도만을 기준으로 설계되어진다. 본 논문은 해석적 기법에 의한 측지망의 최적화 설계를 위하여 측지망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을 분석하고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측지망 품질평가 기준으로 정밀도(오자타원, 2DRMS, CEP), 신뢰성(내적신뢰성) 및 견인성(최대전단변형률, 주변형률, 면적변형률)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측지망의 설계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기관측된 실제 측지망에 8가지 품질평가 인자를 적용하여 측지망 최적화 설계의 효용성을 평가한 결과, 최적화 설계 전 후 품질평가 인자는 평균값에 있어서 정밀도는 2%, 신뢰성은 3%, 견인성은 3,001%로 향상되었으며, 최대값에 있어서 정밀도는 5% 신뢰성은 7%, 견인성은 16,957%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describe the optimal design of geodetic network by analytical technique based on the quality criteria of network. We described an example of geodetic network design taking into account the precision, reliability and robustness that are the main criteria of network design.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riteria to design the geodetic network coinciding with the criteria of high precision(error ellipse, 2DRMS, CEP), reliability(internal and external reliability) and robustness(maximum shear strain, principal strain, dilatation). The network design parameters computed in this study show that precision and reliability has not much improved by about 2% and 3%, respectively, than the observed network, while robustness has much improved by about 3, 100%. It also shown that maximum errors of precision, reliability and robustness were reduced by 5%, 7% and 16,957%, respectively.

      • KCI등재

        맥류 기계화 적응재배 양식과 적응품종의 생태에 관한 연구

        조재영,Jae-Young Cho 한국작물학회 1970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No.8

        맥류의 기계화적응재배로서 드릴파와 점파를 품종과 비료수준을 달리하여 실행의 보통재배 및 광파재배와 비교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맥의 최적품종은 안전 다수 조숙인 당여이고, Barsoy는 내동성이 약하였다. 2. 소맥의 최적품종은 영광으로서 안전 다수 대립이나 성숙이 늦다. 원광은 도복이 심하였다. 3. 배비는 보통비보다 다수이고 도복이 약간 조장된 이외에는 재배적위험성도 없었다. 4. 내동 내도복성품종을 취택하면 배비조건에서도 드릴파나 점파가 안전하다. 5. 보통재배에 대한 증수율은 대맥에서는 20cm간격의 드릴파 16%, 광파 13%, 20${\times}$12cm의 점파가 12%였고, 소맥에서는 광파 9%, 20 ${\times}$ 13 cm의 점파 8%, 20cm 간격의 드릴파 7%였다. 6. 이들의 증수원인으로서는 수수의 증대가 가장 뚜렷하다. 7. 파종량의 증대는 드릴파 증수의 주인으로 되지 않은 것 같다. 8. 점파나 드릴파는 성숙을 다소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9. 점파재배는 파종작업중의 필연적인 답압에 의하여 소맥에서 발아를 조장하는 효과가 있었다. 10. 드릴파나 점파에서는 좀더 밀식함으로서 더욱 증수할 여지가 있을 것 같다. To research the seeding systems and the varieties adapted to mechanization in barley and wheat culture in Korea,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from October, 1969 to June, 1970 at Suwon. In these studies, six kinds of seeding systems of drilling and dibbling that seems to adapted to mechanization were tested as compared with the customary seeding system, furrowing moderately or widely, using three varieties of barley, Suwon #18, Barsoy and Buhufng, and three varieties of wheat, Wonkwang, Yucseung #3 and Yeungkwang, under the two fertilizer levels of standard and double. The summarize results gained were as follows; 1. Buhung seemed to be the most suitable variety in barley as it yielded the most and matured early and grew the safest. Barsoy suffered from winter injury. 2. Yeungkwang seemed to be the most suitable variety in wheat as it yielded the most and produced the largest grain ani grew the safest, however it matured late. Wonkwang suffered heavily from lodging injury. 3. More yield were produced and there were no increase of cultural dangers except lodging in double fertilizer level. 4. Seeding system of drilling and dibbling seems to be able to put in practice safely under the double fertilizer level when lodging resistant varieties are selected. 5. Rate of yields increase in comparison with the customary seeding system of moderate furrowing were 16 percent in drilling of 20 centimeter spacing, 13 percent in wide furrowing and 12 percent in dibbling of 20 ${\times}$ 12 centimeter spacing in barley and also 9 percent in wide furrowing, 8 percent in dibbling of 20 ${\times}$ 12 centimeter spacing and 7 percent in drilling of 20 centimeter spacing in wheat. 6. The most important cause of above yields increase seems to be the increase of spike number per unit area. 7. Yields increase by drilling as compared with furrowing was not caused by higher rate of seeding. 8. The plants matured a bit earlier by drilling and dibbling. 9. Better stands of seedling were fount in dibbling due to the promotion of germination by tramping. 10. An increase of yields will be expected by decreasing the spacing in drilling and dibbling.

      • KCI등재

        Implications of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for High-Tech Industries: Focusing on AI Adopted Products

        조재영,Cho, Jae-Yung Convergence Society for SMB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증가가 하이테크 산업에 미치는 함의에 대하여 특히 인공지능기술 (AI) 탑재 상품(AI탑재 상품)에 초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논의를 위해 1인 가구의 소비 트랜드의 특성, AI 기술의 발전 및 그것이 다양한 산업에서 지니는 잠재력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오늘날의 1인 가구는 남녀 커플가구보다도 친구, 이웃 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젊은 계층일수록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자기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혼자 사는 것을 선택하는 숫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제 '혼자 산다는 것' 또는 '홀로 가는 것(되는 것)'을 더 이상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오히려 미래의 새로운 시장의 파워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1인 가구의 독립심 및 개인주의적 사고에 기반한 가치 지향적 소비 행동을 고려하면, 그들은 AI탑재상품과 같은 하이테크 상품이 싱글라이프에 유리한 점을 주기 때문에 다른 가구 유형보다도 더 그러한 상품을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AI 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으로 인해 1인 가구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것으로 예측되는바, 향후 1인 가구를 AI의 최종 소비자로서 시장 세분화를 준비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SH) for high-tech industries especially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dopted products, based on critically reviewing the past researches on their characteristics including consumption trends; the improvement of AI technology; and its market potentiality in various indust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SH spent more time with others like friends and neighbors more than couples. Younger people increasingly chose to live alone by their own free will for achieving their goals. 'Living alone' or 'going solo' is not thought negatively any more, but as a new market power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ir value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s based on spirit of independence and individualism, they will need high-tech products more like AI adopted products than others because of their advantages for the value of single life. Thus, the rapid progress of AI technology is predicted to bring them satisfaction of their wants and it is suggested to prepare for the market segmentation of SH as AI end-users.

      • KCI등재

        신규 비공액성 청색발광재료 PPPMA-co-DTPM 공중합체 합성을 통한 백색유기발광소자 제작

        조재영,오환술,김태구,윤석범,Cho, Jae-Young,Oh, Hwan-Sool,Kim, Tae-Gu,Yoon, Seok-Beom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8 No.7

        To fabricate a single layer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novel non-conjugated blue emitting material PPPMA-co-DTPM copolymer was synthesized containing a perylene moiety unit with hole transporting and blue emitting ability and a triazine moiety unit with electron transporting ability. The devices were fabricated using PPPMA-co-DTPM $(PPPMA[70\;wt\%]:DTPM[30\;wt\%])$ copolymer by varying the doping concentrations of each red, green and blue fluorescent dye, by molecular-dispersing into Toluene solvent with spin coating method. In case of ITO/PPPMA-co-DTPM:TPB$(3\;mol\%):C6(0.04\;mol\%):NR(0.015\;mol\%)/Al$ structure, as they were molecular-dispersing into 30 mg/ml Toluene solvent, nearly-pure white light was obtained both (0.325, 0.339) in the CIE coordinates at 18 V and (0.335, 0.345) at 15 V. The turn-on voltage was 3 V, the light-emitting turn-on voltage was 4 V, and the maximum external quantum efficiency was $0.667\%$ at 24.5 V. Also, in case of using 40 mg/ml Toluene solvent, the CIE coordinate was (0.345, 0.342) at 20 V.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에너지관리장치의 운영 사례 연구

        조재영,나인호,Cho, Jai Young,Ra, In-Ho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8 스마트미디어저널 Vol.7 No.2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연계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최적 운영을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의 구성요소 설계 시 고려할 기능, 운영 효과 분석과 전력요금 절감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리튬이온전지 기반의 배터리 시스템과 에너지관리시스템 연계 및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1년 동안 운영 데이터에 대한 분석한 결과를 기술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EMS를 이용하여 최대수요 발생시간대의 피크전력을 경부하 시간대 충전전력으로 대체하여 ESS 전용 요금제에 따른 요금편익과 부하 평준화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the components of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for optimum operation of renewable energy and associated energy storage system (ESS), the function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the analysis of operational effects, and finally the reduction of electricity costs.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a lithium-ion battery system and an energy management system have installed in a PV system, and it presents the results analyzed with operation data for a year. To increase the system operation efficiency, we propose the effect that EMS is used to replace the demand power at the peak time with the charge power at the light load time, which suggests the influence of contributing to the charge benefit and load leveling according to the ESS tariff.

      • 강합성 단면을 가진 사장교의 와류진동 발생 예측

        조재영,조영래,이학은,Cho. Jae-Young,Cho. Young-Rae,Lee. Hak-Eun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After over a century of effort by researchers and engineers, the problem of bluff body flow, in particular vortex shedding frequency, remains almost entirely in the empirical, descriptive realm of knowledge. Computational methods have been systematically applied for vortex-induced vibrations of the cable-stayed bridge with steel composite deck by unsteady wind loadings due to vortex-shedding.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vortex-induced vibration of the cable-stayed bridge with steel composite deck bas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 KCI등재

        질소의 추비기 및 추비방법이 소맥의 수량 및 수량요인에 미치는 영향

        조재영,이동우,조장환,홍병희,Jae-Young Cho,Dong-Woo Lee,Chang-Hwan Cho,Byong-Hee Hong 한국작물학회 1969 한국작물학회지 Vol.- No.7

        다수확 비료체계의 확립을 위하여 추비기 및 추비바업이 소맥의 수량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비구는 보비구에 비하여 수수 1수립수 및 수량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저온 건조한 기상조건으로 말미암아 비료의 흡수 소화가 원활하지 못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2. 질소추비량의 1/3을 출수기에 토양시비 한 것은 6~7% 감소되었다. 3. 질소추비량의 1/3을 출수기에 요소엽면산포한 것은 4~6% 증수하였으며 1수립수와 천립중이 증대되었다. 4. 추비시기는 3월중하순이 가장 증수되었다. 유효경비율과 수중이 훨씬 크고 간장, 수장, 수수, 1수립수 및 천립중도 약간 컸다. A study has been made on the time of nitrogen top-dressing and the method of top-dressing to establish the higher yielding cultural method for wheat at Suwon. In this experi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application of nitrogen top-dressing with urea leaf spray as spike fertilizer increased the yield by 4~6 percent over nitrogen top-dressing of equal quantity only. Considering the yield and various factors concerned, it is reasonable to apply top-dressing on mid and late of March in Suwon area.

      • KCI등재

        각종재배조건이 고구마 수량 및 전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조재영,박근용,반채돈,Jae-Young Cho,Keun-Yong Park,Chae-Don Ban 한국작물학회 1970 한국작물학회지 Vol.- No.8

        각종 재배조건 및 저장기간이 고구마 전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저 신미 품종을 공시하여 삽식기별 수수기별 시비량별 토성별 저장기간별로 구분 시험을 실시하였든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월 15일 삽식에 비하여 만식일수록 괴근수량 및 전분함랴은 감소되었고 특히 6월 5일 이후의 삽식에서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괴근수량의 감소정도에 비하여 전분함량의 감소정도는 더욱 심하였다. 2. 10월 5일 적기수확에 비하여 조기수확일수록 괴근수량 및 전분함량은 감소 경향이였고 8월 25일 이전 조기수확은 괴근수량 37~45% 전분함량 5~7%의 감소를 보였다. 3. 시비량에 따라서 전분함량은 차이가 많았으며 대체로 3요소를 균형시비하는 경우 전분함량이 높은 경향이었고 가리질비료를 다용하거나 인산질비료를 시용하지 않은 경우 낮은 경향이였다. 한편 괴근수량에는 $K_20$O>$P_20_5$>N의 순으로 효과가 높았다. 4. 토성에 있어서는 모래나 자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토양에서부터 경직토로 갈수록 전분함량은 낮았으나 10a당 전분수량은 조사토 및 식양토에서 높았다. 5. 저장기간중 전분함량은 수량직후에 가장 높고 저장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수확후 10일에서 급격히 감소되었고 그 후의 감소는 근소하였다. Investigation was made to know the effects of the time of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fertilizer, soil texture and period of storage on tuber yield and starch content of sweet potato. Variety used was Shin-mi, one or the leading varieties in Korea. Late transplanting, early harvesting, and balanced application of nitrogen, phosphorous and potassium, and loam and coarse sandy loam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starch content than early planting, late harvesting, and more application of potassium and none application of phosphorous, and light clay respectively. Long storage period resulted in reducing starch content.

      • KCI등재

        ${\pi}$형 거더를 가진 4경간 사장교의 동적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조재영,김영민,이학은,윤기용,Cho, Jae-Young,Kim, Young-Min,Lee, Hak-Eun,Yoon, Ki-Yong 한국방재학회 200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4 No.1

        Generally, a ${\pi}$-type girder composed of two I-type girders is known to have a significant disadvantage in wind resistance design because of aerodynamic instability. A representative bridge for this girder was Tacoma Narrows Bridge. Since Tacoma Narrows Bridge had very low stiffness of the bridge structure and its cross-section shape had aerodynamic instability, the bridge collapsed after severe torsion and vibration events in 19m/s wind speed. Aerodynamic vibration can be avoided by enhancing structural stiffness and damping factor and conducting a study of cross-section shapes. This study shows the angle of attack for the four-span cable stayed bridge having ${\pi}$-type cross-section and describes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d cross-section with aerodynamic vibration damping additions, by carrying out two-dimension vibration tests. As a result of uniform flow and turbulent flow, the study shows that because the basic ${\pi}$-type cross-section alone can have efficient wind resistant stability, there is no need to have additional aerodynamic damping equipment. Since this four 230m-main-span bridge has a large frequency and also has a big stiffness compared to other bridges containing a similar cross-section, it has aerodynamic stability under the design wind speed. 일반적으로, 2개의 I형 거더로 이루어진 ${\pi}$형거더는 공기역학적으로 불안하여 내풍설계에 있어 매우 불리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기역학적 진동은 구조물의 강성이나 감쇠의 향상, 단면 형상의 연구 등에 의해 억제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pi}$ 형단면을 가진 4경간 사장교에 대해 영각과 공기역학적 제진장치의 추가로 인한 단면의 변화에 따른 2차원 진동실험을 통하여 공기역학적 특성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등류와 난류에서의 실험결과 본 교량단면은 기본단면만으로도 내풍안정성을 충분히 갖추고 있기 때문에 페어링(Fairing) 및 베플(Baffle Plate) 등의 추가적인 공기역학적 제진장치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본 교량의 경우 주경간이 230m인 4경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비슷한 단면을 가진 교량에 비하여 수직 및 비틀림 진동수가 크고 강성이 크기 때문에 설계풍속 내에서 공기역학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보여진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