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 고대사 부분의 국수주의적 시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영광 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논집 Vol.80 No.-

        In the ancient history section of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nationalistic narratives and narratives that do not guarantee objectivity remain. Most of these issues are related to the pride or self-esteem of the nation and nation. The first is that th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founding age of Gojoseon and its domain do not match the academic research results and are exaggerated or contain contradictions in logic. This is actually due to the peculiarity that Gojoseon is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history. The second is the absence of a description of the multi-ethnic national character of the ancient Korean states, Goguryeo and Balhae. Goguryeo is a country in which Yemaek-Goguryeo people, Chinese, and Malgal people merged into Goguryeo people while maintaining their ethnic identities. Balhae also formed a multi-ethnic society with the Goguryeo people and the Malgal people as two major pillars of human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Goguryeo and Balhae as multi-ethnic countries are important factors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these countries, so they must be included in textbook descriptions. Finally, it is a question of how to view the history of Nakrang.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hardly describe the history of Nakrang. Nakrang is a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established in the center of Gojoseon after the Han Dynasty destroyed Gojoseon. However, Nakrang exist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or more than 400 years and has had various historical interactions in the same time and space as those of ancient Korean countries. And as a result, the fusion of indigenous culture and Chinese culture was achieved. Through this,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s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were also significant. And when we recall that the vast majority of its inhabitants were also indigenous people of Gojoseon ancestry, Nakrangsa should be treated as a part of Korean history. Also,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the inhabitants were people of Gojoseon, the history of Nakrang should be treated as a part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FAHP-HAZOP을 적용한 수소충전소의 위험성 평가 방법 연구

        조영광,한신호 한국가스학회 2023 한국가스학회지 Vol.27 No.4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중립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수소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적 생산을 보완할 수 있는 저장 매체일 뿐만 아니라 반응 후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활용 분야에서도 좋은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수소 활용 분야 중 하나인 수소자동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수소충전소의 효율적인 운영과 위험성평가를 위해서는 위험요인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이 필요하지만, 국내 수소충전소 운영 기간이 짧아 사고에 따른 빈도 데이터가 부족하고 그 신뢰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HAZOP을 통하여 수소충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이탈의 원인과 결과를 도출하고 Fuzzy-AHP를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이를 통하여 수소충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이탈 원인의 의사결정값을 도출하고 수소 사고사례와 위험성평가에 적용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구려 지배하의 요동 지역 상황에 대한 소고(小考)

        조영광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7

        이 글에서는 요동 지역의 한화 및 고구려의 지배 과정, 그리고 현지의 인구 규모와 종족 구성 등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요동 지역은 본래 예맥족을 중심으로 한인漢人, 동호東胡계 종족들이 혼거하던 지역이었다. 그러나 전국 연燕이 군현을 설치한 이래 지속적으로 중국으로부터 한인의 이주가 이어지고 한 문화가 이식되면서 후한 이후는 사실상 중국 내지와 다름없을 만큼 한화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요동의 정세에 변화가 생긴 것은 5세기 초 고구려가 해당 지역에 진출하면서이다. 하지만 고구려가 현지 한인들에 대해 강제 동화책을 쓰지는 않았다. 이것은 고구려가 한 문화 수용에 대한 욕구가 있었고, 현지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던 한인들을 끌어안기 위한 전략이었다. 고구려 멸망기의 인구는 최소한 120만 명 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에서 요동 지역에는 27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였다. 그리고 멸망 이후에도 18만 명 이상의 주민이 현지에 남아 있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한인 계통으로 추정된다. The Liaodong area was originally a region where the Chinese and Donghu(東胡) races were hovering around Yemaek(濊貊). How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ty of Yan(燕) kingdom, Chinese immigrants continued and the Chinese culture was transplanted. Long-term Chinalization process, and the Liaodong area is virtually the same as mainland China after the Dong-Han Dynasty A change in the situation of the Liaodong area occurred in the 5th century when Goguryeo occupied the area. However, Goguryeo did not use forced assimilation policies for local Chinese. This is because Goguryeo had a desire to accept Chinese culture. And it was a strategy to attract Chinese people who were in the majority of the local population. The population at the end of Goguryeo is estimated to be at least 1.2 million. Among them, more than 270, 000 people lived in the Liaodong area. Even after the fall of Goguryeo, more than 180, 000 residents remained there. And most of them were probably Chinese people.

      • KCI등재

        夫餘, 高句麗 社會의 北方文化的 要素에 대하여

        조영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6 No.-

        Puyo and Goguryo were located in Manchuria. So Puyo and Goguryo were greatly influenced by contiguous society having nomadic and hunting culture. The elements of nomadic and hunting culture are found in custom, myth and politics in Puyo and Goguryo. Furthermore, some archeological evidence support that. Puyo and Goguryo had the unique custom of nomadic and hunting culture like levirate and matrilocal residence. There are a lot of similarity between the myth motive of Puyo and Goguryo and that of nomadic and hunting culture. In the aspect of political structure, it is explained that Puyo and Goguryo were influenced by the nomadic and hunting culture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official titles of named by domestic animals, the tribe of queen, Jwabo(左輔) and Ubo(右輔). And some archeological evidence from the investigation performed recently, strongly support that the possibility of influence of nomadic and hunting culture on Puyo and Goguryo. 부여와 고구려는 그 중심지가 지리적으로 만주에 위치하여 인접한 유목, 수렵 사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한 북방문화적 요소는 사회 풍속과 신화, 정치, 고고학 증거 등 여러 방면에서 발견된다. 부여와 고구려에서는 취수혼, 솔서제와 같은 풍습이 존재하였다. 이것은 흉노, 선비, 여진 등 북방 유목, 수렵 사회에서 성행하였던 풍속이다. 부여, 고구려 건국 신화인 주몽신화와 동명신화에서도 일광감응, 어별부교 등 북방 유목, 수렵민족 설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모티프가 많이 존재한다. 정치 체제에서도 부여에서는 가축 이름을 딴 관직명이 존재하였고, 고구려에는 좌, 우보제, 왕비족의 존재등 유목·수렵 사회의 제도와 유사한 것이 있었다. 또한 부여, 고구려 모두 수장층의 칭호로 加를 사용해 汗, 可汗 등 유목 군주호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 역시 양자 간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개연성이 큼을 추측케하는 것이다. 근래에 실시된 고고학 조사에서도 부여와 고구려가 북방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자료들이 적지 않게 나왔다.

      • KCI우수등재

        고구려 시조 주몽의 출자지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검토 - 주몽 설화의 공간과 역사성 -

        조영광 한국사연구회 2019 한국사연구 Vol.- No.186

        The history of Jumong, the founder of Goguryeo, is recorded as a myth. According to the literature, he is from Buyeo. However, it has yet to be considered exactly where he is from in Buyeo. Jumong myth imitated Dongmyung myth, but it also has its own motives. Among them, Daylight response, Horse breeding and Narrative structure are common with the mythology of nomadic people. And the motifs of Hebo(河伯) and dragons are seen as typical Chinese elements. Based on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Jumong group is from the region where the Chinese culture as well as the color of the nomadic culture are strongly touched in the Buyeo. Among the early Buyeo sites, the one that met the same conditions and was notable was Xichagou(西岔溝) site in Xifeng. The patterns of relics excavated from Xichagou relics are a mixture of Buyeo, China and nomadic cultural elements. And since it is a geographical point where three forces intersect, it can be seen that it is a region that matches the character of Jumong group. In addition, it is best suited to Jumong's migration and settlement routes as seen in historical records. Among the relics excavated there are many similar to those excavated from the early Goguryeo site, Wangjianglou(望江樓),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Buyeo and early Goguryeo. 고구려 시조 주몽의 행적은 설화의 형태로 자세히 전한다. 기록에 따르면 그는 부여 출신으로 나오지만 구체적으로 부여의 어느 지역 출신인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자세히 검토된 바가 없다. 주몽 설화는 부여 동명 설화를 모칭하였으나 독자적 화소들도 다수 등장한다. 그 중에서 일광감정, 양마, 설화의 서사 구조 등은 북방 유목 민족 시조 설화와 공통되는 특징이다. 그리고 하백, 용 관련 화소는 전형적인 중국적 요소로 파악된다. 이를 토대로 주몽 집단이 부여 영역 내에서도 한(漢) 문화는 물론 유목 문화의 색채까지 강하게 띠고 이들과의 교류가 용이한 지역 출신임을 추론할 수가 있다. 초기 부여 유적지 중 위와 같은 조건에 부합하여 주목되는 곳은 서풍(西豐)의 서차구(西岔溝) 유적이다. 유물의 출토 양상이 부여, 북방 초원, 중국적 요소가 혼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도 세 세력이 교차하는 지점이어서 주몽 집단의 성격과 일치되는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사료에 보이는 주몽의 이동 및 정착 경로와도 가장 부합된다. 그리고 초기 고구려 유적인 망강루 출토 유물과도 유사한 것이 다수 있어 부여와 초기 고구려의 관계를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

      • KCI등재

        통일 후 역사교과서 한국고대사 내용 구성을 위한 검토 -고조선,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조영광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By analyzing the ancient Korean history descriptions of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comparing them with South Korean textbooks, we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the post-unification history textbooks. First, the problem with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is that they rely excessively on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 And the distortion of the D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and Gojoseon history, which exaggerated their own history, is also serious. Similarly, Goguryeo history is exaggerated, and Baekje, Silla, and Gaya are described as reduced and passive. Despite these problems, there are several points to be consulted by referring to North Korean textbooks in composing history textbooks for the future unification era. First, it is the division of the period of Gojoseon history. I think it is time for Korean academia to seriously discuss the division of periods in Gojoseon's history. In addition, the period of formation of the Goguryeo state should be earlier than the foundation year according to the Samguksagi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extbooks. Lastly, it is necessary to reflect and discuss the terms of the Period of South and North Countries, unified Silla, and Later Silla. 북한 역사 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서술을 분석하고 한국의 그것과 비교해 봄으로써 통일 후 역사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대하여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 역사 교과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과하게 사회구성체론에 의존해 서술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자국 역사를 지나치게 과장한 대동강 문화론과 고조선사 서술도 우려가 되는 실정이다. 이와 유사하게 고구려사도부풀려진 측면이 있는 반면, 백제‧신라‧가야는 축소되고 피동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통일 시대의 역사 교과서를 구성함에 있어 북한 교과서로부터 참조해 협의할 부분도 몇 가지 존재한다. 먼저 고조선사의 시기 구분이다. 한국 학계도 이제 고조선사의 시기 구분을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구려 국가 형성 시기를 삼국사기의 건국 기년보다 상향하고 이를 교과서에도 반영하여야 한다. 끝으로 남북국 시대와통일 신라 및 후기 신라 용어에 대한 반성과 협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역사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마한사 서술 분석

        조영광 백산학회 2023 白山學報 Vol.- No.127

        마한사는 오늘날 대한민국과 한민족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불구하고 관련 자료의 부족과 그로 인한 무관심으로 교과서에서 소략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마한을단독으로 다룬 교과서는 존재하지 않고 삼한의 일부로 포괄하여 서술하고 있다. 해방 직후 나온 최초의 중등 한국사 교과서는 적지 않은 비중을 삼한사에 할애하였고, 이후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서술분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관련 내용은 주로 삼국지 동이전을 그대로 옮긴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거기에 관련 고고 자료에 대한 소개 등도 사라지면서 내용의 양과 질은모두 퇴보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향후 역사 교과서의 마한사 서술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과 그 원인을 제대로인지하고 고쳐나가야 한다. 특히 지역사로서 마한의 성격과 존재 양상 등은 최근 연구 성과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내용으로 꾸려져야 한다. The history of Mahan is historically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identity of today's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people. Nevertheless, the lack of relevant materials and the resulting indifference are treated lightly in textbooks. Textbooks dealing with Mahan alone do not exist, but are described as part of Samhan. The first Korean history textbook published immediately after independence devoted a significant portion to history of Mahan. During the 3rd Curriculum period, the amount of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ahan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Most of the content was copied directly from the Sanguozhi dongyizhuan. In addition, as the introduction of related archaeological materials was reduced,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ontent deteriorated. In order to normalize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ahan in history textbook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cognize the problems and their causes and correct them. In particular, the status and existence of Mahan as a regional history should actively reflect recent research results and be written in content that everyone can accept.

      • KCI등재

        고구려 광개토, 장수왕 시기 한,예족의 복속과 고구려인화

        조영광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5

        고구려가 소위 한, 예의 거주 지역으로 인식된 한반도 중.남부 지역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한 것은 광개토왕 대부터이다. 영락 6년까지의 대 백제전에서 고구려는 예성강~한강을 잇는 선, 백제의 직속 영역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영락 17년에는 당시 백제에 부용되어 있던 강원 영서 지역에 대한 정벌을 단행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고구려는 이미 영락 8년에영동 지역을 차지함으로써 한반도 북부에서 중, 남부 지역으로 이르는 동쪽루트를 확보하였다. 이후 장수왕이 한강 유역과 남한강 수계를 차지함으로써 한반도 중부 지역은 완전히 고구려의 영역이 되었다. 고구려가 광개토, 장수왕대를 거치며 남진에 대한 강한 의욕을 보이며 한반도 중, 남부 지역으로의 진출과 영역화를 이룬 것은 정치, 국제 관계 등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요인 외에도 당시 고구려인들이 형성하였던 독자적 천하관과 그 내부에서 존재하던 고구려와 제세력들 간의동류의식 또한 적지 않게 작용하였다. 이러한 동류의식 형성의 가장 중요한원인은 당시 고구려와 소위 한예 세력 간의 언어, 인종적 유사성에서 찾을수 있다. 언어학적으로나 형질 인류학적으로 고대 한반도 남부의 주민들은 일본, 동남아 등 남방적 특징보다는 퉁구스 등 북방계적 특질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고구려로 대표되는 예맥계와 한반도 중, 남부의 한예계는 서로 다른 종족 집단이 아니라 언어, 풍습, 혈통적으로 상당한 동질성을 가졌다고 할수 있겠다. 이러한 종족적 유사성을 토대로 소위 예맥계 국가인 고구려는 한반도 중, 남부 지역의 한예계 종족들을 복속하고 빠른 속도로 ‘고구려인화’할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高句麗向所謂的韓、濊居住的韓半島中、南部地區全面進駐是開始于廣開土王時期。在持續到永樂年的與百濟對戰中,高句麗確保了禮成江~漢江一帶的百濟直屬領土。筆者認爲,在此基礎上,永樂``年高句麗對百濟附屬的江原嶺西地區 進行了征伐。幷 ,高句麗在永樂年已占領了嶺東地區,所以,事實上高句麗 已經確保了從北部到中部、南部一線的東部通道。之後,長壽王通過占領漢江流域及南漢江水系使得韓半島的中部地區完全成爲高句麗的領域。 高句麗在廣開土王,長壽王朝代表現出了强烈的南進欲望,向韓半島中部、南部進駐存在多樣的政治,國際等關系。然而,除這些原因之外,當時高句麗人形成的獨立世界觀以及內部存在的高句麗與諸集團間的同類意識也起到了不少作用。這種同類意識形成的最重要原因可以在當時高句麗與韓濊集團間語言和人種的類似性中조到。 不管是從語言學上還是從形質人類學中,可以發現古代韓半島南部居民相對于 日本和東南亞等南方特征其通古斯等的北方系特征更加突出。也就是說,代表高句麗的濊貊系和韓國島中南部的韓濊系幷不是不同的種族集團,而是在語言、風俗和血統上有著相當大的同質性的。在這種種族相似性的基礎上,可以看出濊貊 系國家高句麗降服了韓半島中部、南部地區的韓穢系種族,幷將他們快速高句麗人化了。

      • KCI등재후보

        중국 음식문화 속에서의 "孔孟食道"

        조영광,박기숙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7 No.4

        The theory-the doctrine of Confucius and Mencius was and objective existance in Chinese dietary culture history, but it was ignored in the last two thousand years. In addition, some people misunderstood Confucius' and Mencius' diet opinions, thoughts, theories and basic style in their diet experiences. Confucius' diet experience and Mencius' diet experience were alike, and Mencius' experience carried on Confuius' and theirs were the same in some sections. They all stay their diet standard to their stomach and don't persue good meal. They all thought resolving people's diet was important for a country and for the politic problems. Mencius succeeded Confucius' diet thoughts and put them to the theories-diet principle, diet standard, and diet morality. This paper deeply discusses theory, developing history condition and the affection and position in Chinese diet history of the doctrine of Confucius and Mencius.

      • KCI등재후보

        젓가락 문화의 연구에 관한 문제

        조영광,박기숙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7 No.3

        The history and culture of using Zhu to help take food in china is a focal question in contemporary Chinese academic circle and leads to various conflicting ideas. This article, based on original historical documents, archaeological findings, cultural relic authentication, field investigation and the author's long-term thinking, comes up with a series of new conclusions. Firstly, Zhu emerged and developed along with cooked food and granular food served in bowls; secondly, there had been a period of using single Zhu in China's history before two Zhus being used simultaneously; thirdly, the development of Zhu culture went through five historical periods, namely the former form, the interim form, the Jia form, the Zhu form and chopsticks form. In addition, the author gives out his unique viewpoints on some other relevant questions, including the Zhus which can be dated back to the Neolithic Age unearthed at Longqiuzhuang in Jiangsu province, Jiangzhai in Shanxi province etc, and the bronze utensils in the shape of Zhu unearthed in 1934 at Yin Dynasty ruins in Henan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