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 연구 : 현행 교육과정 , 교과서 , 수업현장 분석 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 Textbooks , Teacher's guide and Classroom Observations

        조연순(Yon Soon Cho),최경희(Kyung Hee Choi),조덕주(Duk Joo Cho) 한국초등교육학회 1997 초등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연구의 하위과제로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된 것이다. 즉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사용지도서에는 창이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총괄목표에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특수영역의 지식과 기능인 과학에 있어서의 지식과 탐구방법^1) 이 기술되어 있기는 하나 교육과정의 내용및 교과서, 교사용지도서에는 '탐구방법'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만 제시되고 있다. 또한 수업현장에서는 특수영역의 지식과 기능을 다루는데 있어서 확신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수업활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서는 지식 뿐만 아니라 탐구방법이 중시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볼때, 교육과정에서는 탐구방법이 목표로서 뿐만 아니라 내용으로서 지식영역과 함께 다루어지도록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갈등이 있는 문제상황을 주고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절차를 따르는 것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문제해결방법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6th national elemantary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teacher's guide and classroom practices to collec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lementary science program focusing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conceptualized as an ac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solutions to problems and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general knowledge, domain-specific knowledge, motivation,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generated as follows: (1) Whether creative problem solving elements-domain specific knowledge(declarative knowledge and inquiry methods) were included or not in the 6th elemantary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If so, how are they represented? (2) Whether the teachers tried to enhanc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of their students. Through content analyse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followings are founded: (1) Inquiry methods, which are important to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science, were und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declarative knowledge. In other words, inquiry methods were regarded only as tools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2) It was hard to find the situations which teach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to their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recommended: (1) Inquiry methods should be regarded as a goal not as a tool and be used to acquire inquiry methods themselves. (2) Teachers should not stick to the prescribed inquiry methods prescribed in the textbook, but to give opportunities for thinking various kinds of inquiry methods to improv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가 발견한 학생 창의성의 특성 및 교사의 역할

        조연순(Cho, Younsoon),최규리(Choi, Kyoulee),조영은(Cho, Youngeu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것을 생성해내거나 적용하는 외현화 과정뿐 아니라 학습의 내면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창의성의 특징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학생 창의성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특성을 자연스러운 수업장면에서 찾기 위해 초등예비교사들이 교생실습 중 관찰한 55개의 수업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면화 과정에서 발견된 학생 창의성이 외현화 과정에서 발견된 학생 창의성의 특성보다 더 다양했고, 교사의 역할 또한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내면화 과정에서의 학생 창의성은 확산적 사고, 비판적 사고 등의 사고 측면과 자기주도적 탐색 등의 태도 측면으로 특징들이 나타났고, 외현화 과정에서의 학생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의 생성, 독창적인 작품 등의 산출물과 자기주도성의 태도 측면 특징이 발견되었다. 교사의 역할은 내면화 과정에서는 개방적 발문이, 외현화 과정에서는 새로운 과제제시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반면, 창의성이 발현 되지 못한 수업 사례에서는 정형화된 예시제공 등으로 학생들의 획일화된 사고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발문이나 수업분위기와 같은 미세한 교사의 역할을 통해 학생 창의성이 촉진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 창의성에 대한 관점의 정립과 이를 촉진하는 교사역할에 관한 이해가 예비 교사교육에서부터 다루어질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characteristics of student creativity that emerge in the processes of internalization as well as externalization of learning and what are the roles that facilitate student creativity. To observe these characteristics in natural situations, the researcher had pre-service teachers observe those instances while doing their student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The observation repor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instances demonstrated student crea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creativity that emerged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were more divergent compared to those that emerged in the externalization process. Likewise, the teacher"s roles facilitating student creativity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were more divergent compared to those teachers played in the externalization process. These results have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orists and teach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nalization process that had been neglected in previous research on creativity.

      • KCI등재

        ``학생 창의성``의 개념 탐색

        조연순 ( Youn Soon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3

        창의성에 관한 연구가 엄청난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 기여한 업적은 단편적일 뿐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전문가가 아닌 학생 입장에서의 창의성 (학생 창의성)을 개념화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창의성 이론, Piaget와 Vygotsky의 발달이론, Polyani, Oakeshott 의 지식관과 인식론, Dewey의 교육이론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최근 변화하는 개인적, 과정중심의 창의성 이론을 통해 ``학생 창의성``개념의 이론적 기초를 찾게 되었고, 발달이론으로부터는 외현화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학습의 내면화의 과정에서도 창의성이 발현된다는 시사점을 찾게 되었다. 또한 교육이론에서는 유연성 있는 지식관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경험에서 출발하여 능동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맥락 제공을 할 때 학생들의 창의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찾게 되었다. 이러한 세 측면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은 전문분야에서 새로운 작품이나 이론을 창조하는데 기여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새로운 학습과 발달에 도움을 줄 때 의미가 있으며, 심층에서 이루어지는 개인내부의 질적인 변화에 기여하는 새로움을 창출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원리(전제)를 찾게 되었다. 이러한 전제하에 ``학생 창의성``을 "학습의 내면화와 외현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새로운 발견 및 해석이나 적용 또는 산출물의 생성"으로 개념화 하였다. 또한 발달과 학습을 토대로 한 ``학생 창의성``은 새로운 하나의 연구 영역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Although there have been a tremendous amount of research on haman creativity, those researches have not brought much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Employing certain programs and/or techniques of thinking skills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research based on Big-c (professional) creativity have limitations for applying in everyday school curriculum. Then what is the ``student creativity`` which could be emerged and enhanced through everyday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at ques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s creativity theories, Piaget and Vygotsky`s developmental theories, Polyani and Oakeshott`s concepts of knowledge, and Dewey`s educational theories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found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 creativity`` concept.: 1) Basic conceptual frame work of student creativity is derived from changing concept of creativity such as little-c and mini-c. 2) From the developmental theories, the concept of ``student creativity``is deepen and specified such as creativity can be emerged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learning not only in the process of externalization. 3) From the educational theories, educational context emphasizing student active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s is rediscovered to facilitate student creativity. In so doing, this study argues that student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hould be approached with a infused perspective of theories of creativ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hat it should be developed as an area for further research. This proves that student creativity should be defined as "student`s new interpretations, discoveries, applications or producing new products emerging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r externalization process of learning."

      • KCI등재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특성 탐색

        조연순(Cho, Younsoon),정혜영(Chung, Hye Young),백은주(Baek, Eun Joo),최규리(Choi, Kyoulee),임현화(Lim, Hyunhwa)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창의성을 나타내는 일반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에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 탐색하여 창의성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세 곳의 14학급에서 저·중·고학년의 사회과·과학과 수업을 집중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도입 부분에서는 배울 주제가 무엇인지 발견하도록 하였고, 전개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생각을 통해 지식을 탐색하고 내면화하도록 하였으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면서 내면화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이 모든 단계의 공통점은 실생활 맥락 제공,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 유지, 지식의 발견 및 촉진, 비판적·확산적 사고 촉진이었으며, 모든 단계에서 교사의 발문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창의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던 수업은 전체 차시가 단절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료와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은 창의성 촉진을 위해 일반적인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at creativity emerges and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in regular instructions at schools.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has implemented; observation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structions of the 14 classrooms including lower, middle, and higher grad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were differed in the beginning, development, and concluding stages. In the beginning stage, the teachers provided students various familiar materials to find the theme of the lesson rather than providing it directly.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teachers tried to let the students explore the concepts (knowledge) and internalize it. Then in the concluding stage, the teachers provided new situations which the students could apply (externalize) the internalized knowledge. The common factors found in all of the three stages were; 1) providing the contexts of authentic situations, 2) keeping the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s, 3) promoting students to discover new knowledge, and 4) facilitating critical and divergent thinking. Also in all of the three processes, questions raised by teacher were critical to nurture creativity. These factors found in the stud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teachers want to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in regular subject matter teaching.

      • KCI등재

        학생들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수업 맥락에서의 상호작용 특성

        조연순 ( Youn Soon Cho ),정혜영 ( Hye Young Chung ),최규리 ( Kyou Lee Choi ),백은주 ( Eun Joo Baek ),정지은 ( Ji Eun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본 논문은 학생들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학교수엽 맥락에서 나타나는 교실 상호작용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고자 세 초등학교에서 교사 13명의 14학급 수엽을 4개월에 걸쳐 관찰·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창의성이 발현되는 수업장면은 교사주도와 학생주도의 상호작용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창의성 촉진 상호작용 형태는 교사주도였으며, 사고의 정교화를 촉진하는 질의응답과 점진적 이해를 촉진하는 설명을 통해 학생 창의성이 발현되게 하였다. 학생주도 상호작용의 경우에는 학생 간 토론을 통해 비판적 사고가 발현되었고, 모둠별 의사소통을 통해 협동적 산출물을 생성함으로서 학생 창의성이 발현되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어떤 특정 시간이나 특별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일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 창의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 수업에서 창의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tudents` interac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where creativity emerges. For the research, 3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and the 14 classes of the recommended 13 teachers of the sit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with the us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interaction which creativity emer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as teacher`s open-ended question and student`s response followed by the teacher`s sustained feedback. And the interaction could be categorized as two types: teacher-initiated and student-initiated. In the teacher-initiated interaction, teachers promoted students` divergent thinking and facilitated students` progressive understanding through teacher-guided questions and students` responses. In the student-initiated interaction, students experienced critical thinking processes through group discussion with classmates, and created collaborative products and/ or outputs while having active communication in group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how both types of the interactions could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was required prior to apply special programs, methods or techniques in school classroom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학생의 광합성 개념학습에서 TWA 비유 수업모형의 효과

        김희정(Hee Chung Kim),조연순(Youn Soon Cho)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ing-With-Analogies (TWA) model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The restaurant analogy was developed for the photosynthesis concept. Analogies identify the similarity in other conceptions and correspond by mapping what is familiar to as many students as possible. Analogies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cept by relating to their preconception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th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in Seoul(N=73).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implement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WA model was used and in the control group, the ordinary lesson based on the 6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as used. Prior to the treatment, the GALT(Short Version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and the pretest were given. After the treatment, posttest concept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change. And scientific response test was only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 had the misconceptions about the photosynthesis before the lesson, the instruction using TWA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methods of instruction. These suggested that the use of analogies can help overcoming misconception and learning the scientific concept.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 증진 요소와 교수,학습과정 특성 탐색: 영국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 사례연구

        정혜영 ( Hye Young Chung ),조연순 ( Youn Soon Cho ),백경미 ( Kyong Mi Pae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국가차원에서 학교 창의성 교육을 강조하는 영국의 사례를 통해 각 학교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요소와 교수·학습 특성들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국의 초등학교 4곳을 방문하여, 학교 행정가와 교사 면담, 수업참관, 교내 투어, 문서 및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영국은 현장 연구를 통해 얻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지침을 국가차원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각 학교는 개별적 여건에 맞추어 이러한 지침을 다양하게 재구성하고 있었다. 특히 교육과정 개발에서 활발한 교내·외 협력지원과 다양한 문화자원의 활용, 교사들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장려하는 학교 행정가의 리더십과 지원이 두드러졌다. 또한, 영국 초등학교의 창의성 수업은 아동들의 일상과 관련된 주제 중심으로 다양한 자원과 감각을 활용하고 학생 주도적인 교수·학습 특성을 나타냈다. 이는 한국의 경우 국가차원에서 창의성의 요소들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과 실제성에 기초한 지침 제시, 학교차원에서의 자율성 부여, 이에 따른 교사간의 협력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tributing factors that foster creativity and how teaching and learning took place in primary schools in the United Kingdom. A data was collected by observing classrooms and by interviewing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four primary schools located in London, United Kingdom. Using a qualitative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in-depth for emergent theme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four cases differed in terms of styles of teaching creativity, experiences in dealing with students, collaborating with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organizations and utilizing cultural resources from the community.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an active team work among teachers, strong leadership and support from school administrators are closely related to an effective program that fosters students' creativity.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a different setting and other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교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Upper Grades

        조연순,김정효,이경순,우재경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학교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아동들이 성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건전하고 양성 평등한 태도를 형성하여 긍정적인 자아확립과 원만한 사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과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성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초등학교에서 별도의 성교육 시간이나 타 교과 시간 모두에서 활용 가능한 성교육 단원(교수-학습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성교육 단원을 서울, 경기 지역의 8개 초등학교에 예비 적용해 본 후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9개 단원, 30개 차시안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수업방법은 문제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성과 관련된 지식의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to acquire scientific knowledge about sexuality, to have the healthy and positive attitude on their gender and to live harmoniously with opposite gender. The processes of program development were as follows; (1)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2) investigating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n the school-based sexuality program, (3) forming the framework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4) developing unit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framework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5) implementing the developed program to the eigh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ung-gi-do, and (6) modifyin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The above process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are described in detail, and one lesson is presented as an example among 39 lessons developed. Finally, some problems and thoughts of our society related to the sexuality educ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