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내 토마토녹응애의 발생양상과 유기농업자재 선발

        최용석,황인수,조신혁,Choi, Yong-Seok,Whang, In-Su,Jo, Shin-Hy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3

        무가온 시설토마토 재배지내에서 토마토녹응애 발생양상은 4월 중하순경 최초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하순경 최대 발생을 나타냈다. 하지만 야간기온이 낮을 경우 번식력이 증가하게 되고 주간기온이 높을 경우에는 분산이 활발해져 고온기인 7월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기농업자재 11종에 대한 토마토녹응애의 살충독성 실내검정 결과, EOIMa (Matrin 0.6%), EOICo (Clove oil 10%)가 500배에서 각각 92.1%와 95.1%로 90% 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특히 EOIMa 1,000배에서는 90.4%로 90%, EOIMa 2,000배에서는 88.2%의 높은 살충효과를 보였다. 포장검정에서도 EOIMa 1,000배와 EOICo 500배는 각각 91.5%와 93.9%의 살충효과를 보여 두 약제 모두 농약을 대체하기에 충분하였고 EOIMa의 경우 2,000배에서도 살충효과가 90%에 가까웠기 때문에 예방적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first occurrence of the tomato russet mite, Aculops lycopersici Massee was in mid-late April, and the maximum occurrence was in mid-late June in 2013 and 2014. However, in 2015, the density of tomato russet mites increased in July. This pattern is thought to be attributed to temperature fluctuations, in which, low temperatures at night promoted their reproduction and long periods of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day promoted their dispersion. Comparison of the use of 11 Eco-friendly organic insecticides (EOIs) showed that, the mortality rates after application of 0.6% matrin(EOIMa) and 10% clove oil (EOICo) were 92.1% and 95.1%, respectively, when administered at 500-fold diluted concentrations. At 1,000-fold and 2,000-fold diluted concentrations, the mortality rates of EOIMa were 90.4% and 88.2%, respectively. In a field test, the mortality rates of EOIMa at the 1,000-fold diluted concentration and of EOICo at the 500-fold diluted concentration were 91.5% and 93.9%,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s two EOIs are sufficient to replace pesticides, and EOIMa seems to be particularly useful as a prophylactic given that it induced a mortality rate of 88.2% at a 2,000-fold diluted concentration.

      • KCI등재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에 대한 해바라기의 유인력과 침투이행성 약제 선발

        최용석,서화영,조신혁,황인수,박덕기,Choi, Yong-Seok,Seo, Hwa-Young,Jo, Shin-Hyuk,Whang, In-Su,Park, Deog-Ke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Sunflower, selected as a trap plant that can be controlled by attracting Ricania spp. adults via attraction has the highest attractiveness during the preoviposition period. Consider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ania spp., adults are distinguished by the preoviposition and oviposition periods and the attractiveness of sunflower to Ricania spp. adults was 91.4~95.2% higher than that of blueberry during the preoviposition period. On August 20, when Ricania spp. adults entered the oviposition season, sunflower attractiveness was low at 9.8~11.6% owing to preference for tree spec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election of systemic chemicals that could be used concomitantly with sunflower, all chemicals, except etofenprox, showed a high controlling effect of over 90%, and among them, dinotefuran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 rate of 95.8%. The systemic chemicals acetamiprid, dinotefuran, thiamethoxam, and imidacloprid persisted for 13 days (survey period). Therefore, the concomitant use of sunflower and systemic chemicals can reduce the density of Ricania spp. entering farmlands and their populations in surrounding habitats, which are expected to help in stabilizing the ecosystem.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을 유인하여 방제할 수 있는 트랩식물로서 선발한 해바라기는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전기간에 대하여 가장 높은 유인력을 보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생태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성충단계에서 산란전기간과 산란기간으로 구별되며 갈색날개매미충이 선호하는 블루베리와 비교하였을 때 산란전기간에 91.4~95.2%의 높은 유인력을 보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이 산란에 접어드는 8월 20일에는 산란기주를 선호하는 특성 때문에 해바라기로의 유인률이 9.8~11.6%로 낮았다. 해바라기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침투이행성 약제를 선발한 결과, Etofenprox를 제외한 모든 약제가 90%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고, 방제효과가 우수한 살충제 중 Dinotefuran 은 95.8%로 가장 높은 살충률을 보였다. 방제효과가 우수한 살충제인 Acetamiprid, Dinotefuran, Thiametoxam, Imidacloprid의 약효지속기간은 조시기간인 13일 동안 지속되었다. 따라서, 해바라기와 방제효과가 우수한 침투이행성 약제를 동시에 활용할 경우 농경지내로 유인되는 밀도와 주변 생태계내 개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장기적으로 생태계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기주선호성

        최용석,서화영,조신혁,황인수,이영수,박덕기,Choi, Yong-Seok,Seo, Hwa-Young,Jo, Shin-Hyuk,Whang, In-Su,Lee, Young-Su,Park, Deog-Ke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갈색날개매미충은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기주에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에는 수목류에 서식하기 보다는 바람과 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진 약충들이 1년생 초종부터 관목류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식물체를 섭식하였으며 특히 공주시 팔봉산 산림 속의 경우 노린재나무, 노박덩굴, 화살나무, 엄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멍석딸기, 복분자, 산딸기, 상수리나무, 산수유, 싸리나무, 자귀나무, 조록싸리, 철쭉, 영산홍을 선호하였다. 성충 출현 이후 홍성군 용봉산 조사에서 산란전기간의 성충은 주로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을 가장 선호하였고 산란기에 접어 들면서 이들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 같은 1년생 초종에서의 거의 볼 수 없었고 대부분은 산란을 위하여 수목류나 관목류의 목본류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공주시 팔봉산 조사에서 산란기주는 주로 병꽃나무, 가죽나무, 갈참나무, 개모시, 고욤나무, 대추나무, 때죽나무, 매실나무, 벚나무, 조팝나무, 산딸기, 버드나무, 산철쭉, 층층나무 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정도, 산란수, 성충수는 산림 속 음지보다는 양지에서 월등히 밀도가 높았으며 산란정도와 산란수의 경우 고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충수는 고도가 낮을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본 결과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선호기주에 관한 보고로서 특정 시기에 선호하기는 기주를 선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추후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트랩식물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We investigated the host preference of Ricania app.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to select the effective control methods. Ricania spp.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preferred different host plants. During the nymphal period, individuals moved to the bottom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and rain, rather than inhabiting trees, and fed on various plants ranging from 1 year-old herbaceous plants to shrubs. Especially, at Palbong Mt. in Gonju, Ricania spp. nymphs preferred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Celastrus orbiculatus, Euonymus alatus, Kalopanax septemlobus, Aralia elata, Styrax japonicas, Rubus parvifolius, Ru. coreanus, Ru. crataegifolius, Quercus acutissima, Cornus officinalis, Lespedeza bicolor, Albizia julibrissin, L. maximowiczii,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h. indicum. At Yongbong Mt. in Hongseong, Ricania spp. adults preferred herbaceous plants, such as Helianthus annuus, Solanum nigrum, and Oenothera biennis rather than trees during the pre-oviposition stage. Subsequently, as the oviposition season began, Ricania spp. adults were rarely found in H. annuus, S. nigrum, or O. biennis and appeared to migrate to the perennial trees and shrubs hosts to lay eggs. At Palbong Mt., the main laying hosts of Ricania spp. adults were Weigela subsessilis, Ailanthus altissima, Q. aliena, Boehmeria platanifolia, Diospyros lotus, Ziziphus jujubae var. inermis, St. japonicus, Prunus mume, P. serrulata var. spontanea,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Ru. crataegifolius, Salix koreensis, Ru. yedoense f. poukhanense, and Co. controversa. The degree of egg laying, number of egg masses and adult Ricania sp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nlit areas than in shaded areas, in addition, the lower the altitude, the more adults were present. This study contributes toward the development of traps that can attract and control Ricania spp. and reduce the density of Ricania spp. that disturb the ecosystem.

      • KCI등재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 촉각에 분포하는 감각기의 종류 및 외부미세구조적 특징

        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Kwon, Hye-Ri,Yoon, Kyu-Sik,Kang, Min-A,Park, Min-Woo,Jo, Shin-Hyuk,Kang, Eun-Jin,Seo, Mi-Ja,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are used in biological control programs against aphid pests throughout the world and their behavior and physiology are well studied. While the importance of sensory organs in their behavior is understood, their antennal structure remains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antennal sensilla on the antennal of both female and male adults of A. colemani were describ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Generally, the filiform antennae of males ($l,515.2{\pm}116.5\;{\mu}m$) are longer than females ($l,275.1{\pm}103.4\;{\mu}m$). Antennae of this species are made up of radicle, scape, pedicel and flagellomeres. Male and female antennae differed in the total number of flagellomeres as 15 in males and 13 in females.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was characterization and grouping of seven types of receptors into morphological classcs: Bohm bristles, Sensilla placodea, 2 types of S. coeloconica and S. trichodea, and S. basiconica as with a tip pore and with wall pores. In addition, the possible functions of the above sensilla types arc discussed in light of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mechanoreception (Bohm bristles, S, coeloconica I & II and S. trichodea) and chemoreception (S. placodea, S. basiconica type I & II). Aphidius속(Hymenuptera: Braconidae)에 속하는 일부 종은 주로 생물학적 방제 인자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행동학적 생태에 대하여 연구가 많이 되어있다. 행동에 있어서 신경기관을 중요성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촉각의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콜레마니진디벌의 암수 성충의 촉각에 분포하는 감각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외부형태를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의 촉각은 염주상(filiform)의 형태로 수컷($1,515.2{\pm}116.5\;{\mu}m$)이 암컷($l,275.1{\pm}103.4\;{\mu}m$)보다 더 길다. 촉각은 촉각근절(radicle), 밑마디(scape), 자루마디(pedicel, 채찍마디(flagellomeres)로 구분된다. 암 수컷의 채찍마디의 수에서 수컷은 15마디, 암컷은 13마디로 차이가 나타났다. 콜레마니진디벌의 촉각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총 7 종류의 감각기 즉; Bohm bristles, Sensilla placodea와 두 가지 타입의 S. coeloconica, S. trichodea, 또 tip pore 또는 wall pores가 있는지 여부에 띠라 두 가지 S. basiconica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에 연구들을 바탕으로 각 감각기들의 기능을 추측해볼 때 Bohm bristles과 S. coeloconica type I & II, S. trichodea 등은 기계적감각을, S. placodea, S. basiconica type I & II는 회학적감각을 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헤어리베치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발생양상 및 기주에 따른 발육 및 선호성

        서미자,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신효섭,김세희,강은진,유용만,윤영남,Seo, Mi-Ja,Kwon, Hye-Ri,Yoon, Kyu-Sik,Kang, Min-A,Park, Min-Woo,Jo, Shin-Hyuk,Shin, Hyo-Seob,Kim, Sae-Hee,Kang, Eun-Jin,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1

        충남 아산의 보리와 헤어리베치가 혼작된 포장과 대전 유성의 헤어리베치 포장에서 5월 중순부터 채종 후인 7월 중순까지 집합페로몬트랩을 이용해 유인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종자의 결실이 이루어지는 6월 하순부터 포장내로 유입되어 들어오는 개체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7월 중순 채종작업이 끝나면서 유입개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에도 11월 초까지 계속적으로 유인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헤어리베치 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외에도 닮은수염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변색장님노린재, 실노린재를 포함한 총 33종의 노린재목 곤충이 채집되어 많은 종류의 노린재류들이 서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내에서는 헤어리베치를 먹이로 제공하였을 경우에는 정상적인 발육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4령 약충 이후부터 생존율이 감소하고 성충으로의 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먹이 선호성에 있어서도 헤어리베치보다는 콩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헤어리베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정상적인 발육을 하면서 개체군을 발달시키기에 적합한 기주식물로 판단되지 않으며, 종자결실기에 맞춰 종자를 흡즙하기 위한 방문서식처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easonal occurrence of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was investigated using pheromone traps baited with its aggregation pheromone in the fields with various crop composition (mixture culture of barley and hairy vetch in Asan, Chungnam; monoculture of hairy vetch in Yuseung, Daejeon) from mid-May to mid-July of seed gathering season in 2010. The invasion of R. pedestris into the experimental fields began to increase rapidly from late-June in which period hairy vetch and barley reach the beginning of seed formation stage. After seed gathering season in mid-July, the invasion rate of R. pedestris decreased, and the activity was continually observed till early-November. In addition to dominant R. pedestris species, 33 species of hemiptera including Apolyaus watajii, Dolycoris baccarum, Adelphocoris suturalis, and Yemma exlis were collected, which indicated abundant species diversity in the hairy vetch fields. In the laboratory, R. pedestris did not developed successfully to adult stage on food sources of hairy vetch, with decreasing survival rate after 4th instar and the failure of emergence to adult stage. Also, R. pedestris showed higher preference on soybeans than hairy vetch. Consequently, hairy vetch may be not true host for the development and survival of R. pedestris. It is considered that R. pedestris is a temporary visitor at the season of seed formation in hairy vetch fields.

      • KCI등재
      • KCI등재

        착색단고추 품종에 따른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육특성 및 섭식행동

        윤규식,서미자,강민아,권혜리,박민우,조신혁,유용만,윤영남,Yoon, Kyu-Sik,Seo, Mi-Ja,Kang, Min-Ah,Kwon, Hye-Ri,Park, Min-Woo,Jo, Shin-Hyuk,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착색단고추에 주로 피해를 주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국내 전남지 역의 착색단고추 수출농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중 15품종을 선발하여 각각의 EPG 패턴과 섭식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생명표작성 조사를 통한 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품종간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실질적인 섭식행동패턴인 체관부 섭식패턴과 구침을 빼고 있는 패턴의 시간과 빈도를 조사한 결과, Ferrari, Jinju, Debla, Rapido품종에서 체관부 섭식시간은 길고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은 짧게 기록되었다. 반면에 Orobell, Thialf품종에서의 체관부 섭식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았으며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은 높게 나타났다. 수명, 생식기간 및 산자수, 내적자연증가율을 확인하여 품종간 비교한 결과에서도, Ferrari, Debla, Orange glory Jinju품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urple, GreenAce, Orobell, Thialf품종은 낮게 나타났다. 두 실험결과를 토대로 실험에 이용한 15개 착색단고추 품종 중 복숭아혹진딧물이 선호하는 품종은 Ferrari, Jinju, Orange glory, Debla였으며, Purple, Orobell, Thialf품종은 선호하지 않는 품종으로 판단된다. To investigate host preferencse of Myzus persicae on 15 sweet pepper cultivars grown in Jeonnam Province, EP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and life tab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laboratory. Phloem phase times were significantly longer on Ferrari, Jinju, Debla, and Rapido than Orobell and Thialf. Non-penetration times were conversely observed. Life span, reproduction period, total fecundity, and intrinsic rate of increase ($r_m$) of M. persicae, were higher on Ferrari, Debla, Orange glory, and Jinju than on Purple, GreenAce, Orobell, and Thialf. On the base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M. persicae preferred Ferrari, Jinju, Orange glory, and Debla among the 15 tested sweet pepper varieties. However, we could not show the preference of the aphid for Purple, Orobell, and Thialf.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